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법화경언해 권2

  • 역주 법화경언해
  • 역주 법화경언해 권2
  • 신해품 제4
  • 2. 궁자의 비유 [2] 부자가 서로 만나다 2
메뉴닫기 메뉴열기

2. 궁자의 비유 [2] 부자가 서로 만나다 2


三. 喩怯頓
遙見其父ㅣ 踞師子床야 寶几承足이어든諸婆羅門과 刹利와 居士왜 皆恭敬圍繞며以眞珠瓔珞이 價直千萬으로 莊嚴其身며吏民僮僕이 手執白拂야 侍立左右며覆以寶帳고 垂諸華幡며香水灑地고 散衆名華며羅列寶物고 出內取與야 有如是等種種嚴飾야 威德이 特尊커窮子ㅣ 見父의 有大力勢고 卽懷恐怖야 悔來至此야 竊作是念호此ㅣ 或是王이어나 或是王等이라非我의 傭力야 得物之處ㅣ로소니不如徃至貧里면 肆力有地야 衣食易得이로다若久住此면 或見逼迫야 强使我作리로다作是念已고 疾走而去대

〔본문〕

법화경언해 권2:194ㄱ

머리셔 주001)
머리셔:
멀리서.
보 제 아비 師子床 주002)
사자상:
부처님이 앉는 자리.
걸안자 주003)
걸안자:
걸터앉아. 걸앉-[踞].
寶几 주004)
보궤:
앉을 때 몸을 기대는 방석.
바댓거든 주005)
바댓거든:
받들었거든. 받았거든.
婆羅門 주006)
바라문:
인도의 4성(姓) 중 가장 높은 계급.
刹利 주007)
찰리:
4성 중 둘째인 왕족, 무사 계급.
居士 주008)
거사:
집에 사는 선비.
주009)
-와~-왜:
-와~-이/가.
다 恭敬 圍繞 주010)
위요:
빙 둘러 쌈.
며 眞珠 瓔珞 주011)
영락:
부처, 보살의 장신구.
이 갑시 千萬 니로 주012)
니로:
비싼 것으로. 값이 있는 것으로. -[高價].
그 모 莊嚴며 吏民 주013)
이민:
지방의 아전과 백성.
僮僕 주014)
동복:
사내아이 종.
이 소내 白拂 자바 左右에 侍衛 주015)
시위:
임금을 곁에서 모시고 호위함.
야 셔

법화경언해 권2:194ㄴ

며 보 帳 둡고 주016)
둡고:
덮고. 둪-[蓋].
여러 가짓 빗난 幡 드리우며 香 믈로 해 주017)
해:
땅에. ㅎ[地].
리고 한 일훔난 곳 비흐며 주018)
비흐며:
뿌리며. 빟-[散].
寶物 버리고 주019)
버리고:
벌이고. 버리-[設].
내며 드리며 가지며 주어 이러틋 주020)
이러틋:
이렇듯 한. 이런.
種種로 싁싀기 주021)
싁싀기:
장엄하게.
며 威德이 特別히 尊커늘 窮子ㅣ 아비의 큰 力勢 이슈믈 주022)
이슈믈:
있음을. 이시-+옴/움+을.
보고 즉재 주023)
즉재:
즉시. 곧.
두리요 주024)
두리요:
두려워함을. 두리-[畏].
머거 이 주025)
이:
이에. 여기에.
오 주026)
오:
옴을. 오-+옴/움+.
뉘으처 그기 주027)
그기:
그윽이.
이 念을 호 이 시혹 이 王이어나 주028)
-이어나:
-이거나.
시혹 이 王等 주029)
왕등:
왕 같은 사람.
이라 내 주030)
내:
나의. 매김토가 이중으로 씌었는데, ‘용력하여’의 임자말로 쓰임.
傭力 주031)
용력:
고용되어 일함.
야 物 어둘 주032)
어둘:
얻을.
히 주033)
히:
땅이. 곳이.
아니로소니 주034)
아니로소니:
아니니. 아니+(ㅣ)+도소+니.
艱難 해 가면 힘 펼 히 이셔 옷 밥 수이 주035)
수이:
쉽게.
어드리만 주036)
어드리만:
얻는 것만.
디 몯도다 주037)
몯도다:
못하도다.
다가 이 오래 住면 시혹 다와도 주038)
다와도:
다그침을. 다왇-[逼]+옴/움+.
보아 주039)
긋:
꼭. 퍽. 굳이. 억지로.
나 브려 지리로다 이 念고 리 주040)
리:
빨리.
라간대 주041)
라간대:
달려가니까.

