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오륜행실도 5집

  • 역주 오륜행실도 제5권
  • 오륜행실 붕우도
  • 오륜행실붕우도(五倫行實朋友圖)
  • 사도경탁(査道傾橐)
메뉴닫기 메뉴열기

사도경탁(査道傾橐)


오륜행실도 5:14ㄴ

査道傾橐【宋】

오륜행실도 5:15ㄱ

査道 休寧人 주001)
휴녕인(休寧人):
『오륜』의 ‘휴녕인(休寧人)’은 『이륜』에는 없음.
初赴擧 주002)
초부거(初赴擧):
『오륜』의 ‘초부거(初赴擧)’는 『이륜』에는 ‘순화중 초부거(淳化中初赴擧)’로 되어 있음.
貧不能上道 親族裒錢三萬遺之 道出滑臺 주003)
도출활대(道出滑臺):
길을 떠나 활대(滑臺) 땅을 지날 때에. 『오륜』의 ‘황대(滑臺)’는 『이륜』에는 ‘활주(滑州)’임.
過父友呂翁家 翁喪貧窶無以葬 주004)
옹상빈구무이장(翁喪貧窶無以葬):
여옹의 상사를 맞았음에도 가난하여 장사 지내지 못하므로. 『오륜』의 ‘빈구(貧窶)’는 『이륜』에는 없음.
其母兄將鬻女 주005)
기모형장죽녀(其母兄將鬻女):
그 동복형이 장차 딸을 팔려고 하다. 『오륜』의 ‘기(其)’는 『이륜』에는 없으며, 『오륜』의 ‘녀(女)’는 『이륜』에는 ‘기녀(其女)’임.
以襄事 주006)
이양사(以襄事):
장사에 도움을 얻고자. 『오륜』의 ‘양(襄)’은 『이륜』에는 ‘변양(辨襄)’임.
道 傾橐中錢悉與之 又嫁其女
義重財輕見最明 貧難赴選亦無營 却將親戚裒錢橐 都爲先人執友傾
元振 주007)
원진(元振):
곽원진(郭元振). 당(唐)나라 때 귀향(貴鄕) 사람. 매우 의리가 있어 남의 어려움을 잘 구제하였다.
今亡可奈何 惟謀鬻女不謀他 주008)
유모죽녀부모타(惟謀鬻女不謀他):
오직 딸을 팔아 〈그 장례를〉 도모하는 것 밖에 다른 도리가 없다. 『오륜』의 ‘유(惟)’는 『이륜』에는 ‘유(唯)’로 되어 있음.
橐錢傾與供襄事 又助其婚濟一家 주009)
우조기혼제일가(又助其婚濟一家):
또 그 딸의 혼인을 도와 한 집안을 구제하다. 『오륜』의 ‘우조기혼(又助其婚)’은 『이륜』에는 ‘장모리형(葬母理兄)’임.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사도 송나라 휴녕 사이니 처음에 주010)
처음에:
당초(當初). ‘처음+-에’로 분석되는데, 이 예의 ‘처음’은 중세어의 ‘처’에 소급할 어형이다. /ㅿ/의 소실에 따라 ‘처〉처엄’의 변화를 거친 뒤, 이 예와 같이 ‘처음’으로 나나나는 것은 『가례언해』(1632)를 위시하여 17세기 문헌부터이다. ¶入棺이 임의 처음 殯소 예 잇고〈가례언해 5:26ㄱ〉. 17세기 문헌에는 ‘처음’ 외에 ‘처’도 보이는데, 이는 비어두음절에서 ‘ㆍ〉ㅡ’ 변화를 의식하여 ‘ㅡ’를 ‘ㆍ’로 부정회귀한 결과이다. ¶破荒田 처 닐온 밧〈역어유해(1690) 하:7ㄴ〉. 『오륜』에서 ‘처음’은 (중세어의 ‘처’과 마찬가지로) “첫 번째”와 함께 “당초”의 의미를 지니기도 하는데, 여기서는 후자의 의미로 쓰였다. 『오륜』의 다른 곳에도 이 예와 같은 ‘처음에’의 꼴로 “당초”의 의미로 쓰인 예가 보인다. ¶분이 처음에 갓치이매 옥 관원이 의법히 칼을 매오니 법되 명여 칼을 벗기라 대 분이 듯디 아니여 오〈오륜 1:40ㄱ〉.
과거 보라 갈 제 가난여 길을 나디 못더니 겨레들이 돈 삼만을 모도와 주011)
모도와:
모와. 원문의 ‘부(裒)’를 언해한 것으로, 『이륜(초)』에는 ‘모도아’로 나타난다. ‘모도-+-아’로 분석될 어형이 이 예에서 ‘모도와’로 나타난 것은 ‘모도-’의 제2음절 /ㅗ/의 순음성이 후행 모음에 전이되어 원순성 반모음 w가 첨가된 결과이다. ‘모도-’는 (“집(集), 회(會)”를 뜻하는) 자동사 ‘몯-’에 사동 접사 ‘-오-’가 결합한 어형으로 중세어 이래 ‘뫼호-’와 거의 의미차 없이 공존하였다. 『오륜』에도 ‘뫼호-’를 계승한 ‘모호-’가 나타나 ‘모도-’와 공존하는데, ‘모호-’는 예외 없이 사람을 대격으로 취한 반면, 이 예의 ‘모도-’는 사람이 아닌 명사구(‘돈’)을 취하고 있어, 지배 명사구의 성격에 다소 차이를 보인다.
주니 여 활 흐로 디날

