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남명집언해 제2

  • 역주 남명집언해
  • 남명집언해 하
  • 제241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241


남명집언해 하:37ㄱ

三歲예 便能大哮吼니 種性이 無差야 勢力全도다 坐斷東西야 無過路니 巍巍長在碧巖前니라
Ⓒ 구결 | 학조 / 1482년 월 일

서레 주001)
서레:
설[歲]+에. ‘설’은 ‘나이를 헤아리는 단위’를 뜻하기도 하고, ‘한 해의 첫날’을 의미하기도 한다. 사전에서는 동음이의어로 기술하고 있으나, 다의어로 볼 수도 있다.
곧 能히 주002)
키:
크-[大]+이(부사파생접미사).
우르니 주003)
우르니:
우르-[哮. 吼]++니. ‘울다’라면 ‘우니’가 됨.
種性 주004)
종성(種性):
본성.
달옴 주005)
달옴:
다-[異]+오+ㅁ. ‘’ 불규칙용언 중 이른바 ‘ㄹㅇ’형.
업서 勢力이 오도다 주006)
오도다:
오-[全]+도+다. /ㄷ/ 앞에서 /ㄹ/ 탈락.
東西 그처 주007)
그처:
긏-[斷]+어. 이 어휘는 자동사와 타동사로 두루 쓰이는데, 여기서는 타동사임.
안자 디날 길히 업스니 巍巍야 파란 주008)
파란:
‘파라-, 파랗-, 파라-’ 세 어간이 쓰인다. ‘파라-’에서 //가 탈락하여 ‘파랗-’이 재구조화되고, ‘파랗-’의 /ㅎ/이 탈락하여 새로운 어간 ‘파라-’가 만들어진 것으로 보임.
바회 알 주009)
알:
앒+. ‘-’는 관형격조사와 모습이 같은 특수처소부사격조사.
사만 주010)
사만:
마냥. 오래오래. 이 책의 특징적인 어휘.
잇니라【巍巍 놉고 클 시라】
【주】 디날 길 업소 주011)
업소:
없-[無]+오+ㅁ+. 모음조화에 맞는 ‘업수믄’이 일반적인 형태임. 이 책에서는 모음조화를 파괴하면서 ‘-오/우-, -/은, -/을‧‧‧’ 중에서 양성모음을 취하는 경우가 많다.
조왼 주012)
조왼:
종요로운. 조/조[要. 核](명사)+외(형용사파생접미사)+ㄴ(관형사형어미). ‘조’은 ‘-/외-’ 앞에서 ‘조’로 바뀜. ‘--’은 자음 앞에서, ‘-외-’(〈--)는 모음 앞에서 쓰임.
 주013)
:
[津]+(목적격조사). 명사의 말음 /, ㅡ/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 탈락한다. ①[粉]+로→로. ②[一日]+→. ③아+이→이. ④+이→. ⑤+이라→시라.
자바 그처 주014)
그처:
긏-[斷]+어.
凡聖 通티 아니 시라 네짯 句 證 境에 주015)
-에:
‘-에’는 ‘-에서’란 뜻으로도 쓰임.
여희디 아니 시라
Ⓒ 언해 | 학조 / 1482년 월 일

세 살에 곧 능히 크게 포효하나니, 종성이 다름 없어 세력이 온전하도다. 동서를 끊어 앉아 지날 길이 없으니 외외(巍巍)하여 파란 바위 앞에 마냥 있느니라.【외외(巍嵬)는 높고 큰 것이다.】
【주】 지날 길 없음은 종요로운 나루를 잡아 끊어 범부(凡夫)와 성인(聖人)을 통(通)하지 않는 것이다. 넷째 구는 깨달은 경지에서 벗어나지 아니하는 것이다.
Ⓒ 역자 | 이유기 / 2002년 9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서레:설[歲]+에. ‘설’은 ‘나이를 헤아리는 단위’를 뜻하기도 하고, ‘한 해의 첫날’을 의미하기도 한다. 사전에서는 동음이의어로 기술하고 있으나, 다의어로 볼 수도 있다.
주002)
키:크-[大]+이(부사파생접미사).
주003)
우르니:우르-[哮. 吼]++니. ‘울다’라면 ‘우니’가 됨.
주004)
종성(種性):본성.
주005)
달옴:다-[異]+오+ㅁ. ‘’ 불규칙용언 중 이른바 ‘ㄹㅇ’형.
주006)
오도다:오-[全]+도+다. /ㄷ/ 앞에서 /ㄹ/ 탈락.
주007)
그처:긏-[斷]+어. 이 어휘는 자동사와 타동사로 두루 쓰이는데, 여기서는 타동사임.
주008)
파란:‘파라-, 파랗-, 파라-’ 세 어간이 쓰인다. ‘파라-’에서 //가 탈락하여 ‘파랗-’이 재구조화되고, ‘파랗-’의 /ㅎ/이 탈락하여 새로운 어간 ‘파라-’가 만들어진 것으로 보임.
주009)
알:앒+. ‘-’는 관형격조사와 모습이 같은 특수처소부사격조사.
주010)
사만:마냥. 오래오래. 이 책의 특징적인 어휘.
주011)
업소:없-[無]+오+ㅁ+. 모음조화에 맞는 ‘업수믄’이 일반적인 형태임. 이 책에서는 모음조화를 파괴하면서 ‘-오/우-, -/은, -/을‧‧‧’ 중에서 양성모음을 취하는 경우가 많다.
주012)
조왼:종요로운. 조/조[要. 核](명사)+외(형용사파생접미사)+ㄴ(관형사형어미). ‘조’은 ‘-/외-’ 앞에서 ‘조’로 바뀜. ‘--’은 자음 앞에서, ‘-외-’(〈--)는 모음 앞에서 쓰임.
주013)
:[津]+(목적격조사). 명사의 말음 /, ㅡ/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 탈락한다. ①[粉]+로→로. ②[一日]+→. ③아+이→이. ④+이→. ⑤+이라→시라.
주014)
그처:긏-[斷]+어.
주015)
-에:‘-에’는 ‘-에서’란 뜻으로도 쓰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