〔본문〕 멀리서 보니까 제 아비가 사자상에 걸터앉아 보궤로 발을 받쳤는데, 많은 바라문과 찰리와 거사가 다 공경하고 빙 둘러 싸며, 진주 영락이 값이 천만이나 비싼 것으로 그 몸을 장엄하였으며, 이민과 동복이 손에 백불을 잡고 좌우에 모시고 섰으며, 보배 휘장을 덮고 여러 가지 빛난 번을 드리우며, 향물을 땅에 뿌리고 많은 이름난 꽃을 뿌리며, 보물을 벌이고 내고 들이며 가지며 주어 이러한 갖가지로 장엄하게 꾸며 위덕이 특별히 높으니, 가난한 아들은 아비의 큰 세력 있음을 보고, 곧 두려워함을 품어 여기에 왔음을 뉘우쳐 그윽이 이런 생각을 하되, ‘이는 혹 왕이거나 혹은 왕 같은 사람이다. 내가 용력하여 물건을 얻을 땅이 아니니, 〈차라리〉 가난한 마을에 가면 〈내〉 힘을 펼 곳이 있어서 옷, 밥이 쉽게 얻어지는 것만 같지 못하도다. 만일, 여기에 오래 머무르면 혹은 다그침을 보아 굳이 나를 부리어 일을 하게 할 것이로다.’ 이런 생각을 하고 빨리 달려가니까,

譬二乘의 初聞佛果萬德種智之事고 而迷小怖大也니라遙見其父 譬未能親證고踞師子床者 表無畏之德也ㅣ오寶几承足者 尊萬行之本也ㅣ라萬行은 本眞호 而能涉俗故로 刹利居士ㅣ 皆悉圍繞니二乘은 不能涉俗矣니라因萬行야 以成萬德故로 以眞珠瓔珞으로 莊嚴其身니二乘은 無此莊嚴矣니라吏 所以治오 民은 所以役이오僮은 任輕고 僕은 任重니譬一乘法中엔 所治와 所役과 輕重纖悉之法이 無不備者  니所謂治世語言과 資生業等이 皆順正法이시니라但以不染不偏으로 爲尙故로 執白拂야 侍左右니蓋拂은 能去塵이오白은 言不染이오左右 表拂去空假之塵야 而歸中道也ㅣ라寶帳은 譬慈悲廣被故로 言覆고華幡은 譬衆善下化故로 言垂니라水 譬智고 華 譬因니香水洒地者 以妙智로 淨衆生心地也ㅣ오散衆名華者 以妙因으로 嚴衆生心地也ㅣ라羅列寶物은 所以示其玩好ㅣ오出內取與 所以隨其欲樂ㅣ니譬成就大根시고 而誘進小乘也ㅣ라上은 皆萬德種智之事ㅣ오自窮子見父已下 卽迷小怖大之事ㅣ라王은 謂國王이오王等은 謂王之族이니 譬法報二身也ㅣ라貧居里巷은 譬二乘小道고肆力有地 譬進修有方고非得物處 譬大法難證고衣食易得은 譬小果易求고或見逼迫은 譬慮佛道ㅣ 長遠야 久受勤苦니라內音은 納이니 或出或納也ㅣ라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법화경언해 권2:196ㄴ

