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오륜행실도 5집

  • 역주 오륜행실도 제5권
  • 오륜행실 붕우도
  • 오륜행실붕우도(五倫行實朋友圖)
  • 환영분상(桓榮奔喪)
메뉴닫기 메뉴열기

환영분상(桓榮奔喪)


오륜행실도 5:23ㄱ

桓榮奔喪【漢】

오륜행실도 5:23ㄴ

桓榮 沛郡人 주001)
패군인(沛郡人):
『오륜』의 ‘패군인(沛郡人)’은 『이륜』에서는 없음.
少學長安習歐陽尙書 주002)
구양상서(歐陽尙書):
한(漢)나라 때 구양생(歐陽生)이 전한 상서(尙書).
事博士九江朱普 貧窶無資常客傭以自給 精力不倦 十五年不窺家園 會普卒 榮奔喪九江 負土成墳 因畱敎授 徒衆數百人
生三事一理斯存 世乏隆儒孰扣昏 桓氏也能知此義 奔喪負土報前恩
食貧都下習書經 十五年來力致精 尊寵竟蒙稽古力 何會一字忘先生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환영은 한나라 패군 사이니 져믄 제 셔울 가 화 구강의 잇 쥬보 셤겨 샹셔 호다가 가

오륜행실도 5:24ㄱ

난여  길이 업니 양 품을 라 니우고 주003)
니우고:
(생계를) 잇고. 이곳의 ‘니우-’는 중세어 ‘[連, 續]-’의 사동사 ‘우-’에 소급할 어형이다. 원문의 ‘자급(自給)’을 언해한 데서 보듯이, 여기서는 “생계를 잇다”에 가까운 뜻으로 쓰였는데, 『이륜』류에는 단순히 ‘먹고셔’로 번역되었다.
힘 게으르디 아니야 십오년을 집 동산을 주004)
집 동산을:
집안 동산(東山)을. 원문의 ‘가원(家園)’을 직역한 것이다. 중세어 이래 ‘산/동산’은 꽃나무를 심거나 가축을 기르는 곳으로 일상적인 집안일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공간이었다. ¶苑 동산 원 植花木處 囿 동산 유 域養禽獸處〈훈몽자회(1527) 상:7ㄱ〉. 『이륜』류에서는 이를 “가사(家事)”의 의미로 의역하여, 『이륜(초)』에는 ‘집븻 일’, 『이륜(중․영)』에는 ‘집의 일’로 번역되었다.
보디 아니더라 마초아 쥬뵈 죽거 환영이 분상여 구강의 가 흙을 져 무덤을 일우고 인여 머무러 주005)
머므러:
머물러. ‘머믈-+-어’로 분석될 어형으로, 어간 ‘머믈-’은 이미 중세어부터 등장하는 어형이지만 중세어에서는 철저히 규칙 활용한 반면, 『오륜』에서는 불규칙 활용에도 참여하여 차이를 보인다. 곧 중세 문헌에서 ‘머므러’(←머믈-+-어)로 일관하여 나타나던 활용형이 『오륜』에서는 이 예의 ‘머므러’와 함께 ‘머믈너’〈2:45ㄴ, 2:72ㄱ〉로도 나타나는 것이다. 이 같은 『오륜』의 활용 양상은 현대어에 근접한 것이나 현대어와 일치하지 않는 차이점도 존재한다. 『오륜』에서는 ‘머믈고’〈2:65ㄴ〉, ‘머믈며’〈5:19ㄱ〉, ‘머므더니’〈2:61ㄱ〉 등에서 보듯이 한결같이 ‘머믈-’의 존재만을 보여 줄 뿐이지만, 현대어에서는 자음 어미 앞에서 ‘머물고/머무르고, 머물며/머무르며, 머물더니/머무르더니’ 등이 모두 가능하여 ‘머물-’과 ‘머무르-’가 공존하는 양상을 보인다. 현대의 ‘표준어 규정’에서는 이 같은 공존 양상과 관련, 양형을 모두 표준어로 인정하되 ‘머물-’을 ‘머무르-’의 준말로 처리하였다(16항). 그러나 역사적 관점에서 보자면 준말 ‘머물-’을 본래의 어간형으로, ‘머무르-’는 과거의 활용형에서 벗어난 개신형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뎨 수을 치니라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13. 환영분상(桓榮奔喪)【한나라】- 환영이 〈스승의 장례에〉 분상하다
환영(桓榮)은 한(漢)나라 패군(沛郡) 사람이다. 어렸을 때 서울에 가 배워
(공부하여)
구강(九江)에 있는 주보(朱普)를 〈스승으로〉 섬기고 『상서(尙書)』를 배웠다. 그러다가 가난하여 자생
(資生; 직업을 가지고 생계를 유지함)
할 길
(방법)
이 없으니, 늘상 품을 팔아 〈생계를〉 이어 갔다. 〈그러면서도 공부를〉 힘써 〈하고〉 게으르지 아니하여 십오 년 동안 집안 동산(東山)을 〈찾아〉 보지 아니하였다. 마침 주보가 죽거늘 환영이 분상
(奔喪; 상에 급히 달려감)
하여 구강에 가 흙을 져 무덤을 만들고, 이어 〈그곳에〉 머물러 제자 수백 명을 가르쳤다.
생전 군사부(君師父) 여일하게 섬김의 이치 옳거니
세상의 어렵고 어려워라 유가의 의리 누가 지키랴.
환영(桓榮)이 또한 이 의리를 능히 알 수 있으려니와
달려가 초상 치르고 흙 져 무덤 만들어 은혜 갚았어라.
먹기 가난하여 도하에서 일하며 서경 배워
십오 년 이래로 힘을 다하여 정성껏 읽어라.
높은 은총을 마침내 입어 옛 힘을 쌓게 되고
어찌 한 자라도 스승의 은혜 잊을 수 있으랴.
Ⓒ 역자 | 이광호 / 2016년 11월 일

