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0
  • 〈협주〉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본생담]
  •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44
메뉴닫기 메뉴열기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44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44]
거라 두 아 주001)
아:
아이. 아[兒]+∅(관형격조사). 체언 말음 ‘’ 뒤에서 관형격조사 ‘’가 생략됨.
아바
러 울며 닐오 내 
 보 이런 거슬 몯
빵羅門이 아
다 우리 어마니미 주002)
어마니미:
어머님이.
거늘 아바니미

월인석보 20:77ㄱ

밧바다 주003)
밧바다:
발바닥이. 발+ㅅ+바+이. 관형격조사 ‘ㅅ’ 앞에서 ‘ㄹ’ 탈락.
기고 두 져지 흘
아래 주004)
아래:
예전에는. :아·래[前日], 아·래[下]로 방점이 달랐음.
이런 荒
니 이 果實 야
주005)
내:
나의. 나+ㅣ(관형격)→내(평성). 인칭대명사의 주격 형태와 관형격 형태는 다음과 같이 성조에 의해 구별되는 일이 많다. ①·내(주격), 내(관형격) ② :네(주격), 네(관형격) ③·뉘(주격), :뉘(관형격), ④ :제(주격), 제(관형격).
아기 보아 주006)
보아:
보아야. 보-[見]+아(선어말어미)+(의무, 당연). [의무], [당연], [강조]를 나타내는 보조사 ‘-’는 체언, 조사, 어미 뒤에 두루 통합할 수 있음. ‘’는 ‘-거-’에 직접 통합하기도 하는데, ‘-’가 보조사라면 ‘-거-’는 어말어미가 될 수밖에 없는데, 기원적으로 ‘-거-’는 어말어미였던 것이 선어말어미로 변화한 것으로 보인다. ‘보아’의 ‘-아-’는 ‘-거-’의 이형태로 보인다. 이 ‘-아-’와 어말어미 ‘-아’는 기원이 같은 것으로 생각된다.
緣故 주007)
연고:
까닭.
ㅣ 잇가
리고 도라오더니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44]
… 거슬러 두 아이 아버 … 러 울며 이르기를, 내 자 …을 보되, 이런 것을 못 … 바라문이 … 아 … 다 우리 어머님이 과 … 거늘 아버님이 …… 쪽 발바닥이 … 기고 두 젖이 흘 … 되 예전에는 이런 황 … 니 이 과일 하여 … 내 아기를 보아야 하 … 연고가 있는가 … 리고 오더니
Ⓒ 역자 | 김영배 / 2004년 11월 20일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아:아이. 아[兒]+∅(관형격조사). 체언 말음 ‘’ 뒤에서 관형격조사 ‘’가 생략됨.
주002)
어마니미:어머님이.
주003)
밧바다:발바닥이. 발+ㅅ+바+이. 관형격조사 ‘ㅅ’ 앞에서 ‘ㄹ’ 탈락.
주004)
아래:예전에는. :아·래[前日], 아·래[下]로 방점이 달랐음.
주005)
내:나의. 나+ㅣ(관형격)→내(평성). 인칭대명사의 주격 형태와 관형격 형태는 다음과 같이 성조에 의해 구별되는 일이 많다. ①·내(주격), 내(관형격) ② :네(주격), 네(관형격) ③·뉘(주격), :뉘(관형격), ④ :제(주격), 제(관형격).
주006)
보아:보아야. 보-[見]+아(선어말어미)+(의무, 당연). [의무], [당연], [강조]를 나타내는 보조사 ‘-’는 체언, 조사, 어미 뒤에 두루 통합할 수 있음. ‘’는 ‘-거-’에 직접 통합하기도 하는데, ‘-’가 보조사라면 ‘-거-’는 어말어미가 될 수밖에 없는데, 기원적으로 ‘-거-’는 어말어미였던 것이 선어말어미로 변화한 것으로 보인다. ‘보아’의 ‘-아-’는 ‘-거-’의 이형태로 보인다. 이 ‘-아-’와 어말어미 ‘-아’는 기원이 같은 것으로 생각된다.
주007)
연고:까닭.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