二乘의 처 佛果 주042)
불과:
불도 수행의 결과.
萬德 種智ㅅ 일 듣고 小애 迷惑야 大예 두료 주043)
두료:
두려워함을. 두리-[懼].
가비니라 머리셔 주044)
머리셔:
멀리에서.
제 아비 보 能히 親히 證티 몯호 가비고 師子床애 걸안조 주045)
걸안조:
걸터앉음은.
저품 주046)
저품:
두려움. 저프-+옴/움.
업스신 德을 表고 寶几 발 바도 주047)
바도:
받듦은.
萬行 주048)
만행:
모든 수행.
미틀 주049)
미틀:
밑을. 근본을.
호미라 주050)
~호미라:
~함이다.
萬行 本來 眞호 能히 俗 버므리실 주051)
버므리실:
버무리므로. 얽매이므로.
刹利 居士ㅣ 다 圍繞니 二乘은 能히 俗 버므리디 주052)
버므리디:
말려들지. 버므리-[涉].
몯니라 萬行 因야 萬德을 일우실 주053)
일우실:
이루시므로.
眞珠 瓔珞로 그 모 莊嚴 주054)
장엄:
엄숙하게 장식된 모양. 아름답게 장식함.
니 二乘은 이 莊嚴이 업스니라
吏 다리 주055)
다리:
다스리는.
거시오 주056)
거시오:
것이고.
民은 브리 주057)
브리:
부리는. 부려지는. 브리-[使].
거시오 僮 가야온 주058)
가야온:
가벼운. 가-[輕].
것 지고 僕 무거운 것 지니 一乘法 中엔 다룜과 브륨과 주059)
브륨과:
부림과.
가야오며 므거운 주060)
므거운:
무거운. 므-[重].

법화경언해 권2:197ㄱ

纖悉 法이 【纖은 혀글 씨라 주061)
혀글 씨라:
작은 것이다. 가는 것이다. 혁-[小].
니 주062)
니:
구비된 것이. 「-」.
업슨  주063)
업슨 :
없는 줄을.
가비니 니샨 주064)
니샨:
이르신. 이르신바.
世間 다룔 주065)
다룔:
다스릴.
말와 주066)
말와:
말과.
資生욜 주067)
욜:
할.
業히 다 正法을 順타 샤미라 주068)
샤미라:
하심이다.
오직 더럽디 아니며 기우디 주069)
기우디:
기울지. 기울-[偏].
아니호로 주070)
호로:
함으로.
주071)
우:
위.
사실 주072)
사실:
삼으므로.
白拂 주073)
백불:
흰 털을 묶어서 자루 끝에 맨 총채 같은 것.
자바 左右에 侍衛니 拂은 能히 듣그를 주074)
듣그를:
티끌을. 듣글/드틀[塵].
앗고 주075)
앗고:
빼앗고. 앗-[奪].
요 주076)
요:
흼은. -[白]+옴/움+.
더럽디 아니호 니고 左右는 空 주077)
가:
임시로 상정(想定)된 것.
ㅅ 듣그를 러 려 中道 주078)
중도:
‘공’도 아니고 ‘가’도 아닌 절대의 진리.
가샤 주079)
가샤:
가심을.
表니라 寶帳 慈悲 너비 니피샤 주080)
니피샤:
입히심을. 니피-[被].
가빌 둡다 니고 華幡 주081)
화번:
부처님과 보살의 위덕을 나타내는 화려한 장신구인 깃발.
은 한 善으로 敎化 리오샤 주082)
리오샤:
내리게 하심을. 리오-.
가빌 드리우다 주083)
드리우다:
드리웠다(고).
니니라 므른 智 가비고 고 因을 가비니 香믈로 해 료 주084)
료:
뿌림은. 리-[灑].
妙智로 衆生 心地 조케 주085)
조케:
깨끗하게. 좋-[淨].
샤미오 주086)
샤미오:
하심이고.
한 일훔 난 곳 비호 주087)
비호:
흩뿌림은. 빟-[散].
妙因 주088)
묘인:
훌륭한 원인.
으로 衆生 心地 싁싁게 주089)
싁싁게:
장엄하게.
샤미라

