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0
  • 수사제 태자의 효양행[본생담]
  • 수사제 태자의 효양행 7
메뉴닫기 메뉴열기

수사제 태자의 효양행 7


[수사제 태자의 효양행 7]
父母ㅣ 그 말 드르샤  예 아니 한 주001)
아니 한:
많지 않은. 아니(부사)#하-[多]+ㄴ.
고기 어더 세 기제 호아 주002)
호아:
나누어. 호-[分]+아/어.
나란 주003)
나란:
하날랑. 낳[一]+란/으란(보조사).
아기 머기고

월인석보 20:113ㄱ

둘흐란 주004)
둘흐란:
둘일랑. 둟+으란(보조사).
걔 주005)
걔:
자기가. 갸[自家]+ㅣ(주격조사). ‘갸’는 현대국어 3인칭 높임의 ‘당신’과 같음.
좌시고 父母ㅣ 여희여 가거시 湏闍提 니러 주006)
니러:
일어나. 닐-[立].
셔 이셔 父母를 라더니 父母ㅣ 목 노하 울며 길흘 조차 가더시다 주007)
가더시다:
가시었다. 가-+더+시+다. ‘-시-’ 뒤에서는 ‘-다’가 ‘-더-’ 뒤에서는 ‘-라’가 쓰임.
父母ㅣ 몯 보긔 주008)
몯 보긔:
못 보게.
머리 주009)
머리:
멀리. 멀-+이. ‘-이’는 부사파생접미사.
니거시 주010)
니거시:
가시거늘. ‘니-[去]+거+시+. -’은 항상 ‘-거/어/아-’와 결합하여 나타나므로 더 이상 분석하지 않고 불연속형태소 ‘-거/어/아…’을 인정하기도 한다. 과거시제·완료·확정법을 나타내는 선어말어미는 일반적으로 자동사·형용사·서술격조사에서는 ‘-거-’가 쓰이고, 타동사에서는 ‘-어-, -아-’가 쓰임.
太子ㅣ 父母를 그리 오래 라다가 주011)
라다가:
바라보다가. 라-[望]+(주체겸양 선어말어미)+다가.
해 그우러디니 주012)
그우러디니:
굴러 넘어지니. 그울-[轉]+아/어+디-[落]+니.
十方

