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오륜행실도 5집

  • 역주 오륜행실도 제5권
  • 오륜행실 붕우도
  • 오륜행실붕우도(五倫行實朋友圖)
  • 한이경복(韓李更僕)
메뉴닫기 메뉴열기

한이경복(韓李更僕)


오륜행실도 5:16ㄱ

韓李更僕【宋】

오륜행실도 5:16ㄴ

韓億 雍丘人 주001)
옹구인(雍丘人):
『오륜』의 ‘옹구인(雍丘人)’은 『이륜』에서는 없음.
李若谷 徐州人 주002)
서주인(徐州人):
『오륜』의 ‘서주인(徐州人)’은 『이륜』에서는 없음.
未第時皆貧 同試京師 每出謁 更爲僕 李先登第 授長社縣主簿赴官 自控妻驢 億爲負一箱 將至縣三十里 李謂韓 曰恐縣吏來 箱中只有錢六百 以其半遺韓 相持大哭別去 주003)
대곡별거(大哭別去):
크게 울고 떠났다(헤어졌다). 『오륜』의 ‘별(別)’은 『이륜』에서는 ‘이(而)’임.
後擧 韓亦登第 仕皆至參政 爲婚姻不絶
二子同時擧上都 何嫌出謁迭爲奴 由來貧賤交尤密 榮辱升沉兩不渝
自控妻驢赴縣時 韓生猶復負箱隨 分錢道上相持哭 주004)
분전도상상지곡(分錢道上相持哭):
길 위에서 돈을 나누고, 서로 부둥켜 안고 울다. 『오륜』의 ‘전(錢)’은 『이륜』에서는 ‘전(餞)’임.
從此連姻義莫虧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한억은 송나라 옹구 사이오 니약곡은 셔쥬 사

오륜행실도 5:17ㄱ

이니 급뎨 못야신 제 가난야 가지로 과거 보라 셔울 갈 서로 죵이 되더니 약곡이 몬져 급뎨여 쟝샤 에 주005)
에:
땅에. 『오륜』의 다른 곳에는 ‘’(간혹 ‘희’)로 나타나나, 이곳에서만 ‘에’로 나타났다. 이는 ‘ㅎ’의 ㅎ 종성이 소실되기 시작하였음을 보여 주는 동시에, 처격이 ‘-에’로 단일화되어 가는 추세를 반영한 것이다.
원여 갈 제 그 안  나귀 견마 잡고 한억은 짐 지고 가더니 고을 삼십 리 못 밋쳐 가셔 주006)
고을 삼십 리 못 밋처 가서:
고을 삼십 리에 못 미쳐 가서. 고을까지 (채) 삼십 리를 못 남겨 두었을 때에. 원문의 ‘장지현삼십리(將至縣三十里)’를 언해한 것으로, 『이륜』류에는 ‘고 몯 미처  즘게 여셔’로 번역되었다(‘즘게’는 “삼십 리”를 뜻한다).『이륜』류의 번역에서 드러나듯이 이곳의 ‘밋처’는 (‘NP-에’나 ‘NP-’을 논항으로 취하여) “급(及), 지(至)”를 뜻하는 동사 어간 ‘및-’의 활용형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나 『오륜』에는 “제때에” 정도를 뜻하는 부사로 쓰여, 현대어의 부사 ‘미처’에 준하는 용법을 보이는 예도 등장한다. ¶사 죽이믈 밋처 못 시 니[殺人若不勝]〈오륜 2:2ㄱ〉. 내 가댱이 되어 아로 여곰 밋처 가디 못게 니[棘爲家長令弟不行]〈오륜 4:25ㄱ〉.
약곡이 한억려 닐오 고을 아젼이 올가 저헤라 주007)
저헤라:
두렵도다. 원문의 ‘공(恐)’을 언해한 것으로, 어간 ‘젛-’에 화자의 “감탄”을 표시하는 종결 어미 ‘-에라’가 결합된 어형이다. 『오륜』에서는 ‘젛-’을 사용한 반면, 『이륜(중․영)』에서는 ‘젛-’에서 파생된 형용사 ‘저프-’(←‘젛-+-브-’)를 사용하여 ‘저페라’로 번역되었다. ‘저훔’과 ‘저품’ 사이의 차이와 마찬가지로 전자가 능동적 차원의 심리 상태를 표현한 번역이라면, 후자는 피동적, 수동적 차원의 심리 상태를 표현한 번역이라 할 수 있다.
고 짐에 다만 돈 뉵이 잇거 반을 화 한억을 주고 서로 붓드러 크게 울고 가더니 훗 과거의 한억이  급뎨여 둘히 가지로 벼이 샹에 니르고 서로 혼인여 티 주008)
티:
끊지. 원문의 ‘절(絶)’을 언해한 것으로, 『이륜』류에는 ‘(혼인/혼인기) 그치디’로 번역되었다. 『이륜』류의 어간 ‘그치-’는 ‘긏-’에 의미와 품사 범주를 바꾸지 않는 접사 ‘-이-’가 결합한 어형인데, 중세어의 ‘긏-’ 내지 ‘그치-’의 후대형으로 『오륜』에는 이곳의 ‘-’ 외에 ‘-’, ‘-’ 등 여러 어형이 공존한다.
아니더라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9. 한이갱복(韓李更僕)【송나라】- 한억과 이약곡이 번갈아 종노릇을 하다
한억(韓億)은 송(宋)나라 옹구(雍丘) 사람이요, 이약곡(李若谷)은 서주(徐州) 사람이다. 급제(及第) 못하고 있던 시절에 가난하여, 〈두 사람이〉 함께 과거 보러 서울 갈 때에 서로 〈번갈아〉 종이 되었다. 이약곡이 먼저 급제하여 장사(長社) 땅에 원(員)이 되어 갈 때, 〈이약곡은〉 그 아내가 탄 나귀의 고삐를 잡고, 한억은 짐을 〈등에〉 지고 갔다. 고을 삼십 리에 못 미쳐 가서(고을까지 삼십 리를 못 남겨 두었을 때), 이약곡이 한억에게 말하기를, “고을 아전(衙前)이 올까 두렵도다.” 하였다. 〈그때〉 짐에 다만 돈 육백이 있거늘 〈이약곡이〉 반을 나누어 한억에게 주고, 〈두 사람이〉 서로 붙들어(붙잡고서) 크게 울고 갔다(떠났다, 헤어졌다). 다음 과거에 한억이 또 급제하여 두 사람이 다 같이 벼슬이 재상(宰相)에 이르고, 서로 혼인하여 〈혼인을(인연을)〉 끊지 아니하였다.
두 사람이 동시에 과거 보려 서울로 올라가
어찌 나가 뵈옵고 갈마들며 하인노릇 싫어하랴.
가난하고 천한 까닭으로 사귀임은 더욱 친밀하여
영화롭고 욕되고 오르고 잠겨도 두 사람 변함없어.
스스로 아내의 말고삐 잡고 현감으로 부임할 때
한억(韓億)은 그 위에 다시 상자를 지고 따라가.
길 위에서 돈을 나누고 서로 부둥켜 안고 울거니
이로부터 혼인을 맺어 의리는 이지러지지 않아.
Ⓒ 역자 | 이광호 / 2016년 11월 일

