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오륜행실도 5집

  • 역주 오륜행실도 제5권
  • 오륜행실 붕우도
  • 오륜행실붕우도(五倫行實朋友圖)
  • 범장사우(范張死友)
메뉴닫기 메뉴열기

범장사우(范張死友)


오륜행실도 5:2ㄴ

范張死友【漢】

오륜행실도 5:3ㄱ

范式 주001)
범식(范式):
『오륜』의 첫 문장 ‘范式 金鄕人字巨卿 少遊太學 與汝南張劭爲友 劭字元伯 二人並告歸鄕里’는 『이륜』에는 ‘范式與張元伯 並告歸鄕里’로 되어 있음.
金鄕人字巨卿 少遊太學 與汝南張劭爲友 劭字元伯二人並告歸鄕里 式謂元伯 曰後二年 當過拜尊親 乃共尅期日 期將至 元伯請設饌以候之 母曰二年之別 千里結言 何相信之審耶 주002)
신지심야(信之審耶):
『오륜』의 ‘신지심야(信之審耶)’는 『이륜』에는 ‘信耶’임.
對曰巨卿 信士 决不乖違 母曰若然 當醞酒 至其日 巨卿果至 주003)
거경과지(巨卿果至):
『오륜』의 ‘거경과지(巨卿果至)’는 『이륜』에는 ‘巨卿果至 升堂拜飮 巨卿 式字也’로 되어 있음.
後元伯疾篤 歎曰恨不見吾死友范巨卿 尋卒 式忽夢見元伯 呼曰巨卿 吾以某日死 某時葬 子未我忘 豈能相及 式 便馳往赴之 喪已發引 旣至壙 而柩不肯進 其母撫之 曰元伯豈有望耶 주004)
왈원백기유망야(曰元伯豈有望耶):
『오륜』의 ‘왈원백기유망야(曰元伯豈有望耶)’는 『이륜』에는 없음.
遂停柩移時 乃見有素車白馬號哭而來 母曰是必巨卿也 巨卿旣至 叩

오륜행실도 5:3ㄴ

喪言曰行矣元伯 死生異路 永從此辭 式因引柩 於是乃前 式遂畱止冢次爲脩墳樹而去
千里相期二載餘 眼靑堂上見華裾 壽觴共進浮春色 始喜吾兒語不虛
白馬馳來是巨卿 夢中相感亦丁寧 攀號永訣柩還進 誠信應通地下靈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범식은 한나라 금향 사이니  거경이라 져머셔 태에 닐 댱원과 괴엿더니 원으로 더브러 고향으로 도라갈 식이 원려 닐오 훗 두  만에 그 모친을 가셔 뵈오리라

오륜행실도 5:4ㄱ

고 긔약엿더니 그 날이 갓가와 오거 원이 어미게 고여 음식을 초와디라 주005)
초와디라:
갖추고자(준비하고자) 한다. 만들었으면 한다. 원문의 (‘청설찬(請設饌)’에서) ‘청설(請設)’을 언해한 것으로, 『이륜』류에서는 ‘(/)라지라’로 번역되었다. ‘초-+-아지라’로 분석될 어형이나 ‘-아지라’의 ‘지’가 ‘디’로 나타난 것은 구개음화를 의식한 부정회귀가 표기에 관여한 결과이다.
 어미 닐오 두  니별에 쳔리에셔 닐은 말을 엇디 미드리오 원이 오 거경은 유신 사이라 반시 어긔디 주006)
어긔디:
어기지. 원문의 ‘괴위(乖違)’를 옮긴 것으로, 『이륜(초)』에는 (‘그릋-’을 이용하여) ‘그릇디’, 『이륜(중․영)』에는 (‘그릇#-’의 구성에서 어휘화한 ‘그릇-’를 이용하여) ‘그릇디’로 번역되었다.
아니리이다 어미 닐오 그러면 술을 비즈리라 더니 그 에 과연 거경이 와 당에 올라 절고 술 먹으니라 후에 원이 병이 듕니 탄식여 오 범거경을 못 보와 이로라 주007)
이로라:
한(恨)이다. ‘(恨)+이-[계사]+-로-+-라’로 분석될 어형으로, 이곳의 ‘-로-’는 계사 뒤에 나타나는 (“화자의 의도 표시” 선어말어미) ‘-오-’의 형태론적 교체형에 해당한다. 계사 뒤에 분포하는 ‘-로-’는 평서문에 등장하는 ‘-로다’에서도 볼 수 있으나(바로 뒤의 예 ‘이 반시 거경이로다’에 등장하는 ‘-로다’ 참조) 이는 (감동법 선어말어미) ‘-도-~-로-’의 형태론적 교체에 따른 것이므로 이곳의 ‘-로-’와는 구별되어야 한다. 이 예의 ‘-로라’에는 “화자의 의도 표시”의 ‘-오-’가 포함된만큼 현대어역에서는 ‘이로라’에 호응하는 주어로 ‘내’를 상정하여 번역하였다.
고 이윽고 죽으니 식이 에 원이 불러 닐오 거경아 내 아모 날 죽어 아모 날 장

