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법화경언해 권2

  • 역주 법화경언해
  • 역주 법화경언해 권2
  • 비유품 제3
  • 7. 다시 게송으로 밝히다 [1] 비유를 들다 12
메뉴닫기 메뉴열기

7. 다시 게송으로 밝히다 [1] 비유를 들다 12


五. 結
夜叉餓鬼와 諸惡鳥獸ㅣ 飢急四向야 窺看窓牖더니 如是諸難이 恐畏無量이러라

〔본문〕

법화경언해 권2:123ㄱ

夜叉와 餓鬼와 여러가짓 모딘 鳥獸ㅣ 주으류미 急야 四面을 向야 窓牖 엿오더니 주001)
엿오더니:
엿보더니. 엿오-.
【지븨 잇니 窓이오 담애 잇니 주002)
잇니:
있는 것이. 잇-++ㄴ+이+Ø.
牖ㅣ라】
이  여러 難이 저푸미 주003)
저푸미:
두려움이. 저프-.
그지업더라

〔본문〕 야차와 아귀와 여러 가지 모진 새와 짐승이, 굶주림이 급하여 4면을 향하여 창용을 엿보더니, 【집에 있는 것이 창이고, 담에 있는 것이 용이다.】 이와 같은 여러 어려움이, 두려움이 그지없더라.

總明無明三毒의 惡習이 熾盛야 逐境無厭야 伺隙而出시니 故로 譬飢急四向야 窺看窻牖시니라 古有六窻獼猴之喻니 其意ㅣ 類此니라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無明 三毒의 모딘 시 주004)
시:
버릇이. [習].
盛야 境을 조차 슬믜윰 주005)
슬믜윰:
싫고 미움이. 슬믜-.
업서 믈 주006)
믈:
틈을. [隙].
엿와 주007)
엿와:
엿보아. 엿오-.
나 모도와 기시니 그럴 주으류미 急야

법화경언해 권2:123ㄴ

四面을 向야 窗牖 엿오 가비시니라 녜 여슷 窗獼猴의 가뵤미 잇니 洪恩禪師 주008)
홍은선사:
당(唐)나라 스님.
ㅣ 닐오  지븨 여슷 窗이 잇거든 안해  獼猴ㅣ 잇더니 밧긧 주009)
밧긧:
밖에 있는. 밖의.
獼猴ㅣ 東녀긔 와 猩猩일 블러늘 猩猩이 즉재 맛마 주010)
맛마:
응하여. 맛-[應].
이 티 여슷 窗애 다 블러 다 맛모미 다 니라】
그 디 이 니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무명과 3독의 모진 버릇이 성하여 경계를 따라 싫고 미움이 없어 틈을 엿보아 벗어남을 모아 밝히시니, 그러므로 굶주림이 급하여 4면을 향하여 창용 엿봄을 비유하신 것이다. 옛날 여섯 창의 원숭이 비유하는 것이 있으니 【홍은 선사가 이르기를, 한 집에 여섯 창이 있고, 그 안에 한 원숭이가 있었는데, 밖에 있는 원숭이 〈하나〉가 동쪽으로 와서 〈안의〉 원숭이를 부르니까, 〈안의〉 원숭이가 곧 응하고, 이와 같이 여섯 개의 창을 〈돌아 가면서〉 다 불러 다 〈같이〉 응하는 것과 같다고 했다.】, 그 뜻이 이와 같은 것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1년 10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엿오더니:엿보더니. 엿오-.
주002)
잇니:있는 것이. 잇-++ㄴ+이+Ø.
주003)
저푸미:두려움이. 저프-.
주004)
시:버릇이. [習].
주005)
슬믜윰:싫고 미움이. 슬믜-.
주006)
믈:틈을. [隙].
주007)
엿와:엿보아. 엿오-.
주008)
홍은선사:당(唐)나라 스님.
주009)
밧긧:밖에 있는. 밖의.
주010)
맛마:응하여. 맛-[應].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