〈이륜행실언해문〉
환이 져믄 제 셔울 가 글 화 구의 잇 쥬보 셤겨 셔 호 가난여  것 업서 녜  일 여 먹고셔 힘서 게을이 아니여 열  집븻 일 보디 아니터라 마초아 쥬뵈 죽거 환이 분상여 구의 가  지여 무덤 묻고 인여 이셔 글 치니 뎨 일기나 더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패군인(沛郡人):『오륜』의 ‘패군인(沛郡人)’은 『이륜』에서는 없음.
주002)
구양상서(歐陽尙書):한(漢)나라 때 구양생(歐陽生)이 전한 상서(尙書).
주003)
니우고:(생계를) 잇고. 이곳의 ‘니우-’는 중세어 ‘[連, 續]-’의 사동사 ‘우-’에 소급할 어형이다. 원문의 ‘자급(自給)’을 언해한 데서 보듯이, 여기서는 “생계를 잇다”에 가까운 뜻으로 쓰였는데, 『이륜』류에는 단순히 ‘먹고셔’로 번역되었다.
주004)
집 동산을:집안 동산(東山)을. 원문의 ‘가원(家園)’을 직역한 것이다. 중세어 이래 ‘산/동산’은 꽃나무를 심거나 가축을 기르는 곳으로 일상적인 집안일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공간이었다. ¶苑 동산 원 植花木處 囿 동산 유 域養禽獸處〈훈몽자회(1527) 상:7ㄱ〉. 『이륜』류에서는 이를 “가사(家事)”의 의미로 의역하여, 『이륜(초)』에는 ‘집븻 일’, 『이륜(중․영)』에는 ‘집의 일’로 번역되었다.
주005)
머므러:머물러. ‘머믈-+-어’로 분석될 어형으로, 어간 ‘머믈-’은 이미 중세어부터 등장하는 어형이지만 중세어에서는 철저히 규칙 활용한 반면, 『오륜』에서는 불규칙 활용에도 참여하여 차이를 보인다. 곧 중세 문헌에서 ‘머므러’(←머믈-+-어)로 일관하여 나타나던 활용형이 『오륜』에서는 이 예의 ‘머므러’와 함께 ‘머믈너’〈2:45ㄴ, 2:72ㄱ〉로도 나타나는 것이다. 이 같은 『오륜』의 활용 양상은 현대어에 근접한 것이나 현대어와 일치하지 않는 차이점도 존재한다. 『오륜』에서는 ‘머믈고’〈2:65ㄴ〉, ‘머믈며’〈5:19ㄱ〉, ‘머므더니’〈2:61ㄱ〉 등에서 보듯이 한결같이 ‘머믈-’의 존재만을 보여 줄 뿐이지만, 현대어에서는 자음 어미 앞에서 ‘머물고/머무르고, 머물며/머무르며, 머물더니/머무르더니’ 등이 모두 가능하여 ‘머물-’과 ‘머무르-’가 공존하는 양상을 보인다. 현대의 ‘표준어 규정’에서는 이 같은 공존 양상과 관련, 양형을 모두 표준어로 인정하되 ‘머물-’을 ‘머무르-’의 준말로 처리하였다(16항). 그러나 역사적 관점에서 보자면 준말 ‘머물-’을 본래의 어간형으로, ‘머무르-’는 과거의 활용형에서 벗어난 개신형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