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0
  • 월인천강지곡 기349~기405(57곡)
  • 월인천강지곡 기351
메뉴닫기 메뉴열기

월인천강지곡 기351


其 三百五十一
妃子 주001)
비자:
태자비.
 드리샤 보로 비더시니 주002)
비더시니:
꾸미시더니. 단장하시더니. 비-[扮]+더+시+니. 종래의 사전에서는 ‘빗다’를 기본형으로 보았으나, 그것은 잘못임. ‘-고’는 매개모음을 갖고 있지 않은 어미이므로, ‘빗/-’에 ‘-고’가 통합한다면, ‘빗고’가 될 것이다.
오누의 주003)
오누의:
오누이를.
나시니

월인석보 20:39ㄴ

아바긔 請샤 府庫 여르시니 주004)
여르시니:
여시니. 열-[開]+으시+니. 현대국어에서는 /ㄹ/로 끝나는 어간이 매개모음을 가진 어미와 결합할 때, /ㄹ/이 탈락하고 매개모음이 나타나지 않으나, 중세국어에서는 이와 다른 모습을 보인다.
것 주005)
것:
거지를.
救시니【府 모 주006)
모:
모으는. 몯-[集]+(관형사형어미).
씨니 쳔 주007)
천:
재물.
모 히라 주008)
히라:
땅이다. 곳이다. +이+다/라. 평서법 종결어미 ‘-다’는 서술격조사 또는 ‘-오-, -더-, -니-, -리-’ 등의 선어말어미 뒤에서 ‘-라’로 교체됨.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기 삼백오십일
태자비를 맞아들이시어 보배로 단장하〈게 하〉시더니, 오누이를 낳으시니.
아버님께 청하시어 부고를 여시니, 거지를 구하시니【‘부’는 모으는 것이니, 〈부고는〉 재물을 모아 둔 곳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4년 11월 20일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비자:태자비.
주002)
비더시니:꾸미시더니. 단장하시더니. 비-[扮]+더+시+니. 종래의 사전에서는 ‘빗다’를 기본형으로 보았으나, 그것은 잘못임. ‘-고’는 매개모음을 갖고 있지 않은 어미이므로, ‘빗/-’에 ‘-고’가 통합한다면, ‘빗고’가 될 것이다.
주003)
오누의:오누이를.
주004)
여르시니:여시니. 열-[開]+으시+니. 현대국어에서는 /ㄹ/로 끝나는 어간이 매개모음을 가진 어미와 결합할 때, /ㄹ/이 탈락하고 매개모음이 나타나지 않으나, 중세국어에서는 이와 다른 모습을 보인다.
주005)
것:거지를.
주006)
모:모으는. 몯-[集]+(관형사형어미).
주007)
천:재물.
주008)
히라:땅이다. 곳이다. +이+다/라. 평서법 종결어미 ‘-다’는 서술격조사 또는 ‘-오-, -더-, -니-, -리-’ 등의 선어말어미 뒤에서 ‘-라’로 교체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