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법화경언해 권2

  • 역주 법화경언해
  • 역주 법화경언해 권2
  • 신해품 제4
  • 2. 궁자의 비유 [4] 아들을 유인하여 일을 시키다 1
메뉴닫기 메뉴열기

2. 궁자의 비유 [4] 아들을 유인하여 일을 시키다 1


四. 領上適[子所]願
爾時窮子ㅣ 先取其價고 尋與除糞커 其父ㅣ 見子고 愍而怪之며又以他日에 於䆫牖中에셔 遙見子身이 羸瘦憔悴며糞土ㅣ 塵坌야 汙穢不淨  코卽脫瓔珞과 細軟上服과 嚴飾之具고更著麤弊垢膩之衣야 塵土로 坌身고右手로 執持除糞之器고 狀有所畏야 語諸作人호汝等이 勤作야 勿得懈息라 야 以方便故로 得近其子고

〔본문〕

법화경언해 권2:207ㄴ

그  窮子ㅣ 몬져 그 갑 가지고 미조차 주001)
미조차:
뒤미처 좇아. 곧바로 좇아.
뎌와 주002)
뎌와:
저 사람과.
츠거늘 주003)
츠거늘:
치거늘.

법화경언해 권2:208ㄱ

그 아비 아 보고 어엿비 주004)
어엿비:
가엾게.
너겨 荒唐히 너기며  다 나래 窓牖 주005)
창유:
창문.
中에셔 아 모미 여위오 주006)
여위오:
여위고. 여위-[瘦].
시들며  기 주007)
기:
흙이. .
듣글 무더 더러워 조티 주008)
조티:
깨끗하지. 좋-[淨].
몯  머리셔 보고 즉재 瓔珞과 보라온 주009)
보라온:
보드라운. 보-.
웃옷과 싁싀기 뮤맷 주010)
뮤맷:
꾸밈의. 꾸며 있는.
거슬 밧고 주011)
밧고:
벗고. 밧-[裸].
멀텁고 주012)
멀텁고:
거칠고. 멀-[麤].
주013)
:
때. [垢].
무 옷 라 주014)
라:
갈아. -[替].
니버 주015)
니버:
입어. 입고. 닙-[被].
듣글로 모매 무티고 올 주016)
올:
오른.
소로 주017)
소로:
손으로.
 츠 그릇 잡고 애 주018)
애:
모양에.
저품 주019)
저품:
두려움. 저프-+옴/움.
두어 모 일 사려 닐오 너희 브즈러니 지 게으르디 주020)
게으르디:
게으르지.
말라 야 方便으로 아게 주021)
아게:
아들에게. 아+게.
시러 주022)
시러:
능히.
갓가이 주023)
갓가이:
가까이.
고

〔본문〕 그때에 가난한 아들은 먼저 그 값을 받고 곧바로 따라 저 사람과 〈함께〉 똥 치니, 그 아비가 아들을 보고 가엾게 여기고 황당히 여겼으며, 또 다른 날에는 창문 안에서 아들의 몸이 여위고 시들며, 똥과 흙, 티끌이 묻어 더러워 깨끗하지 못한 것을 멀리서 보고, 곧 〈자신의〉 영락과 보드라운 윗옷과 장엄하게 꾸민〈것을 모두〉 벗고, 거칠고 헌 때묻은 옷으로 갈아 입고 티끌을 몸에 묻히고 오른 손으로 똥 치는 그릇을 잡고 〈겉〉모양에 두려운 〈모습을〉 하고 모든 일하는 사람더러 이르기를, “너희는 부지런히 하여 게으르지 말라.” 하고 〈이런〉 방편으로 아들에게 능히 가까이 하고,

先取其價 譬樂小야 慕果然後에 修因니所以四諦法中에 先果後因也ㅣ라其父ㅣ 愍怪 怪其樂小고 棄大也ㅣ라又以他日에 於窓牖中等은 譬又多設方便샤 循其小見샤 潜施密化샤 使令慕大也ㅣ라瘦悴塵坌은 譬二乘의 伏斷煩惱호 不得其要야 翻爲煩惱의 所擾也ㅣ라左逆고 右順니 右手로 執器 譬順方便道샤 而誘之니라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법화경언해 권2:210ㄱ

