역주 월인석보 제2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0
  • 수사제 태자의 효양행[본생담]
  • 수사제 태자의 효양행 12
메뉴닫기 메뉴열기

수사제 태자의 효양행 12


[수사제 태자의 효양행 12]
天王釋이 닐오 그듸 쇽절업슨 마 니

월인석보 20:117ㄴ

주001)
뉘:
누가. 누[誰]+ㅣ. 현대국어 ‘누구’는 ‘누(의문대명사)+고(의문보조사)’가 어휘화한 것이다. 현대국어에서 ‘누/누구’가 다 쓰이는 것은 이에 말미암은 것이다. 한편 이렇게 어휘화한 ‘누구’에 ‘-인가’가 결합한 ‘누군가’ 역시 어휘화하여 여기에 조사가 결합한 ‘누군가가’가 쓰이고 있다.
그듸 미드료 주002)
미드료:
믿으리오? 믿-[信]+리/으리+고/오(의문종결어미). ‘-오’는 의문종결어미 ‘-고’가 기원적으로 서술격조사를 갖고 있는 ‘-으리-’ 뒤에서 /ㄱ/이 약화한 후 탈락한 것.
湏闍提 盟誓호 나옷 주003)
나옷:
내가. 나+옷(강세 보조사). ‘-옷’은 ‘-곳’의 이형태.
天王釋 주004)
천왕석:
천제석(天帝釋), 제석(帝釋)과 같음. 도리천의 주(主)임.
소기논
그리옷:
그렇게. 그리+곳/옷(강세 보조사). ‘곳→옷’은 /ㄱ/이 약화하여 유성성문마찰음(자음) [ɦ]으로 실현된 것을 표기한 것.소기논:속이는. 속-[欺]+이(사동접미사)++오/우+ㄴ.
디면
녜티:
옛날같이. 녜(명사)++이(부사형어미). ‘(부사)’에 ‘-’가 붙어 형용사 ‘-’가 파생되고, ‘니(+-+니)’와 같은 활용형을 ‘-+니’로 오분석하게 된 결과 새로운 어간 ‘-’이 만들어졌다. 한편 이 ‘-’은 음절말에서는 8종성표기법에 의해 ‘-’으로 적힌다.디면:것이면. (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면/으면.
내 모미 乃終내 암디
져지:
젖이. 졎+이. ‘졎〉젖’의 단모음화는 근대국어 시기에 발생함.암디:아물지. 암-+디.
몯고 그리옷 주008)
즉재:
이 책에는 ‘즉재’(65ㄴ, 70ㄴ)이 쓰이고 있으나, 유일하게 ‘즉자히’(64ㄴ)도 쓰였다.그리옷:그렇게. 그리+곳/옷(강세 보조사). ‘곳→옷’은 /ㄱ/이 약화하여 유성성문마찰음(자음) [ɦ]으로 실현된 것을 표기한 것.
아니면아니면:아니하면. 아니+-(탈락)+면/으면. 내 모미 녜티 주010) 녜티:옛날같이. 녜(명사)++이(부사형어미). ‘(부사)’에 ‘-’가 붙어 형용사 ‘-’가 파생되고, ‘니(+-+니)’와 같은 활용형을 ‘-+니’로 오분석하게 된 결과 새로운 어간 ‘-’이 만들어졌다. 한편 이 ‘-’은 음절말에서는 8종성표기법에 의해 ‘-’으로 적힌다.
외오 피 야야:희어. 희어져. -[白]+아/어/야. 져지 주012) 져지:젖이. 졎+이. ‘졎〉젖’의 단모음화는 근대국어 시기에 발생함.
외리라 니 즉재 주013) 즉재:이 책에는 ‘즉재’(65ㄴ, 70ㄴ)이 쓰이고 있으나, 유일하게 ‘즉자히’(64ㄴ)도 쓰였다.
모미 녜티 외오 피 야 져지 외니  더욱 端正더니 니러 帝…(118 ㄱ 이하 낙장)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수사제 태자의 효양행 12]
천왕석이 이르되, “그대가 속절없는 말을 하니, 누가 그대를 믿으리오?” 수사제가 맹세하되, “내가 천왕석을 속이는 것이면 내 몸이 끝끝내 아물지 못하고 그렇지 아니하면 내 몸이 옛날같이 되고, 피가 희어서 젖이 되리라.” 하니까 즉시 몸이 옛날같이 되고, 피가 희어 젖이 되니, 모양이 더욱 단정하더니 일어나 제…(118 ㄱ 이하 낙장)
Ⓒ 역자 | 김영배 / 2004년 11월 20일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뉘:누가. 누[誰]+ㅣ. 현대국어 ‘누구’는 ‘누(의문대명사)+고(의문보조사)’가 어휘화한 것이다. 현대국어에서 ‘누/누구’가 다 쓰이는 것은 이에 말미암은 것이다. 한편 이렇게 어휘화한 ‘누구’에 ‘-인가’가 결합한 ‘누군가’ 역시 어휘화하여 여기에 조사가 결합한 ‘누군가가’가 쓰이고 있다.
주002)
미드료:믿으리오? 믿-[信]+리/으리+고/오(의문종결어미). ‘-오’는 의문종결어미 ‘-고’가 기원적으로 서술격조사를 갖고 있는 ‘-으리-’ 뒤에서 /ㄱ/이 약화한 후 탈락한 것.
주003)
나옷:내가. 나+옷(강세 보조사). ‘-옷’은 ‘-곳’의 이형태.
주004)
천왕석:천제석(天帝釋), 제석(帝釋)과 같음. 도리천의 주(主)임.
주008)
그리옷:그렇게. 그리+곳/옷(강세 보조사). ‘곳→옷’은 /ㄱ/이 약화하여 유성성문마찰음(자음) [ɦ]으로 실현된 것을 표기한 것.
주010)
녜티:옛날같이. 녜(명사)++이(부사형어미). ‘(부사)’에 ‘-’가 붙어 형용사 ‘-’가 파생되고, ‘니(+-+니)’와 같은 활용형을 ‘-+니’로 오분석하게 된 결과 새로운 어간 ‘-’이 만들어졌다. 한편 이 ‘-’은 음절말에서는 8종성표기법에 의해 ‘-’으로 적힌다.
주012)
져지:젖이. 졎+이. ‘졎〉젖’의 단모음화는 근대국어 시기에 발생함.
주013)
즉재:이 책에는 ‘즉재’(65ㄴ, 70ㄴ)이 쓰이고 있으나, 유일하게 ‘즉자히’(64ㄴ)도 쓰였다.
책목차이전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