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법화경언해 권2

  • 역주 법화경언해
  • 역주 법화경언해 권2
  • 비유품 제3
  • 5. 삼거화택의 비유 8
메뉴닫기 메뉴열기

5. 삼거화택의 비유 8


二. 捨几用車譬二○初. 捨几譬二○初. 勸門擬宜三○初. 擬宜
舍利弗아 是長者ㅣ 作是思惟호 我ㅣ 身手ㅣ 有力호니 當以衣裓이어나 若以几

법화경언해 권2:61ㄱ

案으로 從舍出之호려 타가
二. 不受
復更思惟호 是舍ㅣ 唯有一門고 而復狹小니

〔본문〕 舍利弗아 이 長者ㅣ 이  호 내 몸과 손괘 주001)
몸과 손괘:
몸과 손이.
히미 잇노니 반기 衣裓 주002)
의극:
꽃을 담는 그릇으로 귀인께 바칠 때 쓴다 함.
이어나 주003)
-이어나:
-이거나.
几案로 【几

법화경언해 권2:61ㄴ

案 비겨 주004)
비겨:
기대어. 의지하여. 비기-[倚]+어.
 주005)
:
앉는.
거시니 案은 너브니라 주006)
너브니라:
넓은 것이다.
지블 從야 내요려 타가 주007)
내요려 타가:
내려 하다가.
 다시 호 이 지비 오직  門이 잇고  좁고 져그니

〔본문〕 사리불아, 이 장자가 이런 생각을 하기를, ‘내 몸과 손이 힘이 있으니 반드시 의극이거나 궤안으로 【궤안은 기대어 앉는 것이니, 안은 넓은 것이다.】 집을 따라(=집에서) 〈아들을 끌어〉내려 하다가 또 다시 생각하기를, 이 집이 오직 한 문만이 있고 또 좁고 적으니,

沈思救焚之方也ㅣ라 謂恃身手ㅣ 有力야 顧幼稚之微야 欲以衣裓으로 密挾而出之며 或以几案으로 憑挈而出之코져 타가 又思其門이 狹小야 不可用此 但以殷勤方便으로 引而出之也ㅣ라 시니 此 譬三七思惟設敎之意시니라 身手 全體니 譬如來ㅅ 知見과 力과 無所畏와 시고 衣裓密用은 譬

법화경언해 권2:62ㄱ

有大神力시고 几案可憑은 譬智慧力시고 其門이 狹小 譬二乘이 心劣야 不堪此法시니 故로 後文에 云샤 若我ㅣ 但以神力과 及智慧力으로 讚如來知見力無所畏者ㅣ면 衆生이 不能以是로 得度故로 但以方便으로 抜濟之也ㅣ라 시니라 三藏法師ㅣ 云호 衣裓者 西國盛華之具ㅣ니 貢上貴人에 用之니라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블 브툼 주008)
브툼:
붙음.
주009)
-홀:
-할.
術을 히 주010)
히:
잠잠히.
 씨라 주011)
 씨라:
생각하는 것이다.
니샤 몸과 손괘 힘 이슈믈 미더 져믄 주012)
져믄:
어린. 졈-[稚]+은.
아 주013)
아:
아이의.
져구믈 도라 보아 衣裓으로

법화경언해 권2:62ㄴ

니 주014)
:
끼어. -[挾]+어.
내며 시혹 几案로 비겨 자바 내오져 타가 주015)
내오져 타가:
내고자 하다가.
 호 그 門이 좁고 져거 이 디 주016)
디:
쓰지. -[用]+디.
몯릴 주017)
몯릴:
못할 것이므로.
오직 브즈러니 주018)
브즈러니:
부지런히.
方便으로  내니라 주019)
 내니라:
끌어 내니라. 끌어낸 것이다.
시니 이 세 닐웨 주020)
세 닐웨:
세 이레를. 21일을.
敎化 펴샬 주021)
펴샬:
펴실.
더신 주022)
더신:
생각하시던.
들 가비시니라 몸과 손과 온 體니 如來ㅅ 知見과 力과 無所畏 주023)
무소외:
두려움을 알지 못하는 자신.
와 가비시고 衣裓 니  주024)
:
씀은. -+옴/움+.
큰 神力 두샤 주025)
두샤:
두심을.
비시고 几案 어루 비규 주026)
비규:
기댐은. 비기-+옴/움+.
智慧力을 가비시고 그 門이 좁고 져고 주027)
져고:
적음은. 젹-+옴/움+.
二乘이 미 사오나와 주028)
사오나와:
사나와. 나빠. 못나서. 사오-.
이 法 이긔디 주029)
이긔디:
이기지. 이긔-[勝]+디.
몯호 가비시니 그럴 後文에 니샤 다가 내 오직 神力과 智慧力으로 如來ㅅ 知見과 力과 無所畏 기리면 衆生이 能히 일로 得度 몯릴 주030)
몯릴:
못할 것이므로.
오직 方便으로  주031)
:
빼어. 빼내어. -[拔]+어.
濟度