몬져 값 가죠 주024)
가죠:
가짐은. 가지-+옴/움+은.
小 즐겨 果  주025)
:
사랑한. 사모한. -[慕].
에 주026)
-에:
-에야.
닷고 주027)
닷고:
닦음을.
가비니 그럴 주028)
그럴:
그러므로.
四諦 주029)
4제:
고제, 집제, 멸제, 도제.
法 中에 果 몬져 코 因을 後에 호미라 주030)
호미라:
함이다.
그 아비 어엿비 너겨 荒唐히 너교 小 즐기고 大 료 荒唐히 너기니라 주031)
너기니라:
여긴 것이다.
又以他日에 於窓牖中  方便을 만히 샤 져근 보

법화경언해 권2:210ㄴ

조샤 秘密 化 니 펴샤 큰 法 게 주032)
게:
사랑하게.
샤 가비니라 시들며 듣글 무두믄 二乘의 煩惱 굿블여 주033)
굿블여:
엎드리게 하여. 구푸리게 하여.
그추  주034)
:
마루를. 으뜸가는 것을. 요점을. [宗].
得디 몯야 드위 주035)
드위:
뒤집어. 뒤위-[飜].
煩惱 보차미 주036)
보차미:
보챔이. 보차-[擾].
외요 주037)
외요:
됨을.
가비니라 왼 녀근 거슬오 주038)
거슬오:
거역하고. 거슬-[逆].
올 녀근 順니 올 소로 그릇 자보 方便道 順샤 달애샤 주039)
달애샤:
달래심을.
가비니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먼저 품값을 받음’이란 것은 작은 것을 즐겨 〈큰〉 과를 좋아한 후에야 ‘인’ 닦음을 비유한 것이니, 그러므로 4제의 법 중에 ‘과’를 먼저 말하고 ‘인’을 뒤에 〈설〉하는 것이다. ‘그 아비가 가엾게 여기고 황당히 여긴 것’은 작은 것을 즐기고 큰 것 버림을 황당히 여긴 것이다. ‘또 다른 날에 창문 안에서’는 또 방편을 많이 만드시어 적은 봄(=소견)을 따라서 비밀한 교화를 가만히 펴시어 큰 법(=대승)을 사랑하게 하심을 비유한 것이다. ‘시들고 티끌이 묻었다’는 것은 2승의 번뇌를 구푸려서 끊되 요점을 얻지 못하여 도리어 번뇌의 보챔이 됨을 비유한 것이다. ‘왼편은 거역하고 오른 편은 순종하니 오른 손으로 그릇을 잡음’은 방편의 ‘도’를 따라서 달래심을 비유한 것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1년 10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8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미조차:뒤미처 좇아. 곧바로 좇아.
주002)
뎌와:저 사람과.
주003)
츠거늘:치거늘.
주004)
어엿비:가엾게.
주005)
창유:창문.
주006)
여위오:여위고. 여위-[瘦].
주007)
기:흙이. .
주008)
조티:깨끗하지. 좋-[淨].
주009)
보라온:보드라운. 보-.
주010)
뮤맷:꾸밈의. 꾸며 있는.
주011)
밧고:벗고. 밧-[裸].
주012)
멀텁고:거칠고. 멀-[麤].
주013)
:때. [垢].
주014)
라:갈아. -[替].
주015)
니버:입어. 입고. 닙-[被].
주016)
올:오른.
주017)
소로:손으로.
주018)
애:모양에.
주019)
저품:두려움. 저프-+옴/움.
주020)
게으르디:게으르지.
주021)
아게:아들에게. 아+게.
주022)
시러:능히.
주023)
갓가이:가까이.
주024)
가죠:가짐은. 가지-+옴/움+은.
주025)
:사랑한. 사모한. -[慕].
주026)
-에:-에야.
주027)
닷고:닦음을.
주028)
그럴:그러므로.
주029)
4제:고제, 집제, 멸제, 도제.
주030)
호미라:함이다.
주031)
너기니라:여긴 것이다.
주032)
게:사랑하게.
주033)
굿블여:엎드리게 하여. 구푸리게 하여.
주034)
:마루를. 으뜸가는 것을. 요점을. [宗].
주035)
드위:뒤집어. 뒤위-[飜].
주036)
보차미:보챔이. 보차-[擾].
주037)
외요:됨을.
주038)
거슬오:거역하고. 거슬-[逆].
주039)
달애샤:달래심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