월인석보 20:113ㄴ

모히 주013)
모히:
모기들이. 모[蚊]++이. 현대 경상도 방언에서는 ‘모기’를 ‘모개이’라 함.
핏내 맏고 주014)
맏고:
맡고. 맡-[嗅]. ‘맏-’은 ‘맡-’의 8종성표기.
모다 와 모매 주015)
차:
가득 차. -[滿]+아. ‘(몸을) 걸터앉다’의 뜻으로 보이기도 함.
안자셔 주016)
안자셔:
앉아서. 앉-+아셔. ‘-아셔’는 기원적으로 ‘아(연결어미)+시-[有]+어’의 구조. ‘시-’는 ‘이시-’의 이형태.
니 주017)
니:
빠니. -[吸]+(/으)니. /ㄴ/ 앞에서 /ㄹ/ 탈락. 현대국어에서는 /ㄹ/로 끝나는 어간이 매개모음을 가진 어미와 결합할 때, /ㄹ/이 탈락하고 매개모음이 나타나지 않으나, 중세국어에서는 이와 다른 모습을 보인다. 그런데 어간 말음 /ㄹ/과 매개모음을 가진 ‘-니/으니’가 결합할 때에는 매개모음이 나타나지 않고 /ㄹ/이 탈락한다.
셜미 주018)
셜미:
설움이. -+움+이.
몯내 주019)
몯내:
끝까지 다하지 못-.
니르리러라 주020)
니르리러라:
이르겠더라. 말하겠더라. 니르-[謂]+리+더/러+라. 기원적으로 서술격조사를 갖고 있는 ‘-리-’ 뒤에서 ‘-더-’가 ‘-러-’로 교체됨. ‘니르/니를-’ 두 어간형이 쓰임. 현대국어 불규칙 활용형 ‘이르러’는 ‘니를-’의 활용형 ‘니르러’가 화석으로 남은 것이다. ‘-더-’ 뒤에서는 평서문 종결어미 ‘-다’가 ‘-라’로 교체됨.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수사제 태자의 효양행 7]
부모가 그 말을 들으시어 마디 사이에 많지 않은 고기를 얻어 세 몫에 나누어 하날랑 아기 먹이고 둘랑 당신이 자시고, 부모가 여의어 가시거늘 수사제가 일어나서 부모를 바라보더니, 부모가 목 놓아 울며 길을 따라 가시었다. 부모가 〈수사제가〉 볼 수 없도록 멀리 가시거늘 태자가 부모를 그리워하여 오래 바라보다가 땅에 굴러넘어지니, 시방의 모기들이 피 냄새를 맡고 모여 와서 몸에 〈가득〉 차게 앉아 〈붙어〉서 〈피를〉 빠니, 설움이 말로 다 할 수 없겠더라.
Ⓒ 역자 | 김영배 / 2004년 11월 20일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아니 한:많지 않은. 아니(부사)#하-[多]+ㄴ.
주002)
호아:나누어. 호-[分]+아/어.
주003)
나란:하날랑. 낳[一]+란/으란(보조사).
주004)
둘흐란:둘일랑. 둟+으란(보조사).
주005)
걔:자기가. 갸[自家]+ㅣ(주격조사). ‘갸’는 현대국어 3인칭 높임의 ‘당신’과 같음.
주006)
니러:일어나. 닐-[立].
주007)
가더시다:가시었다. 가-+더+시+다. ‘-시-’ 뒤에서는 ‘-다’가 ‘-더-’ 뒤에서는 ‘-라’가 쓰임.
주008)
몯 보긔:못 보게.
주009)
머리:멀리. 멀-+이. ‘-이’는 부사파생접미사.
주010)
니거시:가시거늘. ‘니-[去]+거+시+. -’은 항상 ‘-거/어/아-’와 결합하여 나타나므로 더 이상 분석하지 않고 불연속형태소 ‘-거/어/아…’을 인정하기도 한다. 과거시제·완료·확정법을 나타내는 선어말어미는 일반적으로 자동사·형용사·서술격조사에서는 ‘-거-’가 쓰이고, 타동사에서는 ‘-어-, -아-’가 쓰임.
주011)
라다가:바라보다가. 라-[望]+(주체겸양 선어말어미)+다가.
주012)
그우러디니:굴러 넘어지니. 그울-[轉]+아/어+디-[落]+니.
주013)
모히:모기들이. 모[蚊]++이. 현대 경상도 방언에서는 ‘모기’를 ‘모개이’라 함.
주014)
맏고:맡고. 맡-[嗅]. ‘맏-’은 ‘맡-’의 8종성표기.
주015)
차:가득 차. -[滿]+아. ‘(몸을) 걸터앉다’의 뜻으로 보이기도 함.
주016)
안자셔:앉아서. 앉-+아셔. ‘-아셔’는 기원적으로 ‘아(연결어미)+시-[有]+어’의 구조. ‘시-’는 ‘이시-’의 이형태.
주017)
니:빠니. -[吸]+(/으)니. /ㄴ/ 앞에서 /ㄹ/ 탈락. 현대국어에서는 /ㄹ/로 끝나는 어간이 매개모음을 가진 어미와 결합할 때, /ㄹ/이 탈락하고 매개모음이 나타나지 않으나, 중세국어에서는 이와 다른 모습을 보인다. 그런데 어간 말음 /ㄹ/과 매개모음을 가진 ‘-니/으니’가 결합할 때에는 매개모음이 나타나지 않고 /ㄹ/이 탈락한다.
주018)
셜미:설움이. -+움+이.
주019)
몯내:끝까지 다하지 못-.
주020)
니르리러라:이르겠더라. 말하겠더라. 니르-[謂]+리+더/러+라. 기원적으로 서술격조사를 갖고 있는 ‘-리-’ 뒤에서 ‘-더-’가 ‘-러-’로 교체됨. ‘니르/니를-’ 두 어간형이 쓰임. 현대국어 불규칙 활용형 ‘이르러’는 ‘니를-’의 활용형 ‘니르러’가 화석으로 남은 것이다. ‘-더-’ 뒤에서는 평서문 종결어미 ‘-다’가 ‘-라’로 교체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