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법화경언해 권2

  • 역주 법화경언해
  • 역주 법화경언해 권2
  • 비유품 제3
  • 7. 다시 게송으로 밝히다 [2] 비유에서 법을 밝히다 8
메뉴닫기 메뉴열기

7. 다시 게송으로 밝히다 [2] 비유에서 법을 밝히다 8


三. 牒明四諦
若人이 小智야 深著愛欲이어든 爲此等故로 說於苦諦호니衆生이 心喜야 得未曾有니 佛說苦諦ㅣ 眞實無異니라若有衆生이 不知苦本야 深著苦因야 不能暫捨ㅣ어든爲是等故로 方便說道며 諸苦所因은 貪欲이 爲本이니若滅貪欲면 無所依止라 야 滅盡諸苦ㅣ 名第三諦오爲滅諦故로 修行於道라 야 離諸苦縛이 名得解脫이니라

〔본문〕

법화경언해 권2:151ㄱ

다가 사미 智慧 져거 愛慾애 기피 著거든 이 爲논 젼로 苦諦 닐오니 衆生이 매 깃거 未曾有를 得니 부텨 닐온 주001)
닐온:
이른. 말씀하신. 니-[謂].
苦諦 眞實야 달옴 주002)
달옴:
다름. 다-[異].
업스니라 다가 衆生이 苦本 아디 몯야 苦

법화경언해 권2:151ㄴ

因에 기피 著야 能히 간도 리디 주003)
리디:
버리지. 리-[捨].
몯거든 주004)
몯거든:
못하거든. 몯-.
이 爲논 젼로 方便으로 닐어 引導며 諸苦 因혼 貪欲이 미티 주005)
미티:
밑이. 근본이.
외니 다가 貪欲 滅면 브터 이숄  주006)
이숄 :
있을 데가.
업스니라 야 諸苦 滅盡호미 일후미 第三諦오 滅諦 爲혼 젼로 道 닷가 行라 야 여러 受苦 요 주007)
요:
매임을. 이-[被縛].
여희요미 일후미 解脫 得호미라

〔본문〕 만일 사람이 지혜가 적어 애욕에 깊이 집착하면, 이들을 위하는 까닭으로 고제를 설하니, 중생이 마음에 기뻐하여 미증유를 얻으니, 부처님이 이르시는 고제는 진실하여 다름이(=틀림이) 없느니라. 만일 중생이 ‘고’의 근본을 알지 못하여, ‘고’의 원인에 깊이 집착해서 능히 잠깐도 버리지 못하거든, 이들을 위하는 까닭으로 방편으로 일러 인도하며, 모든 ‘고’가 인연하는 바는 탐욕이 근본이 되니, 만일 탐욕을 멸하면 의지하여 있을 데가 없느니라 하여, 모든 ‘고’를 다 멸함이 이름이 제3제이고, 멸제 위한 까닭으로 도를 닦아 행하라 하여, 여러 수고로움의 매임을 여의는 것이 이름이 해탈 얻음이다.

牒明所以說四諦之意也시니라 四諦之初 爲治小智의 愛欲故로 說苦諦샤 使知厭離케 시니 苦 卽生老病死ㅣ니 由愛欲야 起也니라 二 爲衆生이 深著苦因故로 說集諦샤 使知伏斷케 시니 集은 卽煩惱惑業이니 爲苦之因이니 爲其深著故로 方便으로 說集諦샤 以導之샤 使知捨離也케 시니라 道音은 導ㅣ라 三은 爲滅苦本야 絕其依止故로 說滅諦샤 使滅盡貪欲生死諸苦케 시니 卽小乘涅槃也ㅣ라 四 爲求證滅故로 說道諦샤 使知進修케 시니 道者 略면 卽戒定慧오 廣면 卽三十七品覺觀之法이니 乃離苦脫縛之道也ㅣ라 四法을 皆謂之諦者 其義ㅣ 諦實야 當理야 無差故로 遺敎애 云호 日可令冷이며 月可令熱이어니와 佛說四諦 不可令異라 니라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법화경언해 권2:152ㄴ