〈이륜행실언해문〉
한억과 니약곡기 급뎨 몯 제 다 가난터니  셔울 가셔 나닐 제 서르 이 외더라 약곡기 몬져 급뎨여 샷 원 야 갈 제 제 겨집븨  마코 한억기 짐 지여 고 몯 미처  즘게 여셔 닐우듸 고 사름미 올가 저헤라 고 짐메 다 돈니 뉵기 잇거 반 한억기 주고 서르 잡고  울오 가니 훗애 한억기도 급뎨여 벼슬 참 지여 로 혼인 그치디 아니더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옹구인(雍丘人):『오륜』의 ‘옹구인(雍丘人)’은 『이륜』에서는 없음.
주002)
서주인(徐州人):『오륜』의 ‘서주인(徐州人)’은 『이륜』에서는 없음.
주003)
대곡별거(大哭別去):크게 울고 떠났다(헤어졌다). 『오륜』의 ‘별(別)’은 『이륜』에서는 ‘이(而)’임.
주004)
분전도상상지곡(分錢道上相持哭):길 위에서 돈을 나누고, 서로 부둥켜 안고 울다. 『오륜』의 ‘전(錢)’은 『이륜』에서는 ‘전(餞)’임.
주005)
에:땅에. 『오륜』의 다른 곳에는 ‘’(간혹 ‘희’)로 나타나나, 이곳에서만 ‘에’로 나타났다. 이는 ‘ㅎ’의 ㅎ 종성이 소실되기 시작하였음을 보여 주는 동시에, 처격이 ‘-에’로 단일화되어 가는 추세를 반영한 것이다.
주006)
고을 삼십 리 못 밋처 가서:고을 삼십 리에 못 미쳐 가서. 고을까지 (채) 삼십 리를 못 남겨 두었을 때에. 원문의 ‘장지현삼십리(將至縣三十里)’를 언해한 것으로, 『이륜』류에는 ‘고 몯 미처  즘게 여셔’로 번역되었다(‘즘게’는 “삼십 리”를 뜻한다).『이륜』류의 번역에서 드러나듯이 이곳의 ‘밋처’는 (‘NP-에’나 ‘NP-’을 논항으로 취하여) “급(及), 지(至)”를 뜻하는 동사 어간 ‘및-’의 활용형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나 『오륜』에는 “제때에” 정도를 뜻하는 부사로 쓰여, 현대어의 부사 ‘미처’에 준하는 용법을 보이는 예도 등장한다. ¶사 죽이믈 밋처 못 시 니[殺人若不勝]〈오륜 2:2ㄱ〉. 내 가댱이 되어 아로 여곰 밋처 가디 못게 니[棘爲家長令弟不行]〈오륜 4:25ㄱ〉.
주007)
저헤라:두렵도다. 원문의 ‘공(恐)’을 언해한 것으로, 어간 ‘젛-’에 화자의 “감탄”을 표시하는 종결 어미 ‘-에라’가 결합된 어형이다. 『오륜』에서는 ‘젛-’을 사용한 반면, 『이륜(중․영)』에서는 ‘젛-’에서 파생된 형용사 ‘저프-’(←‘젛-+-브-’)를 사용하여 ‘저페라’로 번역되었다. ‘저훔’과 ‘저품’ 사이의 차이와 마찬가지로 전자가 능동적 차원의 심리 상태를 표현한 번역이라면, 후자는 피동적, 수동적 차원의 심리 상태를 표현한 번역이라 할 수 있다.
주008)
티:끊지. 원문의 ‘절(絶)’을 언해한 것으로, 『이륜』류에는 ‘(혼인/혼인기) 그치디’로 번역되었다. 『이륜』류의 어간 ‘그치-’는 ‘긏-’에 의미와 품사 범주를 바꾸지 않는 접사 ‘-이-’가 결합한 어형인데, 중세어의 ‘긏-’ 내지 ‘그치-’의 후대형으로 『오륜』에는 이곳의 ‘-’ 외에 ‘-’, ‘-’ 등 여러 어형이 공존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