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법화경언해 권2

  • 역주 법화경언해
  • 역주 법화경언해 권2
  • 비유품 제3
  • 3. 사리불에게 수기하다 [2] 화광여래라고 하리라 2
메뉴닫기 메뉴열기

3. 사리불에게 수기하다 [2] 화광여래라고 하리라 2


國名은 離垢ㅣ오 其土ㅣ 平正며 淸淨嚴飾며 安隱豊樂며 天人이 熾盛며 琉璃爲地고 有八交道커든 黃金爲繩야 以界其側며 其傍애 各有七寶行樹호 常有華果커든 華光如來ㅣ 亦以三乗으로 敎化衆生리라 舍利弗아 彼佛出時ㅣ 雖非惡世나 以本願故로 說三

법화경언해 권2:34ㄴ

乗法리라
六. 劫名
其劫名은 大寶莊嚴이리니 何故로 名曰大寶莊嚴고 其國中에 以菩薩로 爲大寶故ㅣ라

〔본문〕 나랏 주001)
나랏:
나라의.
일후믄 離垢ㅣ오 주002)
-ㅣ오:
-이고.
【離垢  여흴 씨라 주003)
여흴 씨라:
여의는 것이다.
히 주004)
히:
땅이.
平正며 淸淨히 싁싀기 주005)
싁싀기:
엄숙하게.
미며 便安코 豊樂며 天人이 盛며 琉璃로  오 주006)
오:
만들고.
여듧 섯근 길히 주007)
섯근 길히:
섞은 길이. 교차된 길이.
잇거든 黃金으로 주008)
노:
노끈.
라 주009)
라:
만들어.
그 겨틔 느리며 그 겨틔 주010)
겨틔:
곁에.
各各 七寶行樹ㅣ 이쇼 녜 곳과 果實왜 잇거든 華光如來ㅣ  三乘으

법화경언해 권2:35ㄱ

로 衆生 敎化리라
舍利弗아 뎌 부텨 난 저기 비록 惡世 아니나 本願ㅅ 젼로 三乘法을 니리라 그 劫 일후믄 大寶莊嚴이리니 엇던 젼로 일후믈 닐오 大寶莊嚴고 그 國中에 菩薩로 큰 보 삼 젼라

〔본문〕 나라의 이름은 이구이고 【이구는 때를 여의는 것이다.】 그 땅이 평정하며 청정하게 엄숙히 꾸며졌으며 편안하고 풍요하며 천인 이 성하며 유리로 땅을 만들고 여덟 〈개의〉 교차된 길이 있는데, 황금으로 노끈을 만들어 그 곁에 늘어뜨리며 그 곁에 각각 칠보행수가 있으되 항상 꽃과 과일이 있거든, 화광여래가 또 3승으로 중생을 교화하리라.
사리불아,저 부처님이 나신 때가 비록 악한 세상은 아니나 본래의 소원인 까닭으로 3승법을 이르리라. 그 겁의 이름은 대보장엄이리니, 어떤 까닭으로 이름을 이르기를 대보장엄인가? 그 나라 안에 보살로써 큰 보배를 삼는 까닭이다.

劫國莊嚴은 皆因行의 依報也ㅣ니 身子ㅣ 因行애 以大智로 爲本故로 國名離垢ㅣ오 因行애 發明敎菩薩法故로 劫名大寶莊嚴이오 而以菩薩로 爲大寶니라 淸淨嚴飾면 則無諸穢土ㅣ오 安隱豊樂면 則無三災苦ㅣ오 天人이 熾盛면 則無三惡道ㅣ로다 有八交道等者 八正道之所會也ㅣ오 七寶行樹等者 七覺支之所生也ㅣ라 凡諸佛依報ㅣ 皆然시니 盖因行所同也ㅣ라 若衆生의 依報 則國名堪忍이오 劫名五濁이오 其土 坑坎沙礫이 爲地니 亦因行所同也ㅣ라 反而求之컨댄 離垢淸淨之相이 皆卽心地며 安隱豊樂之事ㅣ 無非性徳이라 染淨轉變이 常存乎人니 使衆生으로 不爲堪忍苦며 不起五濁業며 不行邪諂行면 則眞離垢平正安隱豊樂之國矣리라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법화경언해 권2:36ㄱ