법화경언해 권2:197ㄴ

버류믄 주090)
버류믄:
벌임은.
玩好 주091)
완호:
진귀한 노리갯감.
뵈요미오 내며 드리며 가지며 주믄 欲樂 조초미니 주092)
조초미니:
좇음이니. 좇-[隨].
大根 일우시고 小乘 달애야 주093)
달애야:
달래어. 달애-[誘].
나샤 주094)
나샤:
나아가게 하심을.
가비니라 우흔 주095)
우흔:
위는. 우ㅎ[上].
다 萬德 種智ㅅ 이리오 주096)
이리오:
일이고.
窮子ㅣ 見父 브터 아랜 곧 小애 迷惑야 大예 두리논 주097)
두리논:
두려워하는. 두리-[懼].
이리라 王 國王 니고 王等은 王ㅅ 아 주098)
아:
친족을. 친척을. 아[族].
니니 法報 二身을 가비니라 艱難히 사  주099)
:
마을은. ㅎ[村].
二乘의 小道 가비고 힘 펼  이슈믄 주100)
이슈믄:
있음은.
나 주101)
나:
나아가.
닷 주102)
닷:
닦을. -[修].
法 이슈믈 가비고 物 得홀 꼳 주103)
~홀 꼳:
~할 곳.
아니 주104)
아니:
아닌 것은. ‘아니’는 이름씨로 쓰임.
大法 주105)
대법:
위대한 법. 부처님의 가르침.
證호미 어려운  주106)
어려운 :
어려운 것을.
가비고 옷 밥 수이 어두믄 주107)
어두믄:
얻음은.
小果 수이 求호 가비고 시혹 다와도 주108)
다와도:
다그침을. 다왇-[逼].
보 佛道ㅣ 길오 주109)
길오:
길고.
머러 오래 勤苦 受까 주110)
까:
할까. -+ +가.
분별호 주111)
분별호:
근심함을. 분별-.
가비니라 內音은 納이니 시혹 주112)
시혹:
혹시. 때로.
내며 시혹 드릴 씨라 주113)
드릴 씨라:
들이는 것이다.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2승의 처음 불과인 만덕종지의 일을 듣고, 작은 것에 미혹하여 큰 것에 두려워함을 비유한 것이다. 멀리서 제 아비를 본 것은 능히 친히 깨닫지 못함을 비유하신 것이고, 사자상에 걸터앉은 것은 두려움 없으신 덕을 나타내고, 보궤로 발을 받듦은 만행의 근본을 높이는 것이다. 만행은 본래 참이로되 능히 세속을 얽매므로 찰리 거사가 다 빙 둘러 싸니, 2승은 능히 세속을 얽매지 못하는 것이다. 만행을 인하여 만덕을 이루므로 진주 영락으로 그 몸을 장엄하니, 2승은 이 장엄이 없는 것이다.
‘이’는 다스리는 것이고, ‘민’은 부려지는 것이고, ‘동’은 가벼운 것을 지고, ‘복’은 무거운 것을 지니, 1승의 법 가운데는 다스림과 부려짐과 가볍고 무거운 섬실한 【‘섬’은 작은 것이다.】 법이 구비되지 못한 것이 없는 것을 비유하니, 이른바 세간 다스릴 말과 자생할 업들이 다 정법을 순종한다고 하심이다. 오직 더럽지 아니하며 기울지 아니한 것으로 위를 삼으시므로 백불을 잡아 좌우에 시위하니 ‘불’은 능히 티끌을 빼앗고, 흰 것은 더럽지 아니함을 이르고 좌우는 ‘공’과 ‘가’의 티끌을 떨어 버리고 중도에 가심을 나타낸 것이다. 보장은 자비를 널리 입히심을 비유하므로 덮었다 하고 화번은 많은 ‘선’으로 교화 내리게 하심을 비유하므로 드리웠다고 말한 것이다. ‘물’은 지혜를 비유하고 ‘꽃’은 ‘인’을 비유하니, 향물로 땅에 뿌리는 것은 미묘한 지혜로 중생의 심지를 깨끗하게 하심이고, 많은 이름난 꽃을 뿌린 것은 미묘한 인연으로 중생의 심지를 장엄하게 하심이다.