오륜행실도 5:4ㄴ

니 날을 닛디 아니커든 미처 주008)
미처:
미쳐(때맞춰). ‘ 및-+-어’로 분석될 어형으로, 『오륜』에서 “급(及), 지(至)”를 뜻하는 동사 ‘및-’은 논항인 ‘NP-에’나 ‘NP-’과 함께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나(‘드여 블에 밋처 죽으니라[遂逮於火而死]’〈3:2ㄱ〉, ‘고을 삼십 리 못 밋처 가셔[將至縣三十里]’〈5:17ㄱ〉), 여기서는 논항이 생략되었다. 『오륜』에는 ‘미처’가 “제때에” 정도를 뜻하는 부사로 쓰여 현대어의 부사 ‘미처’에 준하는 용법을 보이기도 하지만, 여기서는 ‘미처’가 부정어와 함께 쓰이지 않았으므로 부사로 쓰였다고 보기는 어렵다. ¶내 가댱이 되어 아로 여곰 밋처 가디 못게 니[棘爲家長令弟不行]〈오륜 4:25ㄱ〉.
오라 식이 을 여 즉시 려가니 셔 발인여 무들 해 가시되 관이 아니 가거 그 어미 관을 어르만지며 오 원아 무 기라미 잇냐 더니 이윽고 흰 술위 흰 로 울며 오니 잇거 어미 닐오 이 반시 거경이로다 과연 거경이 와 상여 두드리며 오 디어다 원아 이 길이 다르니 일로 조 주009)
일로 조:
이로부터. 원문의 ‘종차(從此)’를 언해한 것으로, 『이륜』류에는 ‘이리셔’로 번역되었다. 중세어에서 ‘-로’는 주로 “지향점”을 표시하던 조사였지만, 드물게 “출발점” 내지 “유래”를 표시하는 데에도 사용되었다. ¶鉤陳은 님 畿甸으로 나가놋다[…出畿甸]〈두시언해 10:10ㄴ〉. 이러한 의미로 사용된 ‘-로’는 그 의미를 강조하여, ‘(이)시-’에서 문법화한 ‘-셔’나 ‘븥-’의 활용형 ‘브터’, ‘좇-’의 활용형 ‘조차’가 더 통합되어 ‘-로셔, -로 조차, -로 브터’의 모습으로 탈격적 용법을 보이기도 하였다. 이곳의 ‘-로 조차’가 바로 그러한 탈격적 용법을 계승하였다고 할 수 있는데, ‘조차’가 ‘조’로 나타난 것은 ‘ㆍ〉ㅏ’ 변화를 의식한 일종의 부정회귀가 표기에 관여한 결과이다.
영결리라 식이 인여 관을 니 주010)
니:
당기니. 원문의 ‘인(引)’을 언해한 것으로, 『이륜(초)』에는 ‘니’, 『이륜(중․영)』에는 ‘의니’로 나타난다. 중세어에는 “인(引), 견(牽)”의 뜻으로 어간 ‘-’ 외에 ‘-’도 쓰였으나, 현대어에서 전자는 사어화하고 후자는 ‘당기-’로 이어졌다.
관이 이에 나아가거 식이 드여 머므러 이셔 무덤을 일우고 나모 시므고 가니라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2. 범장사우(范張死友)【한나라】- 범식과 장소가 죽도록 벗으로 지내다