劫國 莊嚴은 다 因行 브튼 報ㅣ니 身子ㅣ 因行애 大智로 미틀 주011)
미틀:
밑을. 근본을.
사 젼로 나랏 일후미 離垢ㅣ오 因行애 菩薩 치시논 法을 發明혼 젼로 주012)
~혼 젼로:
~한 까닭으로.
劫 일후미 大寶莊嚴이오 菩薩로 大寶 사니라 淸淨히 싁싀기 미면 여러 가짓 더러운 히 업고 便安코 豊樂면 三災苦ㅣ 업고 【大三災 火災 주013)
화재:
불로 인한 재해.
水災 주014)
수재:
물로 인한 재해.
風災 주015)
풍재:
바람으로 인한 재해.
ㅣ오 小三災 갈잠개와 주016)
갈잠개와:
병기와.
주으륨과 病괘라 주017)
주으륨과 병괘라:
굶주림과 병이다. 주으리-[飢]+옴/움+과 병+과+ㅣ라.
天人이 盛면 三惡道ㅣ 업도다 여듧 섯근 길 이슘 주018)
이슘:
있음 등은. 있는 것과 같은 것들은.
八正道 주019)
8정도:
불교에서 이상의 경지에 도달하기 위한 8가지 길. 정견(正見), 정사유(正思惟), 정어(正語), 정업(正業), 정명(正命), 정정진(正精進), 정념(正念), 정정(正定).
 모

법화경언해 권2:36ㄴ

고디오 주020)
고디오:
곳이고. 곧[所].
七寶行樹 七覺支 주021)
7각지:
열반에 이르기 위하여 닦는 도행의 종류 37종 중 여섯 번째.
의 난 고디라
믈읫 주022)
믈읫:
무릇.
諸佛ㅅ 依報 주023)
의보:
우리들의 심신에 따라 존재하는 국토, 가옥, 의복, 식물 등.
ㅣ 다 그러시니 因行 샨 주024)
샨:
같으신.
고디라 다가 衆生 依報 나랏 일후믄 堪忍이오 【堪忍은 어루 다 혼 마리니 娑婆世界 衆生이 三毒 주025)
3독:
탐심과 성냄과 어리석음의 세 가지가 사람 해침을 마치 독사나 독충과 같이 하므로 이렇게 말함.
녀나 주026)
녀나:
그 밖의. 다른. 녀느+남-+.
煩惱 잘  씨라 주027)
 씨라:
참는 것이다.
劫 일후믄 五濁 주028)
5탁:
〈겁탁〉 시대적 더러움. ①견탁:그릇된 견해와 사상이 넘쳐흐르는 것. ②번뇌탁:번뇌가 가득하여 악덕이 판을 치는 것. ③중생탁:인륜 도덕이 타락해 사람의 자질이 저하되는 것. ④명탁:사람의 수명이 짧아지는 것.
이오 그  굳과 주029)
굳과:
구덩이와. 굳[坑].
몰애와 주030)
몰애와:
모래와.
돌히 히 외니  因行  고디라 두르 주031)
두르:
돌이켜.
求컨댄 離垢 淸淨 相이 다 곧 心地며 便安며 豊樂 이리 性德 아니니 주032)
아니니:
아닌 것이. 아니-+ㄴ+이+Ø.
업서 더러우며 조호 주033)
조호:
깨끗함에.
올마 變호미 녜 사게 잇니 衆生이 堪忍苦ㅣ 외디 아니며 五濁業을 니왇디 주034)
니왇디:
일으키지.
아니며 邪諂 주035)
사첨:
올바르지 못하게 아첨함.
 行 行티 아니면 眞實ㅅ  여흰 平