보물을 벌인 것은 완호를 보임이고, 내고 들이며 가지고 준다는 것은 욕락을 따름이니, 큰 근기를 이루시고 소승을 달래어 나아가게 하심을 비유한 것이다. 위는 다 만덕 종지의 일이고, ‘가난한 아들이 아비를 보는 것’부터 아래는 곧 작은 것에 미혹하여 큰 것에 두려워하는 것이다. 왕은 국왕을 이르고 왕등은 왕의 친족을 이르니, 법신 주114)
법신:
영원한 이법(理法)으로서의 부처님.
보신 주115)
보신:
과거의 수행에 의해 공덕을 쌓은 보답을 즐기고 있는 부처님의 완전한 모습.
을 비유한 것이다. 가난하게 사는 마을은 2승의 작은 길을 비유한 것이고, 힘 펼 땅이 있음은 나아가 닦을 법이 있음을 비유한 것이고 물건 얻을 곳이 아닌 것은 큰 법을 증득하기 어려운 것을 비유한 것이고, 옷 밥을 쉽게 얻는다는 것은 작은 과보를 쉽게 구함을 비유한 것이고 그침을 본다는 것은 불도가 길고 멀어서 오래 근고를 받을까 근심함을 비유한 것이다. ‘내음’은 ‘납’이니 〈재물을〉 혹은 내며 혹은 들이는 것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1년 10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머리셔:멀리서.
주002)
사자상:부처님이 앉는 자리.
주003)
걸안자:걸터앉아. 걸앉-[踞].
주004)
보궤:앉을 때 몸을 기대는 방석.
주005)
바댓거든:받들었거든. 받았거든.
주006)
바라문:인도의 4성(姓) 중 가장 높은 계급.
주007)
찰리:4성 중 둘째인 왕족, 무사 계급.
주008)
거사:집에 사는 선비.
주009)
-와~-왜:-와~-이/가.
주010)
위요:빙 둘러 쌈.
주011)
영락:부처, 보살의 장신구.
주012)
니로:비싼 것으로. 값이 있는 것으로. -[高價].
주013)
이민:지방의 아전과 백성.
주014)
동복:사내아이 종.
주015)
시위:임금을 곁에서 모시고 호위함.
주016)
둡고:덮고. 둪-[蓋].
주017)
해:땅에. ㅎ[地].
주018)
비흐며:뿌리며. 빟-[散].
주019)
버리고:벌이고. 버리-[設].
주020)
이러틋:이렇듯 한. 이런.
주021)
싁싀기:장엄하게.
주022)
이슈믈:있음을. 이시-+옴/움+을.
주023)
즉재:즉시. 곧.
주024)
두리요:두려워함을. 두리-[畏].
주025)
이:이에. 여기에.
주026)
오:옴을. 오-+옴/움+.
주027)
그기:그윽이.
주028)
-이어나:-이거나.
주029)
왕등:왕 같은 사람.
주030)
내:나의. 매김토가 이중으로 씌었는데, ‘용력하여’의 임자말로 쓰임.
주031)
용력:고용되어 일함.
주032)
어둘:얻을.
주033)
히:땅이. 곳이.
주034)
아니로소니:아니니. 아니+(ㅣ)+도소+니.
주035)
수이:쉽게.
주036)
어드리만:얻는 것만.
주037)
몯도다:못하도다.
주038)
다와도:다그침을. 다왇-[逼]+옴/움+.
주039)
긋:꼭. 퍽. 굳이. 억지로.
주040)
리:빨리.
주041)
라간대:달려가니까.
주042)
불과:불도 수행의 결과.
주043)
