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오륜행실도 5집

  • 역주 오륜행실도 제5권
  • 오륜행실 붕우도
  • 오륜행실붕우도(五倫行實朋友圖)
  • 누호양려(樓護養呂)
메뉴닫기 메뉴열기

누호양려(樓護養呂)


오륜행실도 5:1ㄱ

樓護養呂【漢】

오륜행실도 5:1ㄴ

樓護 齊郡人 주001)
제군인(齊郡人):
『오륜』의 ‘제군인(齊郡人)’은 『이륜』에는 없음.
有故人呂公 無所歸 護身與呂公 妻與呂嫗 同食 後護妻子 頗厭呂公 護流涕責妻子 曰呂公故舊 窮老託身於我 義所當奉 遂養呂公以終身
故人投我爲無歸 義所當爲不敢辭 身勸呂公妻勸嫗 一盤麤糲當甘肥 주002)
일반추려당감비(一盤麤糲當甘肥):
한 소반의 거친 조밥이라도 달고 맛있게 먹다. 『오륜』의 ‘추(麤)’는 『이륜』에는 ‘추(蔍)’임.
久寓人情生厭斁 樓公垂涕責妻孥 慇懃奉養終身世 舊誼從前誓不孤 주003)
구의종전서부고(舊誼從前誓不孤):
옛정 전과 같아 맹서하여 외롭지 않다. 『오륜』의 ‘의(誼)’는 『이륜』에는 ‘의(意)’임.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누호 나라 졔군 사이니 벗 녀공이 갈  업거 누회 녀공과  밥 먹으며 누호의 안 녀공의 안와  밥 먹더니 오랜 후 쳐 장