범식(范式)은 한(漢)나라 금향(金鄕) 사람이니, 자(字)는 거경(巨卿)이다. 어려서 태학(太學)에 다닐 때에 장원백
(張元伯; 장소(張劭))
과 사귀었다. 장원백과 함께 고향으로 돌아갈 때, 범식이 장원백에게 말하기를, “〈이후로〉 두 해 만에(지나서) 그대의 모친을 〈찾아〉가서 뵙겠다.” 하고 기약하였다. 〈기약한〉 그날이 가까워 오거늘, 장원백이 어머니에게 고하여, “음식을 준비하였으면 한다.” 하였다. 그러자 어머니가 말하기를, “두 해 이별(離別)에 〈헤어져 있는 동안에〉 천리 밖에서 이른 말을 어찌 믿겠느냐?” 하였다. 장원백이 말하기를, “거경은 유신
(有信; 신의가 있음)
한 사람이라 반드시 〈약속을〉 어기지 아니할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어머니가 말하기를, “그러면 술을 빚겠다.”라고 하였다. 〈그런데〉 그날에 과연 범거경(范巨卿)이 와 당
(堂; 마루)
에 올라 절하고 술을 먹었다. 후에 장원백이 병이 중하니 탄식하여 말하기를, “〈내가〉 범거경을 못 보아 한(恨)이로다.” 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죽었다. 범식의 꿈에 장원백이 〈범식을〉 불러 말하기를, “거경아, 내가 아무 날 죽어 아무 날 장사하는데, 나를 잊지 아니하였거든 미쳐(제때에) 오라.” 하였다. 범식이 꿈에서 깨어 즉시 달려가니 벌써 발인(發靷)하여 묻을 땅(곳)에 갔으되, 관(棺)이 〈앞으로 나아〉가지 않았다. 〈이에〉 그 어머니가 관을 어루만지며 말하기를, “원백아, 무슨 기다림이(기다리는 바가) 있느냐?” 하였다. 〈그러자〉 얼마 지나지 않아 흰 수레와 흰말을 타고 울며 오는 사람이 있거늘, 어머니가 말하기를, “이(이 사람은) 반드시 거경일 것이다.”라고 하였다. 과연 범거경이 와 상여를 두드리며 말하기를, “행(行)할지어다(가거라) 원백아! 사생
(死生; 죽음과 삶)
이 〈서로〉 길이 다르니 이로써 영결(永訣)할 것이다.”라고 하였다. 범식이 〈그런 뒤에〉 관을 당기니 관이 이에 〈앞으로〉 나아갔다. 〈그 뒤〉 범식이 끝내
(끝까지)
머물러 있어
(지내면서)
무덤을 만들고 나무를 심은 뒤 갔다
(떠났다)
.
천 리 먼 곳에서 약속하기 두 해가 넘었는데
마루위에서 바라보니 날리는 옷자락 보여라.
축수의 잔을 함께 드리니 봄빛이 떠올라라
비로소 내 아들의 말 헛되지 않으니 기뻐해.
흰말 타고 달려오다니 큰 벼슬아치이리라
꿈 가운데에서 교감하거니 정녕 범식이라.
울부짖어 영결하니 장소의 영구 움직이니
정성과 믿음 응당 지하의 영혼과 통함이지.
Ⓒ 역자 | 이광호 / 2016년 11월 일