두료:두려워함을. 두리-[懼].
주044)
머리셔:멀리에서.
주045)
걸안조:걸터앉음은.
주046)
저품:두려움. 저프-+옴/움.
주047)
바도:받듦은.
주048)
만행:모든 수행.
주049)
미틀:밑을. 근본을.
주050)
~호미라:~함이다.
주051)
버므리실:버무리므로. 얽매이므로.
주052)
버므리디:말려들지. 버므리-[涉].
주053)
일우실:이루시므로.
주054)
장엄:엄숙하게 장식된 모양. 아름답게 장식함.
주055)
다리:다스리는.
주056)
거시오:것이고.
주057)
브리:부리는. 부려지는. 브리-[使].
주058)
가야온:가벼운. 가-[輕].
주059)
브륨과:부림과.
주060)
므거운:무거운. 므-[重].
주061)
혀글 씨라:작은 것이다. 가는 것이다. 혁-[小].
주062)
니:구비된 것이. 「-」.
주063)
업슨 :없는 줄을.
주064)
니샨:이르신. 이르신바.
주065)
다룔:다스릴.
주066)
말와:말과.
주067)
욜:할.
주068)
샤미라:하심이다.
주069)
기우디:기울지. 기울-[偏].
주070)
호로:함으로.
주071)
우:위.
주072)
사실:삼으므로.
주073)
백불:흰 털을 묶어서 자루 끝에 맨 총채 같은 것.
주074)
듣그를:티끌을. 듣글/드틀[塵].
주075)
앗고:빼앗고. 앗-[奪].
주076)
요:흼은. -[白]+옴/움+.
주077)
가:임시로 상정(想定)된 것.
주078)
중도:‘공’도 아니고 ‘가’도 아닌 절대의 진리.
주079)
가샤:가심을.
주080)
니피샤:입히심을. 니피-[被].
주081)
화번:부처님과 보살의 위덕을 나타내는 화려한 장신구인 깃발.
주082)
리오샤:내리게 하심을. 리오-.
주083)
드리우다:드리웠다(고).
주084)
료:뿌림은. 리-[灑].
주085)
조케:깨끗하게. 좋-[淨].
주086)
샤미오:하심이고.
주087)
비호:흩뿌림은. 빟-[散].
주088)
묘인:훌륭한 원인.
주089)
싁싁게:장엄하게.
주090)
버류믄:벌임은.
주091)
완호:진귀한 노리갯감.
주092)
조초미니:좇음이니. 좇-[隨].
주093)
달애야:달래어. 달애-[誘].
주094)
나샤:나아가게 하심을.
주095)
우흔:위는. 우ㅎ[上].
주096)
이리오:일이고.
주097)
두리논:두려워하는. 두리-[懼].
주098)
아:친족을. 친척을. 아[族].
주099)
:마을은. ㅎ[村].
주100)
이슈믄:있음은.
주101)
나:나아가.
주102)
닷:닦을. -[修].
주103)
~홀 꼳:~할 곳.
주104)
아니:아닌 것은. ‘아니’는 이름씨로 쓰임.
주105)
대법:위대한 법. 부처님의 가르침.
주106)
어려운 :어려운 것을.
주107)
어두믄:얻음은.
주108)
다와도:다그침을. 다왇-[逼].
주109)
길오:길고.
주110)
까:할까. -+ +가.
주111)
분별호:근심함을. 분별-.
주112)
시혹:혹시. 때로.
주113)
드릴 씨라:들이는 것이다.
주114)
법신:영원한 이법(理法)으로서의 부처님.
주115)
보신:과거의 수행에 의해 공덕을 쌓은 보답을 즐기고 있는 부처님의 완전한 모습.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