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0
  • 대가섭의 정법 전지 ①
  • 대가섭의 정법 전지 1
메뉴닫기 메뉴열기

대가섭의 정법 전지 1


[대가섭의 정법 전지 1]
大梵天王 주001)
대범천왕:
색계(色界) 초선천(初禪天)의 왕.
靈山會 주002)
영산회:
석존이 영취산에서 법화경을 설했을 때의 모임.
예 와 金色 沙羅花로 世尊 주003)
:
-께. ㅅ(관형격조사. 높임 표시)+그/(명사)+의(부사격조사). 이 ‘-’가 ‘-께’로 변화함. /ㆁ/의 성격이 문제인데, 기원적으로는 명사 ‘’이 존재하였을 가능성도 있다. ‘ㆁ’이 들어간 ‘이, 뎌, 그’는 공통적으로 [장소]와 관련된 의미를 지닌다.
받고 주004)
받고:
바치고. 받-[奉, 獻]+(주체겸양 선어말어미)+고.
모 려 주005)
려:
버리어. 리-[捨]+아/어.
床座 주006)
상좌:
평상으로 된 자리.
외야 주007)
외야:
되어. 외-[爲]+아/어/야. -〉외-.
부텻 주008)
부텻긔:
부처님께. 부텨+. 기원적으로는 ‘-ㅅ’은 무정체언이나 높임의 자질을 가진 체언 뒤에 쓰이는 관형격조사이고, ‘그’ 또는 ‘’은 장소를 나타내는 명사이며, ‘-의’는 형태는 관형격조사이나 기능은 부사격조사인 특수처소부사격조사로 보이는데, 이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는데, 대개 ‘시간, 처소, 방향’을 나타내는 어휘들이 이런 경향을 보인다.
 주009)
:
하오되. 하되. -+(주체겸양 선어말어미)+오/우+.
衆生 爲야 說法쇼셔 주010)
쇼셔:
하소서. -+쇼셔.
世尊

월인석보 20:2ㄱ

이 座애 주011)
:
겨우. 갓. 처음. 방금. ‘ 오샤’는 ‘오르자마자’란 뜻이라 생각된다.
오샤 고 드러 주012)
한:
많은. 하-[多]+ㄴ.
사 주013)
사:
사람을. 사+/을. 목적격조사 ‘-/을’은 부사격조사와 같은 기능으로도 쓰였다. 현대국어에도 ‘주다’류 동사 앞에서 ‘-을/를’이 이런 용법으로 쓰인다.
뵈신대 주014)
뵈신대:
보이시니까. 보-+ㅣ(사동접미사)+시+ㄴ대.
人天 百萬億 大衆이 다 아란 주015)
아란:
아무런. 아랗-+ㄴ.
디신 주016)
디신:
뜻이신. +이+시+ㄴ. ‘’은 근대국어 시기에 ‘’으로 변화함.
주017)
:
줄. 의존명사.
몰라 주018)
몰라:
몰라. 모-[不知]+아. ‘/르’ 불규칙활용 중 이른바 ‘ㄹㄹ’형. ‘ㄹㅇ’형에는 ‘다-[異], 그르-[解], 게으르-[懶怠]’ 등이 있고, ‘ㄹㄹ’형에는 ‘-[速], 모-, 므르-[退], 브르-[呼]’ 등이 있다.
거늘 오 金色頭陀ㅣ 破顔微笑더니 주019)
더니:
했다. ‘-니, -리’가 종결 기능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 때에는 일반적으로 반말체인 것으로 본다.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대가섭의 정법 전지 1]
대범천왕영산회에 와서 금색 사라화를 세존께 바치고 몸을 버려서 상좌가 되어 부처님께 청하기를 “중생을 위하여 설법해 주소서.” 세존이 자리에 갓 오르시어 꽃을 들어 많은 사람에게 보이시니까, 인천 백만억 대중이 다 아무런 뜻이신 줄을 몰라 하거늘, 혼자 금색두타가 파안미소하더니.
Ⓒ 역자 | 김영배 / 2004년 11월 20일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대범천왕:색계(色界) 초선천(初禪天)의 왕.
주002)
영산회:석존이 영취산에서 법화경을 설했을 때의 모임.
주003)
:-께. ㅅ(관형격조사. 높임 표시)+그/(명사)+의(부사격조사). 이 ‘-’가 ‘-께’로 변화함. /ㆁ/의 성격이 문제인데, 기원적으로는 명사 ‘’이 존재하였을 가능성도 있다. ‘ㆁ’이 들어간 ‘이, 뎌, 그’는 공통적으로 [장소]와 관련된 의미를 지닌다.
주004)
받고:바치고. 받-[奉, 獻]+(주체겸양 선어말어미)+고.
주005)
려:버리어. 리-[捨]+아/어.
주006)
상좌:평상으로 된 자리.
주007)
외야:되어. 외-[爲]+아/어/야. -〉외-.
주008)
부텻긔:부처님께. 부텨+. 기원적으로는 ‘-ㅅ’은 무정체언이나 높임의 자질을 가진 체언 뒤에 쓰이는 관형격조사이고, ‘그’ 또는 ‘’은 장소를 나타내는 명사이며, ‘-의’는 형태는 관형격조사이나 기능은 부사격조사인 특수처소부사격조사로 보이는데, 이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는데, 대개 ‘시간, 처소, 방향’을 나타내는 어휘들이 이런 경향을 보인다.
주009)
:하오되. 하되. -+(주체겸양 선어말어미)+오/우+.
주010)
쇼셔:하소서. -+쇼셔.
주011)
:겨우. 갓. 처음. 방금. ‘ 오샤’는 ‘오르자마자’란 뜻이라 생각된다.
주012)
한:많은. 하-[多]+ㄴ.
주013)
사:사람을. 사+/을. 목적격조사 ‘-/을’은 부사격조사와 같은 기능으로도 쓰였다. 현대국어에도 ‘주다’류 동사 앞에서 ‘-을/를’이 이런 용법으로 쓰인다.
주014)
뵈신대:보이시니까. 보-+ㅣ(사동접미사)+시+ㄴ대.
주015)
아란:아무런. 아랗-+ㄴ.
주016)
디신:뜻이신. +이+시+ㄴ. ‘’은 근대국어 시기에 ‘’으로 변화함.
주017)
:줄. 의존명사.
주018)
몰라:몰라. 모-[不知]+아. ‘/르’ 불규칙활용 중 이른바 ‘ㄹㄹ’형. ‘ㄹㅇ’형에는 ‘다-[異], 그르-[解], 게으르-[懶怠]’ 등이 있고, ‘ㄹㄹ’형에는 ‘-[速], 모-, 므르-[退], 브르-[呼]’ 등이 있다.
주019)
더니:했다. ‘-니, -리’가 종결 기능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 때에는 일반적으로 반말체인 것으로 본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