오륜행실도 5:2ㄱ

희여 니
주004)
슬희여 니:
싫어하니. 일종의 강세 표현으로 ‘-어 -’가 통합되어 타동사 구성이 된 것이다. 일단 ‘슬희-’를 생각해 볼 수 있으나, 중세어 이래 어간 ‘슬희-’는 모음 어미 앞에만 출현하여 ‘슬희여’, ‘슬희욤’〈원각경언해(1465) 상1-2:10ㄴ〉 정도의 활용형만 보이고, 거기다가 ‘슬희여’는 문헌에 따라, ‘슬흐여’〈소학언해 5:9ㄴ〉로 나타난 예도 보이기 때문에 이곳의 ‘슬희여’는 (‘슬희-’가 아니라) ‘슬흐-’의 활용형일 가능성도 있다. 물론 이때의 ‘슬흐-’는 ‘슬-’의 변화형에 해당하는 것으로, ‘슬흐-+-어’가 (‘*슬허’ 아니라) ‘슬흐여’ 내지 ‘슬희여’로 나타나는 것은 ‘슬흐-’가 ‘슬-’와 마찬가지로 ‘-’와 관련된 어형이라는 점에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중세어에서 ‘슬-’는 (‘-’와 ‘-’, ‘많-’와 ‘많-’이 공존한 것과 마찬가지로) /ㆍ/가 탈락한 ‘슳-’과 공존하다가 후자의 어형이 현대어의 ‘싫-’로 이어졌다.
누회 울며 쳐 지저 닐오 녀공은 녯 벗이라 주005)
벗이라:
벗이다. 『이륜(초)』에는 ‘버디니’, 『이륜(중․영)』은 ‘벗디니’로 등장한다. ‘버디니’가 ‘벋[友]’의 연철 표기라면 ‘벗디니’는 일종의 중철 표기로서 어간을 고정시키려는 노력과 음성 실현형을 그대로 표기하려는 노력이 절충된 결과이다. 이곳의 ‘벗이라’는 분철 표기가 일반화된 속에서 어간 말 /ㄷ/을 ‘ㅅ’으로 분철 표기하는 『오륜』을 비롯한 근대 문헌의 표기 방식에 따른 것이다. 『이륜』류와 비교할 때 ‘연철〉중철〉분철’로 변화하는 표기 경향을 그대로 보여 준다. 현대어의 ‘벗’은 ‘벋’에서 어간 말음이 /ㅅ/으로 재구조화된 결과라 하겠는데, 18-9세기 문헌에 어간 말 /ㅅ/을 반영한다고밖에 볼 수 없는 ‘버시’, ‘벗시’, ‘벗’ 등의 예가 보이기 시작한다. ¶偶然이 사괸 버시 自然히 有情다〈고금가곡(1764)〉. 먼 디셔 벗시 온다〈가곡원류(1876)〉. 빈쳔 적의 사괸 벗〈경신록언석(1796) 82ㄴ〉. 그런데 이들 예와 비슷한 시기에 ‘벗즐’, ‘벗지’와 같은 ㅅ 중철 표기의 예가 공존하는 것으로 보아, 현대어의 ‘벗’은 ‘’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벋〉벚〉벗’의 변화를 거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어진 스과 벗즐 구득야〈경신록언석(1796) 80ㄴ〉. 烟霞로 집을 고 風月로 벗즐 삼아〈가곡원류(1876)〉 ; 맛  챡 벗지 잇셔〈조군영적지(1881) 2ㄱ〉.
늙고 궁박여 내게 와 의탁니 졉여야 올흐니라 고 녀공을 죽기지 졉니라 주006)
졉니라:
대접(待接)하였다. 보살폈다. 원문의 ‘양(養)’을 옮긴 것으로 『이륜』류에는 ‘이바니라’로 번역되었다. 『오륜』에서 ‘졉-’는 현대어의 ‘대접하-’와 달리 단순히 “대(待), 우(遇)”의 뜻을 넘어 “봉(奉), 양(養)”을 뜻하기도 하는데, 바로 이곳의 예가 그러한 경우에 해당한다.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1. 누호양려(樓護養呂)【한나라】- 누호가 여공을 봉양하다
누호(樓護)는 한(漢)나라 제군(齊郡) 사람이다. 벗 여공(呂公)이 갈 데가 없거늘 누호가 여공과 함께 밥 먹으며 누호의 아내가 여공의 아내
[한문 원문에는 구(嫗; 할머니)]
와 함께 밥 먹었다. 〈시간이〉 오래 지난 뒤 〈누호의〉 처자(妻子)가 〈그런 생활을〉 매우 싫어하였다. 〈그러자〉 누호가 울며 처자를 꾸짖어 말하기를, “여공은 〈나의〉 옛 벗이다. 늙고 〈사정이〉 궁박(窮迫)하여 내게 와 의탁하는 것이니 대접하여야(보살펴야) 옳다.”라고 하고, 여공을 죽을 때까지 대접하였다(보살폈다).
옛 친구 돌아갈 곳 없어 내게 의탁해라
의리로 마땅히 할 바 감히 사절할 수 없지.
자신은 여공을 권하고 아내는 여공 아내 권해
한 소반의 거친 조밥이라도 달고 맛있게 먹어.
오래 머물면 인정이란 싫어하게 되거늘
누공은 눈물을 흘리며 마누라를 꾸짖어.
은근하게 봉양을 세상 마칠 때까지 해라
옛정 전과 같아 맹서하여 외롭지 않도록.
Ⓒ 역자 | 이광호 / 2016년 11월 일