오륜행실도 5:15ㄴ

아븨 벗 녀옹의 집에 드러가니 녀옹의 상애 가난여 장 못 쟝 그 을 라 디내려 거 사되 주012)
사되:
사도(査道)가. 『이륜(초)』에는 ‘차되’로 나타나, 인명을 ‘사도’가 아닌 ‘차도’로 언해하고 있다. 『전운옥편』에는 ‘査 사 察也 水中浮木 槎同(『고금』)’이라 하여 ‘사(査)’와 ‘사(槎)’를 같은 자로 취급한 예가 보인다. ‘사(槎)’의 고음(古音)은 ‘나무벨 차’였다.
장을 기우려 그 돈을 다 주고 그 을 셔방 마쳐 보내니라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8. 사도경탁(査道傾橐)【송나라】- 사도가 아버지 친구 위해 전대를 기울이다
사도(査道)는 송(宋)나라 휴녕(休寧) 사람이다. 처음에(당초에) 과거 보러 갈 때에 가난하여 길을 나지
(떠나지)
못하였다. 〈그러다가〉 친척들이 돈 삼만을 모아 주니 행
(行; 발행(發行), 길을 떠남)
하여 활대(滑臺) 땅을 지날 때에, 아버지의 벗 여옹(呂翁)의 집에 들어갔다. 〈그 집이〉 여옹의 상사(喪事)에
(상사를 맞았음에도)
가난하여 장사(葬事)를 〈지내지〉 못할 때에
(못하므로)
, 〈그 동복형이〉 장차 그 딸을 팔아 지내려
(치르려)
하였다. 이에 사도가 행장
(行裝; 행리(行李))
을 털어 그 돈을 〈그 집에〉 모두 주고, 그 딸에게 서방을 맞게 하여 〈시집을〉 보내었다.
의리를 재물보다 중히 여김 가장 분명히 보여줘
가난하고 어려워 과거를 보고자하나 볼 수 없어.
도리어 친척들이 돈 보따리를 풀어 주었거니와
모두를 선인(先人)의 친구를 위하여 돈 자루 풀어.
원진은 지금 죽고 없으니 정말 어찌하나
오직 딸을 팔아 그 장례를 치룰 수밖에 없어라.
사도 자루의 돈 풀어 장례를 도와주었거니와
또 그 딸의 혼인을 도와 한 집안을 구제하였네.
Ⓒ 역자 | 이광호 / 2016년 11월 일