四諦 주008)
사제:
고제, 집제, 멸제, 도제를 4제라 이름.
니샨 주009)
니샨:
이르신. 설하신.
들 牒야 기시니라 四諦ㅅ 처믄 주010)
처믄:
처음은.
小智의 愛欲 다료 주011)
다료:
다스림을.
爲실 苦諦 니샤 슬야 주012)
슬야:
싫어.
여희요 알에 시니 苦 곧 生老病死ㅣ니 愛欲 브터 니니라 둘흔 衆生이 苦因에 기피 著호 爲실 集諦 니샤 굿블여 주013)
굿블여:
엎드려.
그추믈 주014)
그추믈:
끊음을. 끊어짐을.
알에 시니 集은 곧 煩惱 惑業이니 苦 因이 외니 기피 著호 爲실 方便으로 集諦 니샤 引導샤 려 여희요 알에 시니라 道音은 導

법화경언해 권2:153ㄱ

ㅣ라 세흔 苦本 滅야 브툴  주015)
브툴 :
의지할 데가.
그추믈 爲실 滅諦 니샤 貪欲 生死 諸苦 滅盡케 시니 곧 小乘 涅槃이라 네흔 滅證홈 求호 爲실 道諦 니샤 나 주016)
나:
나아가.
닷고 주017)
닷고:
닦음을.
알에 시니 道 져그면 곧 戒定慧오 너브면 곧 三十七品 覺觀 주018)
각관:
마음의 조악한 작용과 자세한 작용.
法이니 【三十七品 覺觀法은 四念處와 四正勤 주019)
4정근:
선법(善法)을 더욱 자라게 하고, 악법(惡法)을 멀리 여의려고 부지런히 수행하는 4가지 법.
四如意足 주020)
4여의족:
4신족. 네 가지 초자연적인 능력.
과 五根과 五力과 七覺支 八正道왜라 주021)
-와~-왜라:
-와 ~이다.
四正勤은 네 가짓 正히 브즈러니 닷 씨니 아니 냇 주022)
냇:
낸. 나-+잇++ㄴ.
惡을 아니 나게 며 마 냇 惡을 업게 며 아니 냇 善을 나게 며 마 냇 善을 더 길에 주023)
길에:
길게. 자라게.
 씨라】
四如意足 나 欲如意足이

법화경언해 권2:153ㄴ

니 欲이 主ㅣ 외야 定을 得샤 行 그처 일우실 씨오 주024)
일우실 씨오:
이루시는 것이고.
둘흔 精進 如意足이니 精進이 主ㅣ 외야 定을 得샤 行 그처 일우실씨오 세흔 心如意니 미 主ㅣ 외야 定을 得샤 行 그처 일우실 씨오 네흔 思惟 如意足이니 호미 주025)
호미:
생각함이.
主ㅣ 외실 씨라 通히 如意라 닐오 四念處 中엣 實 智慧와 四正勤 中엣 正精進과 精進 智慧 더하고 定力이 져기 弱거늘 네 가짓 定을 得샤  자실 智와 定괏 히미 야 願을 다 得실 일후미 如意足이니 智와 定괘 면 能히 結事 그츠실 行을 그처 일우시다 니라 【受苦 여희여 얽욤 주026)
얽욤:
얽매임. 얽이-.