법화경언해 권2:37ㄱ

正 便安 豊樂 나라히리라 주036)
나라히리라:
나라이리라. 나라ㅎ[國].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겁국 〈이름을〉 장엄이라고 한 것은 다 인행에 말미암은 ‘보’이니, 사리불이 인행에 큰 지혜로 근본을 삼은 까닭으로 나라의 이름이 이구이고, 인행에 보살 가르치시는 법을 발명한 까닭으로 겁 이름이 대보장엄이고 보살로써 대보를 삼은 것이다. 청정하게 엄숙히 꾸미면 여러 가지 더러운 땅이 없어지고 편안하고 풍요하면 삼재의 고가 없고 【대삼재는 화재, 수재, 풍재이고, 소삼재는 병기와 굶주림과 병이다.】 천인이 성하면 삼악도가 없도다. 여덟 교차된 길 있음과 같은 것들은 8정도이고 7보행수들은 7각지가 난 곳이다.
〔요해〕 무릇 제불의 의보가 다 그러하시니, 인행이 같으신 곳이다. 만약 중생의 의보는 〈과보를 의지한다면〉, 나라 이름은 감인이고 【감인은 가히 참는다는 말이니, 사바세계 중생이 3독과 그밖의 번뇌를 잘 참는 것이다.】 겁 이름은 5탁이고, 그 땅은 구덩이와 모래와 돌로 땅이 되리니, 또 인행이 같은 곳이다. 돌이켜 구한다면 이구 청정한 상이 다 곧 심지이며 편안하며 풍요한 일이 성덕 아닌 것이 없어 더러우며 깨끗함에 옮아 변함이 보통 사람에게 있으니 중생이 감인고가 되지 아니하며 5탁업을 일으키지 아니하며 사첨한 행을 행하지 아니하면 진실한 때를 여읜 평정한 편안한 풍요한 나라가 되리라.
Ⓒ 역자 | 김영배 / 2001년 10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7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나랏:나라의.
주002)
-ㅣ오:-이고.
주003)
여흴 씨라:여의는 것이다.
주004)
히:땅이.
주005)
싁싀기:엄숙하게.
주006)
오:만들고.
주007)
섯근 길히:섞은 길이. 교차된 길이.
주008)
노:노끈.
주009)
라:만들어.
주010)
겨틔:곁에.
주011)
미틀:밑을. 근본을.
주012)
~혼 젼로:~한 까닭으로.
주013)
화재:불로 인한 재해.
주014)
수재:물로 인한 재해.
주015)
풍재:바람으로 인한 재해.
주016)
갈잠개와:병기와.
주017)
주으륨과 병괘라:굶주림과 병이다. 주으리-[飢]+옴/움+과 병+과+ㅣ라.
주018)
이슘:있음 등은. 있는 것과 같은 것들은.
주019)
8정도:불교에서 이상의 경지에 도달하기 위한 8가지 길. 정견(正見), 정사유(正思惟), 정어(正語), 정업(正業), 정명(正命), 정정진(正精進), 정념(正念), 정정(正定).
주020)
고디오:곳이고. 곧[所].
주021)
7각지:열반에 이르기 위하여 닦는 도행의 종류 37종 중 여섯 번째.
주022)
믈읫:무릇.
주023)
의보:우리들의 심신에 따라 존재하는 국토, 가옥, 의복, 식물 등.
주024)
샨:같으신.
주025)
3독:탐심과 성냄과 어리석음의 세 가지가 사람 해침을 마치 독사나 독충과 같이 하므로 이렇게 말함.
주026)
녀나:그 밖의. 다른. 녀느+남-+.
주027)
 씨라:참는 것이다.
주028)
5탁:〈겁탁〉 시대적 더러움. ①견탁:그릇된 견해와 사상이 넘쳐흐르는 것. ②번뇌탁:번뇌가 가득하여 악덕이 판을 치는 것. ③중생탁:인륜 도덕이 타락해 사람의 자질이 저하되는 것. ④명탁:사람의 수명이 짧아지는 것.
주029)
굳과:구덩이와. 굳[坑].
주030)
몰애와:모래와.
주031)
두르:돌이켜.
주032)
아니니:아닌 것이. 아니-+ㄴ+이+Ø.
주033)
조호:깨끗함에.
주034)
니왇디:일으키지.
주035)
사첨:올바르지 못하게 아첨함.
주036)
나라히리라:나라이리라. 나라ㅎ[國].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