〈이륜행실언해문〉
송 시절 차되 갈 제 가난여 길 나디 몯여 커 아히 돈 삼만 모도아 주니 길 나가다가 아븨 벋 려옹의 집븨 디나 드니 려이 주거셔  몯여 그  라 호려 커 차되 제 쟐읫 돈늘 다 내여 주고  그  남진 얼이게 니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휴녕인(休寧人):『오륜』의 ‘휴녕인(休寧人)’은 『이륜』에는 없음.
주002)
초부거(初赴擧):『오륜』의 ‘초부거(初赴擧)’는 『이륜』에는 ‘순화중 초부거(淳化中初赴擧)’로 되어 있음.
주003)
도출활대(道出滑臺):길을 떠나 활대(滑臺) 땅을 지날 때에. 『오륜』의 ‘황대(滑臺)’는 『이륜』에는 ‘활주(滑州)’임.
주004)
옹상빈구무이장(翁喪貧窶無以葬):여옹의 상사를 맞았음에도 가난하여 장사 지내지 못하므로. 『오륜』의 ‘빈구(貧窶)’는 『이륜』에는 없음.
주005)
기모형장죽녀(其母兄將鬻女):그 동복형이 장차 딸을 팔려고 하다. 『오륜』의 ‘기(其)’는 『이륜』에는 없으며, 『오륜』의 ‘녀(女)’는 『이륜』에는 ‘기녀(其女)’임.
주006)
이양사(以襄事):장사에 도움을 얻고자. 『오륜』의 ‘양(襄)’은 『이륜』에는 ‘변양(辨襄)’임.
주007)
원진(元振):곽원진(郭元振). 당(唐)나라 때 귀향(貴鄕) 사람. 매우 의리가 있어 남의 어려움을 잘 구제하였다.
주008)
유모죽녀부모타(惟謀鬻女不謀他):오직 딸을 팔아 〈그 장례를〉 도모하는 것 밖에 다른 도리가 없다. 『오륜』의 ‘유(惟)’는 『이륜』에는 ‘유(唯)’로 되어 있음.
주009)
우조기혼제일가(又助其婚濟一家):또 그 딸의 혼인을 도와 한 집안을 구제하다. 『오륜』의 ‘우조기혼(又助其婚)’은 『이륜』에는 ‘장모리형(葬母理兄)’임.
주010)
처음에:당초(當初). ‘처음+-에’로 분석되는데, 이 예의 ‘처음’은 중세어의 ‘처’에 소급할 어형이다. /ㅿ/의 소실에 따라 ‘처〉처엄’의 변화를 거친 뒤, 이 예와 같이 ‘처음’으로 나나나는 것은 『가례언해』(1632)를 위시하여 17세기 문헌부터이다. ¶入棺이 임의 처음 殯소 예 잇고〈가례언해 5:26ㄱ〉. 17세기 문헌에는 ‘처음’ 외에 ‘처’도 보이는데, 이는 비어두음절에서 ‘ㆍ〉ㅡ’ 변화를 의식하여 ‘ㅡ’를 ‘ㆍ’로 부정회귀한 결과이다. ¶破荒田 처 닐온 밧〈역어유해(1690) 하:7ㄴ〉. 『오륜』에서 ‘처음’은 (중세어의 ‘처’과 마찬가지로) “첫 번째”와 함께 “당초”의 의미를 지니기도 하는데, 여기서는 후자의 의미로 쓰였다. 『오륜』의 다른 곳에도 이 예와 같은 ‘처음에’의 꼴로 “당초”의 의미로 쓰인 예가 보인다. ¶분이 처음에 갓치이매 옥 관원이 의법히 칼을 매오니 법되 명여 칼을 벗기라 대 분이 듯디 아니여 오〈오륜 1:40ㄱ〉.
주011)
모도와:모와. 원문의 ‘부(裒)’를 언해한 것으로, 『이륜(초)』에는 ‘모도아’로 나타난다. ‘모도-+-아’로 분석될 어형이 이 예에서 ‘모도와’로 나타난 것은 ‘모도-’의 제2음절 /ㅗ/의 순음성이 후행 모음에 전이되어 원순성 반모음 w가 첨가된 결과이다. ‘모도-’는 (“집(集), 회(會)”를 뜻하는) 자동사 ‘몯-’에 사동 접사 ‘-오-’가 결합한 어형으로 중세어 이래 ‘뫼호-’와 거의 의미차 없이 공존하였다. 『오륜』에도 ‘뫼호-’를 계승한 ‘모호-’가 나타나 ‘모도-’와 공존하는데, ‘모호-’는 예외 없이 사람을 대격으로 취한 반면, 이 예의 ‘모도-’는 사람이 아닌 명사구(‘돈’)을 취하고 있어, 지배 명사구의 성격에 다소 차이를 보인다.
주012)
사되:사도(査道)가. 『이륜(초)』에는 ‘차되’로 나타나, 인명을 ‘사도’가 아닌 ‘차도’로 언해하고 있다. 『전운옥편』에는 ‘査 사 察也 水中浮木 槎同(『고금』)’이라 하여 ‘사(査)’와 ‘사(槎)’를 같은 자로 취급한 예가 보인다. ‘사(槎)’의 고음(古音)은 ‘나무벨 차’였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