법화경언해 권2:154ㄱ

주027)
밧:
벗는. 밧-[脫].
道ㅣ라 네 法을 다 諦라 니샤 그 디 實야 理예 마자 어긔유미 주028)
어긔유미:
어김이. 어긔-+옴/움+이.
업슬 遺敎 주029)
유교(경):
석존이 설하여 남기신 가르침.
애 닐오  어루 게 며  어루 덥게 려니와 부텨 니샨 四諦 다게 몯리라 니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4제 이르신 뜻을 첩하여 밝히신 것이다. 4제의 처음은 작은 지혜의 애욕 다스림을 위하시므로 고제를 이르시어 싫고 여읨을 알게 하시니, ‘고’는 생로병사이니, 애욕을 말미암아 일어나는 것이다.
〔요해〕 둘은, 중생이 고통의 원인에 깊이 집착함을 위하시므로 집제를 이르시어 엎드려 끊게함을 알게 하시니, ‘집’은 곧 번뇌의 혹업이니, ‘고’의 원인이 되니, 깊이 집착함을 위하시므로 방편으로 집제를 이르시고 인도하셔서 버리고 여의게 함을 알게 하신 것이다. 도음은 인도한다는 뜻이다.
〔요해〕 셋은 ‘고’의 근본을 멸하여 의지할 데 끊음을 위하시므로 멸제를 이르셔 탐욕과 생사의 모든 ‘고’를 다 멸하게 하니, 곧 소승의 열반이다.
〔요해〕 넷은 멸증 구함을 위하시므로 도제를 이르시어 나아가 닦음을 알게 하시니, ‘도’는 적으면 곧 계, 정, 혜이고, 넓으면 곧 37품 각관법이니, 【37품 각관법은, 4념처와 4정근과 4여의족과 5근과 5력과 7각지와 8정도이다. 4정근은 네 가지 부지런히 닦는 것이니, 생겨나지 않은 ‘악’을 나지 않게 하며, 이미 생겨난 ‘악’을 없게 하며, 생겨나지 않은 ‘선’을 나게 하며, 이미 난 ‘선’은 더 자라게 하는 것이다.】 4여의족은, 하나는 욕여의족이니, ‘욕’이 주인이 되어 ‘정’을 얻으시어 ‘행’을 끊어 이루시는 것이고, 둘은 정진 여의족이니, 정진이 주인이 되어 ‘정’을 얻으시어 ‘행’을 끊어 이루시는 것이고, 셋은 심여의니, 마음이 주인이 되어 ‘정’을 얻으시어 ‘행’을 끊어 이루는 것이고, 넷은 사유 여의족이니, 생각함이 주인이 되시는 것이다.
〔요해〕 통틀어 ‘여의’라고 이르는 것은 4념처 중에 실 지혜와 4정근 중에 정정진과 정진 지혜를 더하고 정력이 적이 약하거늘 네 가지 ‘정’을 얻으시고 마음을 잡으시므로 ‘지’와 ‘정’의 힘이 같아서 ‘원’을 다 얻으시므로 이름이 여의족이니, ‘지’와 ‘정’이 같으면 능히 결사를 끊으시므로 ‘행’을 끊어 이루셨다고 한 것이다. 【수고로움을 여의어 얽매임을 벗어나는 도이다. 네 법이 다 ‘제’라고 이르심은 그 뜻이 진실하여 이치에 맞아 어김이 없으므로 유교경에 이르기를, ‘해를 가히 차게 하며, 달을 가히 덥게 하려니와 부처님이 이르신 4제는 달리 못하리라’고 한 것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1년 10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9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닐온:이른. 말씀하신. 니-[謂].
주002)
달옴:다름. 다-[異].
주003)
리디:버리지. 리-[捨].
주004)
몯거든:못하거든. 몯-.
주005)
미티:밑이. 근본이.
주006)
이숄 :있을 데가.
주007)
요:매임을. 이-[被縛].
주008)
사제:고제, 집제, 멸제, 도제를 4제라 이름.
주009)
니샨:이르신. 설하신.
주010)
처믄:처음은.
주011)
다료:다스림을.
주012)
슬야:싫어.
주013)
굿블여:엎드려.
주014)
그추믈:끊음을. 끊어짐을.
주015)
브툴 :의지할 데가.
주016)
나:나아가.
주017)
닷고:닦음을.
주018)
각관:마음의 조악한 작용과 자세한 작용.
주019)
4정근:선법(善法)을 더욱 자라게 하고, 악법(惡法)을 멀리 여의려고 부지런히 수행하는 4가지 법.
주020)
4여의족:4신족. 네 가지 초자연적인 능력.
주021)
-와~-왜라:-와 ~이다.
주022)
냇:낸. 나-+잇++ㄴ.
주023)
길에:길게. 자라게.
주024)
일우실 씨오:이루시는 것이고.
주025)
호미:생각함이.
주026)
얽욤:얽매임. 얽이-.
주027)
밧:벗는. 밧-[脫].
주028)
어긔유미:어김이. 어긔-+옴/움+이.
주029)
유교(경):석존이 설하여 남기신 가르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