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남명집언해 제2

  • 역주 남명집언해
  • 남명집언해 하
  • 제311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311


日可冷이어니와 眞金 豈解重爲鑛이리오 魔工이 煽{備韋} 不能施야 萬古애 徒勞心耿耿니라
Ⓒ 구결 | 학조 / 1482년 월 일

 어루 주001)
어루:
가히. 능히.
게 홀 디어니와 주002)
디어니와:
것이거니와. (명사)+ㅣ(서술격조사)+거/어+니와.
眞金 주003)
진금(眞金):
순금.
 엇뎨 能히 다시 鑛 주004)
광(鑛):
금과 돌이 섞여 있는 천연 무기물.
이 외리오 魔工 주005)
마공(魔工):
주해문에 거듭 쓰인 점으로 보면 ‘磨工’의 오기가 아닌 듯. 마술사 같은 솜씨를 가진 대장장이라는 뜻으로 이해됨. 야공(冶工).
붊글 주006)
붊글:
풀무를. 휴지나 조사 ‘와’, 자음 조사 앞에서는 ‘불무’, 모음 조사 앞에서는‘붊ㄱ’이 선택됨.
能히 펴디 주007)
펴디:
펴지. 베풀어 행하지.
몯야 萬古애 갓 잇비 주008)
잇비:
수고롭게. 잋-+브(형용사파생접미사)+이(부사파생접미사). 8종성표기.
미 니라 주009)
니라:
원문 ‘경경(耿耿)’에 대한 번역. 잊히지 않고 늘 걱정이 되는 것이다.
【鑛 金과 돌콰 섯글 주010)
섯글:
섞일. -[混]+을.
시라】
【주】

남명집언해 하:72ㄱ

둘짯 句  주011)
적:
번. 때.
眞金 體 외면 주012)
외면:
- 〉 외-.
다시 鑛이 외디 아니 시라 三四 句 魔工이 眞金 노교 爲야 그 미  시니 眞說 주013)
진설(眞說):
참다운 설법.
이 眞金 야 魔外 주014)
마외(魔外):
밖의 마귀가.
能히 허롤 주015)
허롤:
헐. 헐어낼. 헐-+오/우+ㄹ. ‘-오/우-’는 ‘바’가 의미상 목적어이기 때문에 쓰인 것. 대상활용.
배 아닐 시라
Ⓒ 언해 | 학조 / 1482년 월 일

해는 가히 차갑게 할 수 있거니와 진금(眞金)은 어찌 능히 다시 광물이 되겠는가? 마공(魔工)이 풀무를 능히 펴지 못하여 만고에 한갓 고단하게 마음이 늘 걱정이 되는 것이라.【광(鑛)은 금과 돌이 섞여 있는 것이라.】
【주】 둘째 구는 한 번 순금의 체(體)가 되면 다시는 광(鑛)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3, 4 구는 마공(魔工)이 순금을 녹이기 위하여 그 마음이 말똥말똥하다는 것이니 참다운 설법은 순금과 같아서 밖의 마귀들이 능히 헐어낼 바가 아닌 것이다.
Ⓒ 역자 | 이유기 / 2002년 9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어루:가히. 능히.
주002)
디어니와:것이거니와. (명사)+ㅣ(서술격조사)+거/어+니와.
주003)
진금(眞金):순금.
주004)
광(鑛):금과 돌이 섞여 있는 천연 무기물.
주005)
마공(魔工):주해문에 거듭 쓰인 점으로 보면 ‘磨工’의 오기가 아닌 듯. 마술사 같은 솜씨를 가진 대장장이라는 뜻으로 이해됨. 야공(冶工).
주006)
붊글:풀무를. 휴지나 조사 ‘와’, 자음 조사 앞에서는 ‘불무’, 모음 조사 앞에서는‘붊ㄱ’이 선택됨.
주007)
펴디:펴지. 베풀어 행하지.
주008)
잇비:수고롭게. 잋-+브(형용사파생접미사)+이(부사파생접미사). 8종성표기.
주009)
니라:원문 ‘경경(耿耿)’에 대한 번역. 잊히지 않고 늘 걱정이 되는 것이다.
주010)
섯글:섞일. -[混]+을.
주011)
적:번. 때.
주012)
외면:- 〉 외-.
주013)
진설(眞說):참다운 설법.
주014)
마외(魔外):밖의 마귀가.
주015)
허롤:헐. 헐어낼. 헐-+오/우+ㄹ. ‘-오/우-’는 ‘바’가 의미상 목적어이기 때문에 쓰인 것. 대상활용.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