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남명집언해 제2

  • 역주 남명집언해
  • 남명집언해 하
  • 제308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308


一切聖賢이 如電拂니 亦無形狀며 亦無名도다 天空白月人歸後에 幾握吹毛야 斷不平커뇨
Ⓒ 구결 | 학조 / 1482년 월 일

一切 聖賢 주001)
성현(聖賢):
성인과 현인.
이 번게 롬 주002)
롬:
떪. 치는 것. ‘-[振]’의 명사형으로, 모음조화에는 ‘떠룸’이 맞음.
니  形狀 업스며  일훔 업도다 하 뷔오 주003)
뷔오:
비고. 음절부음 [j] 뒤에서 /ㄱ/이 약화됨.
래 주004)
하 뷔오  래:
문법적 성격이 달라 접속할 수 없는 것을 접속함.
사 도라간 後에 몃 주005)
마:
만큼. 의존명사임.
吹毛 자바 不平 긋거뇨 주006)
긋거뇨:
끊었는가? 긏-[絶]+거+니+고. 8종성표기. ‘-거-’는 타동사에서는 ‘-어/아-’로 교체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여기서는 예외를 보임. ‘긏-’이 능격동사여서 이런 혼란이 생긴 것이 아닌가 생각되기도 한다.
【吹毛 주007)
갌:
칼의. 갈ㅎ[劍]+ㅅ(관형격조사).
일후미니 해 주008)
해:
ㅎ[刃]+애.
터럭 부러도 그츨 吹毛ㅣ라】
【주】

남명집언해 하:70ㄴ

세짯 句  아래 사 업슬 시니  아래 사 업슨 고디 이 소내 吹毛 자 사 솃 주009)
솃:
서 있는. ‘셔-[立]+-어 잇-[有]+--+-ㄴ’.
고디라 네짯 句 鏌鎁 주010)
막야(鏌鎁):
고대 오나라 사람 막야가 만든 명검의 이름.
빗기 주011)
빗기:
비스듬히. 비뚜로. ‘-[斜]+-이(부사파생접사)’.
자바 正令 주012)
정령(正令):
바른 명령.
오와 주013)
오와:
온전하게 하여(받들어). ‘올와’(능7:23)형도 있음.
大平 나라 어리미혹닐 주014)
어리미혹닐:
어리석고 미혹한 사람을. 어리-[愚]+미혹(迷惑)-+-ㄴ(관형사형)+-ㄹ(목적격조사).
버히다 며 석 잣 갈 라 不平 주015)
불평(不平):
못마땅하게 여기거나, 그것을 말이나 행동으로 나타낸.
사 기드려 버히다 홈과 니라  하 뷔며   주016)
하 뷔며  :
문법적 성격이 달라 접속할 수 없는 것을 접속함.
일훔 얼굴 업슨 고디오 사 도라간 後ㅣ라 호 始智 주017)
시지(始智):
모든 사리(事理)의 시비(是非), 사정(邪正)을 분별하여 결단하는 심(心) 작용.
 니주미오 네짯 句 始智 니존 고  두디 아니 시라【鏌鎁 갌 일후미라】
Ⓒ 언해 | 학조 / 1482년 월 일

일체의 성현(聖賢)이 번개 침과 같으니, 또한 형상 없으며 또한 이름 없도다. 하늘 비고 흰 달에 사람 돌아간 후에 얼마 만큼의 취모(吹毛)를 잡아 평평하지 않음을 끊었는가?【취모(吹毛)는 칼의 이름이니 칼날에 터럭을 불어도 끊어지므로 취모(吹毛)이다.】
【주】 셋째 구는 달 아래 사람 없다는 것이니, 달빛 아래 사람 없는 곳, 이곳이 손에 취모(吹毛)라는 칼을 잡은 사람이 서 있는 곳이다. 넷째 구는 막야(鏌鎁)라는 칼을 비스듬히 잡고 바른 명령을 온전하게 받들어 태평한 나라에서 어리석고 미혹한 사람을 벤다 하며, 석 자 칼을 갈아 불평(不平)한 사람을 기다려 벤다 함과 같은 것이다. 또 ‘하늘 비며 흰 달’은 이름과 모양이 없는 것이고, ‘사람 돌아간 후’라 함은 시지(始智)를 잊는다는 것이고, 넷째 구는 시지(始智) 잊은 것을 또 (마음에) 두지 아니한다는 것이다.【막야(鏌鎁)는 칼 이름이다.】
Ⓒ 역자 | 이유기 / 2002년 9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성현(聖賢):성인과 현인.
주002)
롬:떪. 치는 것. ‘-[振]’의 명사형으로, 모음조화에는 ‘떠룸’이 맞음.
주003)
뷔오:비고. 음절부음 [j] 뒤에서 /ㄱ/이 약화됨.
주004)
하 뷔오  래:문법적 성격이 달라 접속할 수 없는 것을 접속함.
주005)
마:만큼. 의존명사임.
주006)
긋거뇨:끊었는가? 긏-[絶]+거+니+고. 8종성표기. ‘-거-’는 타동사에서는 ‘-어/아-’로 교체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여기서는 예외를 보임. ‘긏-’이 능격동사여서 이런 혼란이 생긴 것이 아닌가 생각되기도 한다.
주007)
갌:칼의. 갈ㅎ[劍]+ㅅ(관형격조사).
주008)
해:ㅎ[刃]+애.
주009)
솃:서 있는. ‘셔-[立]+-어 잇-[有]+--+-ㄴ’.
주010)
막야(鏌鎁):고대 오나라 사람 막야가 만든 명검의 이름.
주011)
빗기:비스듬히. 비뚜로. ‘-[斜]+-이(부사파생접사)’.
주012)
정령(正令):바른 명령.
주013)
오와:온전하게 하여(받들어). ‘올와’(능7:23)형도 있음.
주014)
어리미혹닐:어리석고 미혹한 사람을. 어리-[愚]+미혹(迷惑)-+-ㄴ(관형사형)+-ㄹ(목적격조사).
주015)
불평(不平):못마땅하게 여기거나, 그것을 말이나 행동으로 나타낸.
주016)
하 뷔며  :문법적 성격이 달라 접속할 수 없는 것을 접속함.
주017)
시지(始智):모든 사리(事理)의 시비(是非), 사정(邪正)을 분별하여 결단하는 심(心) 작용.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