〈이륜행실언해문〉
루호의 녯 벋 려이 갈 듸 업서 □□늘 루회 려공과 듸 밥 머그며 루호의 겨집비 려의 겨집과 듸 밥 머근 디(?) 오라거 쳐식기  아철여 터니 루회 울며 쳐식글 여 닐우듸 려공은 녯 버디니 늙고 박여 내게 와 의탁니 졉여 올니라 고 려을 죽도록 이바니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제군인(齊郡人):『오륜』의 ‘제군인(齊郡人)’은 『이륜』에는 없음.
주002)
일반추려당감비(一盤麤糲當甘肥):한 소반의 거친 조밥이라도 달고 맛있게 먹다. 『오륜』의 ‘추(麤)’는 『이륜』에는 ‘추(蔍)’임.
주003)
구의종전서부고(舊誼從前誓不孤):옛정 전과 같아 맹서하여 외롭지 않다. 『오륜』의 ‘의(誼)’는 『이륜』에는 ‘의(意)’임.
주004)
슬희여 니:싫어하니. 일종의 강세 표현으로 ‘-어 -’가 통합되어 타동사 구성이 된 것이다. 일단 ‘슬희-’를 생각해 볼 수 있으나, 중세어 이래 어간 ‘슬희-’는 모음 어미 앞에만 출현하여 ‘슬희여’, ‘슬희욤’〈원각경언해(1465) 상1-2:10ㄴ〉 정도의 활용형만 보이고, 거기다가 ‘슬희여’는 문헌에 따라, ‘슬흐여’〈소학언해 5:9ㄴ〉로 나타난 예도 보이기 때문에 이곳의 ‘슬희여’는 (‘슬희-’가 아니라) ‘슬흐-’의 활용형일 가능성도 있다. 물론 이때의 ‘슬흐-’는 ‘슬-’의 변화형에 해당하는 것으로, ‘슬흐-+-어’가 (‘*슬허’ 아니라) ‘슬흐여’ 내지 ‘슬희여’로 나타나는 것은 ‘슬흐-’가 ‘슬-’와 마찬가지로 ‘-’와 관련된 어형이라는 점에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중세어에서 ‘슬-’는 (‘-’와 ‘-’, ‘많-’와 ‘많-’이 공존한 것과 마찬가지로) /ㆍ/가 탈락한 ‘슳-’과 공존하다가 후자의 어형이 현대어의 ‘싫-’로 이어졌다.
주005)
벗이라:벗이다. 『이륜(초)』에는 ‘버디니’, 『이륜(중․영)』은 ‘벗디니’로 등장한다. ‘버디니’가 ‘벋[友]’의 연철 표기라면 ‘벗디니’는 일종의 중철 표기로서 어간을 고정시키려는 노력과 음성 실현형을 그대로 표기하려는 노력이 절충된 결과이다. 이곳의 ‘벗이라’는 분철 표기가 일반화된 속에서 어간 말 /ㄷ/을 ‘ㅅ’으로 분철 표기하는 『오륜』을 비롯한 근대 문헌의 표기 방식에 따른 것이다. 『이륜』류와 비교할 때 ‘연철〉중철〉분철’로 변화하는 표기 경향을 그대로 보여 준다. 현대어의 ‘벗’은 ‘벋’에서 어간 말음이 /ㅅ/으로 재구조화된 결과라 하겠는데, 18-9세기 문헌에 어간 말 /ㅅ/을 반영한다고밖에 볼 수 없는 ‘버시’, ‘벗시’, ‘벗’ 등의 예가 보이기 시작한다. ¶偶然이 사괸 버시 自然히 有情다〈고금가곡(1764)〉. 먼 디셔 벗시 온다〈가곡원류(1876)〉. 빈쳔 적의 사괸 벗〈경신록언석(1796) 82ㄴ〉. 그런데 이들 예와 비슷한 시기에 ‘벗즐’, ‘벗지’와 같은 ㅅ 중철 표기의 예가 공존하는 것으로 보아, 현대어의 ‘벗’은 ‘’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벋〉벚〉벗’의 변화를 거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어진 스과 벗즐 구득야〈경신록언석(1796) 80ㄴ〉. 烟霞로 집을 고 風月로 벗즐 삼아〈가곡원류(1876)〉 ; 맛  챡 벗지 잇셔〈조군영적지(1881) 2ㄱ〉.
주006)
졉니라:대접(待接)하였다. 보살폈다. 원문의 ‘양(養)’을 옮긴 것으로 『이륜』류에는 ‘이바니라’로 번역되었다. 『오륜』에서 ‘졉-’는 현대어의 ‘대접하-’와 달리 단순히 “대(待), 우(遇)”의 뜻을 넘어 “봉(奉), 양(養)”을 뜻하기도 하는데, 바로 이곳의 예가 그러한 경우에 해당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