법화경언해 권2:63ㄱ

노라 시니라 三藏法師 주032)
삼장법사:
중국 당나라의 현장법사를 달리 이른 것.
ㅣ 닐오 衣裓은 西國에셔 주033)
곳:
꽃.
담 그르시니 貴人 貢야 올요매 주034)
올요매:
올림에. 올이-[上]+옴/움+애.
니라 주035)
니라:
쓰느니라. 쓰는 것이다.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불붙는 것 구할 방법을 잠잠히 생각하는 것이다. 이르시기를, ‘몸과 손이 힘 있음을 믿고 어린 아이가 작음을 돌아보아 의극으로 가만히 끼어 내며 혹 궤안으로 기대어 잡아 내고자 하다가 또 생각하기를 그 문이 좁고 작아서 이 〈방법을〉 쓰지 못할 것이므로 다만 부지런히 방편으로 끌어내리라.’ 하시니, 이는 〈성도 하시고〉 세 이레를 교화 펴실 일을 생각하시던 뜻을 비유하신 것이다. 몸과 손은 몸 전체이니, 여래의 지견과 힘과 무소외를 비유하시고, 의극을 가만히 쓰는 것은 큰 신통력 두심을 비유하시고, 그 문이 좁고 작은 것은 2승이 마음이 사나와서 이 법을 이기지 못함을 비유하시니, 그러므로 뒷글에 이르시기를, ‘만일 내가 오직 신통력과 지혜의 힘으로 여래의 지견과 힘과 무소외를 기리면 중생은 능히 이것으로 득도를 못할 것이므로 오직 방편으로 빼내어 제도하노라.’ 하신 것이다. 삼장법사가 이르기를, ‘의극은 인도에서 꽃 담는 그릇이니, 귀인께 바쳐 올릴 때에 쓰는 것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1년 10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6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몸과 손괘:몸과 손이.
주002)
의극:꽃을 담는 그릇으로 귀인께 바칠 때 쓴다 함.
주003)
-이어나:-이거나.
주004)
비겨:기대어. 의지하여. 비기-[倚]+어.
주005)
:앉는.
주006)
너브니라:넓은 것이다.
주007)
내요려 타가:내려 하다가.
주008)
브툼:붙음.
주009)
-홀:-할.
주010)
히:잠잠히.
주011)
 씨라:생각하는 것이다.
주012)
져믄:어린. 졈-[稚]+은.
주013)
아:아이의.
주014)
:끼어. -[挾]+어.
주015)
내오져 타가:내고자 하다가.
주016)
디:쓰지. -[用]+디.
주017)
몯릴:못할 것이므로.
주018)
브즈러니:부지런히.
주019)
 내니라:끌어 내니라. 끌어낸 것이다.
주020)
세 닐웨:세 이레를. 21일을.
주021)
펴샬:펴실.
주022)
더신:생각하시던.
주023)
무소외:두려움을 알지 못하는 자신.
주024)
:씀은. -+옴/움+.
주025)
두샤:두심을.
주026)
비규:기댐은. 비기-+옴/움+.
주027)
져고:적음은. 젹-+옴/움+.
주028)
사오나와:사나와. 나빠. 못나서. 사오-.
주029)
이긔디:이기지. 이긔-[勝]+디.
주030)
몯릴:못할 것이므로.
주031)
:빼어. 빼내어. -[拔]+어.
주032)
삼장법사:중국 당나라의 현장법사를 달리 이른 것.
주033)
곳:꽃.
주034)
올요매:올림에. 올이-[上]+옴/움+애.
주035)
니라:쓰느니라. 쓰는 것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