〈이륜행실언해문〉
범식기 원과 본애 갈 제 닐우듸 훗 두 예 도라 디나갈 제 그듸 어머님 뵈오다 날 고 그 날리 갓가와 오거 원기 차반 라지라 대 어미 닐우듸 두  여희여 머리셔 닐운 마 엇디 미드리오 닐우듸 거은 유신 사미라 그릇디 아니리라 어미 닐우듸 그러면 술 비조리라 그 나래 과연히 와 어믜게 절고 술 머그니 거은 범식긔 라 후에 원기  되여셔 닐우듸 내 죽쟈 시[사?]졋 벋 범거을 몯 보애라 이고 주그니 범식기 메 원기 블러 닐우듸 거아 내 아모 날 주거 아모  니 날 닛디 아니커든 미처 오나라 범식기 여가니 마 발인여 무들 해 가쇼듸 곽기 아니 가거 그 어미 디퍼 곽글 머믈워 두고 보니   고 우르고 오거 어미 닐우듸 이 거이로다 거이 와 예 두드리며 닐우듸 니거라 원가 길히 다니 이리셔 여희져 범식기 곽글 자바 니 나 니거늘 이셔 묻고 나모 심므고 가니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범식(范式):『오륜』의 첫 문장 ‘范式 金鄕人字巨卿 少遊太學 與汝南張劭爲友 劭字元伯 二人並告歸鄕里’는 『이륜』에는 ‘范式與張元伯 並告歸鄕里’로 되어 있음.
주002)
신지심야(信之審耶):『오륜』의 ‘신지심야(信之審耶)’는 『이륜』에는 ‘信耶’임.
주003)
거경과지(巨卿果至):『오륜』의 ‘거경과지(巨卿果至)’는 『이륜』에는 ‘巨卿果至 升堂拜飮 巨卿 式字也’로 되어 있음.
주004)
왈원백기유망야(曰元伯豈有望耶):『오륜』의 ‘왈원백기유망야(曰元伯豈有望耶)’는 『이륜』에는 없음.
주005)
초와디라:갖추고자(준비하고자) 한다. 만들었으면 한다. 원문의 (‘청설찬(請設饌)’에서) ‘청설(請設)’을 언해한 것으로, 『이륜』류에서는 ‘(/)라지라’로 번역되었다. ‘초-+-아지라’로 분석될 어형이나 ‘-아지라’의 ‘지’가 ‘디’로 나타난 것은 구개음화를 의식한 부정회귀가 표기에 관여한 결과이다.
주006)
어긔디:어기지. 원문의 ‘괴위(乖違)’를 옮긴 것으로, 『이륜(초)』에는 (‘그릋-’을 이용하여) ‘그릇디’, 『이륜(중․영)』에는 (‘그릇#-’의 구성에서 어휘화한 ‘그릇-’를 이용하여) ‘그릇디’로 번역되었다.
주007)
이로라:한(恨)이다. ‘(恨)+이-[계사]+-로-+-라’로 분석될 어형으로, 이곳의 ‘-로-’는 계사 뒤에 나타나는 (“화자의 의도 표시” 선어말어미) ‘-오-’의 형태론적 교체형에 해당한다. 계사 뒤에 분포하는 ‘-로-’는 평서문에 등장하는 ‘-로다’에서도 볼 수 있으나(바로 뒤의 예 ‘이 반시 거경이로다’에 등장하는 ‘-로다’ 참조) 이는 (감동법 선어말어미) ‘-도-~-로-’의 형태론적 교체에 따른 것이므로 이곳의 ‘-로-’와는 구별되어야 한다. 이 예의 ‘-로라’에는 “화자의 의도 표시”의 ‘-오-’가 포함된만큼 현대어역에서는 ‘이로라’에 호응하는 주어로 ‘내’를 상정하여 번역하였다.
주008)
미처:미쳐(때맞춰). ‘ 및-+-어’로 분석될 어형으로, 『오륜』에서 “급(及), 지(至)”를 뜻하는 동사 ‘및-’은 논항인 ‘NP-에’나 ‘NP-’과 함께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나(‘드여 블에 밋처 죽으니라[遂逮於火而死]’〈3:2ㄱ〉, ‘고을 삼십 리 못 밋처 가셔[將至縣三十里]’〈5:17ㄱ〉), 여기서는 논항이 생략되었다. 『오륜』에는 ‘미처’가 “제때에” 정도를 뜻하는 부사로 쓰여 현대어의 부사 ‘미처’에 준하는 용법을 보이기도 하지만, 여기서는 ‘미처’가 부정어와 함께 쓰이지 않았으므로 부사로 쓰였다고 보기는 어렵다. ¶내 가댱이 되어 아로 여곰 밋처 가디 못게 니[棘爲家長令弟不行]〈오륜 4:25ㄱ〉.
주009)
일로 조:이로부터. 원문의 ‘종차(從此)’를 언해한 것으로, 『이륜』류에는 ‘이리셔’로 번역되었다. 중세어에서 ‘-로’는 주로 “지향점”을 표시하던 조사였지만, 드물게 “출발점” 내지 “유래”를 표시하는 데에도 사용되었다. ¶鉤陳은 님 畿甸으로 나가놋다[…出畿甸]〈두시언해 10:10ㄴ〉. 이러한 의미로 사용된 ‘-로’는 그 의미를 강조하여, ‘(이)시-’에서 문법화한 ‘-셔’나 ‘븥-’의 활용형 ‘브터’, ‘좇-’의 활용형 ‘조차’가 더 통합되어 ‘-로셔, -로 조차, -로 브터’의 모습으로 탈격적 용법을 보이기도 하였다. 이곳의 ‘-로 조차’가 바로 그러한 탈격적 용법을 계승하였다고 할 수 있는데, ‘조차’가 ‘조’로 나타난 것은 ‘ㆍ〉ㅏ’ 변화를 의식한 일종의 부정회귀가 표기에 관여한 결과이다.
주010)
니:당기니. 원문의 ‘인(引)’을 언해한 것으로, 『이륜(초)』에는 ‘니’, 『이륜(중․영)』에는 ‘의니’로 나타난다. 중세어에는 “인(引), 견(牽)”의 뜻으로 어간 ‘-’ 외에 ‘-’도 쓰였으나, 현대어에서 전자는 사어화하고 후자는 ‘당기-’로 이어졌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