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남명집언해 제2

  • 역주 남명집언해
  • 남명집언해 하
  • 제194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194


黙時說은 暗中明이니 明暗忘來옌 若砥平니라 不

남명집언해 하:18ㄱ

二法門 終演處ㅣ여 毗耶城內예 似雷聲도다
Ⓒ 구결 | 학조 / 1482년 월 일

 주001)
:
[黙](의태부사)+-+ㄴ.
주002)
:
‘’를 ‘’로도 적음. ‘’는 ‘[時]+의(특수처소부사격조사)’. ‘’([時])는 늘 조사와 결합한 형태 ‘, , , 로’ 등으로 나타남.
닐오 어드운 中에 고미니 곰과 어드움과 니저 오맨 주003)
니저 오맨:
‘지금까지 잊어 옴에 있어서는’의 의미로 해석됨.
돌 주004)
돌:
숫돌[砥]. -[撫. 摩]+돌ㅎ. 비통사적 합성명사. ‘다’는 현대국어 ‘스치다’의 소급형이다.
平홈 니라 둘 아닌 法門 내애 주005)
내애:
내(乃終. 명사)+애(부사격조사).
펴신 고디여 주006)
고디여:
곧+이여(호격조사). ‘-이여’는 주어를 갖지 않으므로 서술격조사의 활용형이 아님.
毗耶城 주007)
비야성(毗耶城):
‘비야’는 유마거사가 거처하던 곳. 일반적인 선원(禪院)의 방장(方丈)을 가리키기도 함.
안해 울엣 주008)
울엣:
울-[鳴]+게/에(명사파생접미사)+ㅅ.
소리 도다
【주】 둘짯 句 곰과 어드움괘 둘 아닌 젼로 돌 平홈 니라 三四 句 維摩ㅣ 黙然 고디 주009)
고디:
것이. 곧+이. ‘곧’은 장소를 의미하는 의존명사로도 쓰이고, 사물이나 개념을 지시하는 의존명사로도 쓰인다.
이비 비록 말 아니나 그 소리 울에  시니 주010)
시니:
(의존명사)+ㅣ+니.
주011)
이:
이+∅(주격조사).
  닐오민 주012)
닐오민:
니르/니/닐ㅇ-[說]+오+ㅁ+이(서술격조사 어간)+ㄴ. 문맥상 ‘닐온, 닐오’ 등이 더 적절한 표현일 것으로 보임.
디라
Ⓒ 언해 | 학조 / 1482년 월 일

잠잠한 때에 설함은 어두운 가운데에 밝음이니, 밝음과 어두움을 잊어 옴에 있어서는 숫돌이 평평함 같으니라. 둘 아닌 법문을 끝내 펼치신 곳이여, 비야성 안에 우레 소리 같도다.
【주】 둘째 구는 밝음과 어두움이 둘이 아닌 까닭으로 숫돌이 평평함 같으니라. 3, 4구는 유마거사가 말이 없는 것이 입이 비록 말 아니하나 그 소리는 우레 같은 것이니, 이것이 잠잠한 때에 설함인 뜻이다.
Ⓒ 역자 | 이유기 / 2002년 9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黙](의태부사)+-+ㄴ.
주002)
:‘’를 ‘’로도 적음. ‘’는 ‘[時]+의(특수처소부사격조사)’. ‘’([時])는 늘 조사와 결합한 형태 ‘, , , 로’ 등으로 나타남.
주003)
니저 오맨:‘지금까지 잊어 옴에 있어서는’의 의미로 해석됨.
주004)
돌:숫돌[砥]. -[撫. 摩]+돌ㅎ. 비통사적 합성명사. ‘다’는 현대국어 ‘스치다’의 소급형이다.
주005)
내애:내(乃終. 명사)+애(부사격조사).
주006)
고디여:곧+이여(호격조사). ‘-이여’는 주어를 갖지 않으므로 서술격조사의 활용형이 아님.
주007)
비야성(毗耶城):‘비야’는 유마거사가 거처하던 곳. 일반적인 선원(禪院)의 방장(方丈)을 가리키기도 함.
주008)
울엣:울-[鳴]+게/에(명사파생접미사)+ㅅ.
주009)
고디:것이. 곧+이. ‘곧’은 장소를 의미하는 의존명사로도 쓰이고, 사물이나 개념을 지시하는 의존명사로도 쓰인다.
주010)
시니:(의존명사)+ㅣ+니.
주011)
이:이+∅(주격조사).
주012)
닐오민:니르/니/닐ㅇ-[說]+오+ㅁ+이(서술격조사 어간)+ㄴ. 문맥상 ‘닐온, 닐오’ 등이 더 적절한 표현일 것으로 보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