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남명집언해 제2

  • 역주 남명집언해
  • 남명집언해 하
  • 제238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238


走獸飛禽이 皆遠去니 四顧寥寥야 一境이 空도다 豈是從來無侶伴이리오 爲他毛色이 不相同일니라
Ⓒ 구결 | 학조 / 1482년 월 일

 주001)
:
-[走]++ㄴ.
즘 주002)
즘:
중세국어에서도 처음에는 ‘즁’(「용비어천가」30장)으로 쓰이다가 ‘즘, 즘’으로 변화하였다. ‘즁’은 원래 모든 생명체를 뜻하던 한자어 ‘衆生’이었으나 의미가 축소됨.
 주003)
:
-[飛]++ㄴ.
주004)
새:
주격조사는 ∅형태.
머리 주005)
머리:
멀-[遠]+이(부사파생접미사).
가니 四方 도라보 寥寥 주006)
요요(寥寥):
텅 비고 쓸쓸함.
야 一境 주007)
일경(一境):
‘경(境)’은 인식이나 가치 판단의 대상이 되는 것.

남명집언해 하:36ㄱ

뷔도다 주008)
뷔도다:
뷔-[空]+도+다.
엇뎨 주009)
엇뎨:
‘엇디’와 공존하는데, 의미 차이가 없어 보인다. ‘엇뎨’는 ‘엇디’에 부사격조사 ‘-에’가 통합하여 이루어진 것이라 생각된다.
녜브터 오매 주010)
녜브터 오매:
‘오매’는 원문을 직역한다는 원칙 때문에 쓰인 것으로 보인다.
버디 주011)
버디:
벋[友]+이. ‘벋〉벗’의 변화는 근대국어 시기에 발생하는데, ‘〉, 붇〉붓’과 비례한다.
업스리오 뎌 터럭 주012)
터럭:
털[毛]+억. 〈참고〉 뜰+악→뜨락.
주013)
빗:
빛→빗. 8종성표기법.
괘 서르 디 아니니라 주014)
아니니라:
[원인]을 나타내는 연결어미 ‘-ㄹ’에 ‘∅(서술격조사)+니+라’가 붙은 것.
【주】  즘 凡夫ㅣ라  새 二乘 주015)
이승(二乘):
3승 중 성문승과 연각승. ①성문승: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해탈을 얻음. ②연각승: 스스로 깨달음.
이니 아래 닐온 주016)
닐온:
니/니르-[說. 謂]+오/우+ㄴ. ‘所謂’, ‘이른바’란 뜻을 가지는 명사로도 쓰이고, ‘말하자면’이란 뜻을 가지는 부사로도 쓰이고, 여기서처럼 관형사형으로도 쓰인다. 피수식어는 ‘터럭’과 ‘빗’이 아니라 ‘사’인데, 중세국어 자료에서는 이러한 수식 구조가 흔하다.
터럭과 빗괘 디 주017)
디:
‘(부사)’에 ‘-’가 붙어 형용사 ‘-’가 파생되고, ‘니(+-+니)’와 같은 활용형에 대한 오분석의 결과 새로운 어간 ‘-’이 만들어졌다. 한편 이 ‘-’은 음절말에서는 8종성표기법에 의해 ‘-’으로 적힌다.
아니 사미라 머리 주018)
머리:
멀-[遠]+이(부사파생접미사). 현대국어 ‘멀리’는 /ㄹ/ 첨가.
가다 호 디 아니호 니시니라 버든  가짓 師子ㅣ라
Ⓒ 언해 | 학조 / 1482년 월 일

달리는 짐승과 나는 새가 다 멀리 가나니, 사방을 돌아보되 요요(寥寥)하여 한 경이 비었구나. 어찌 이 예부터 옴에 벗이 없으리오? 저 털과 빛이 서로 같지 아니하기 때문이니라.
【주】 달리는 짐승은 범부이다. 나는 새는 이승(二乘)이니 앞에서 말한, 털과 빛이 같지 않은 사람이다. 멀리 가다 함은 같지 않음을 이르신 것이다. 벗은 한 가지인 사자이다.
Ⓒ 역자 | 이유기 / 2002년 9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走]++ㄴ.
주002)
즘:중세국어에서도 처음에는 ‘즁’(「용비어천가」30장)으로 쓰이다가 ‘즘, 즘’으로 변화하였다. ‘즁’은 원래 모든 생명체를 뜻하던 한자어 ‘衆生’이었으나 의미가 축소됨.
주003)
:-[飛]++ㄴ.
주004)
새:주격조사는 ∅형태.
주005)
머리:멀-[遠]+이(부사파생접미사).
주006)
요요(寥寥):텅 비고 쓸쓸함.
주007)
일경(一境):‘경(境)’은 인식이나 가치 판단의 대상이 되는 것.
주008)
뷔도다:뷔-[空]+도+다.
주009)
엇뎨:‘엇디’와 공존하는데, 의미 차이가 없어 보인다. ‘엇뎨’는 ‘엇디’에 부사격조사 ‘-에’가 통합하여 이루어진 것이라 생각된다.
주010)
녜브터 오매:‘오매’는 원문을 직역한다는 원칙 때문에 쓰인 것으로 보인다.
주011)
버디:벋[友]+이. ‘벋〉벗’의 변화는 근대국어 시기에 발생하는데, ‘〉, 붇〉붓’과 비례한다.
주012)
터럭:털[毛]+억. 〈참고〉 뜰+악→뜨락.
주013)
빗:빛→빗. 8종성표기법.
주014)
아니니라:[원인]을 나타내는 연결어미 ‘-ㄹ’에 ‘∅(서술격조사)+니+라’가 붙은 것.
주015)
이승(二乘):3승 중 성문승과 연각승. ①성문승: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해탈을 얻음. ②연각승: 스스로 깨달음.
주016)
닐온:니/니르-[說. 謂]+오/우+ㄴ. ‘所謂’, ‘이른바’란 뜻을 가지는 명사로도 쓰이고, ‘말하자면’이란 뜻을 가지는 부사로도 쓰이고, 여기서처럼 관형사형으로도 쓰인다. 피수식어는 ‘터럭’과 ‘빗’이 아니라 ‘사’인데, 중세국어 자료에서는 이러한 수식 구조가 흔하다.
주017)
디:‘(부사)’에 ‘-’가 붙어 형용사 ‘-’가 파생되고, ‘니(+-+니)’와 같은 활용형에 대한 오분석의 결과 새로운 어간 ‘-’이 만들어졌다. 한편 이 ‘-’은 음절말에서는 8종성표기법에 의해 ‘-’으로 적힌다.
주018)
머리:멀-[遠]+이(부사파생접미사). 현대국어 ‘멀리’는 /ㄹ/ 첨가.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