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남명집언해 제2

  • 역주 남명집언해
  • 남명집언해 하
  • 제164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164


般若鋒兮오 金剛燄이니 堅猛야 能燒亂相林놋다 一掃애 更無毫髮許야도 傍人 猶笑老婆心다
Ⓒ 구결 | 학조 / 1482년 월 일

般若 주001)
반야(般若):
최상의 지혜.
히오 주002)
히오:
ㅎ[刃]+이+고. ‘-오’는 ‘-고’의 /ㄱ/이 약화하여 유성성문마찰음 [ɦ]으로 변화한 것.
金剛 주003)
금강(金剛):
굳고 단단한 것을 비유함.
븘나오리니 주004)
븘나오리니:
블+ㅅ+나올+이+니. ‘나올’은 그 형상으로 보아 ‘가치노을(白頭波)’의 ‘노을’과 상통하는 것으로 보인다.
굳고 와 주005)
와:
〉와. 공시적으로는 ‘오+아’. ‘오-’는 ‘-’의 이형태.
亂相 주006)
난상(亂相):
번뇌.
수프를 주007)
수프를:
수플+을.
能히 놋다 주008)
놋다:
-[燒]++옷(감탄 선어말어미)+다. /ㄴ/ 앞에서 /ㄹ/ 탈락. ‘-놋다’는 비화자 주어문에 쓰인다. 그러므로 ‘-오-’를 분석하기가 어렵다.
주009)
적:
때. 번.

남명집언해 하:4ㄱ

로매 주010)
로매:
-[掃]+오+ㅁ+애.
외야 주011)
외야:
다시. 동사 ‘외다(=[반복되다])’의 활용형에서 영파생된 것.
머리터럭 마도 업서도 겨틧 사 오히려 늘근 할 주012)
할:
할미+→할. /ㅣ/로 끝나는 체언에 관형격조사 ‘-/의’가 통합하면 체언 말음 /ㅣ/는 탈락. 아비+→아. 어미+의→어믜.
 웃다
【주】 네짯 句 臨濟 주013)
임제(臨濟):
임제종. 선종 5가(家)의 하나.
주014)
할(喝):
선승이 수행자를 지도할 때에 큰 소리로 꾸짖는 소리.
德山 주015)
덕산(德山):
중국 스님. 율장을 깊이 연구함.
주016)
봉(棒):
선승이 수행자를 지도할 때에 막대기로 때리는 것.
도 第一等  주017)
:
+(부사격조사).
그며 주018)
그며:
그-[引]+며. ‘그-’는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어’ 앞에서 ‘-’으로 교체되는데, 이 때에는 분철되어 ‘어’로 적힌다.
므를 다 주019)
다:
두르다[帶]. 명사 ‘’에서 영파생에 의해 형성된 동사.
혼 디라
Ⓒ 언해 | 학조 / 1482년 월 일

반야의 칼날이고 금강의 불꽃이니, 굳고 강하여 난상(亂相)의 수풀을 능히 불사르는구나. 한 번 쓺에 다시 머리털 만큼도 없어도 곁에 있는 사람은 오히려 늙은 할미의 마음을 웃는구나.
【주】 넷째 구는 임제의 할과 덕산의 봉도 제1등 흙에 끌며 물을 두르다 한 뜻이다.
Ⓒ 역자 | 이유기 / 2002년 9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반야(般若):최상의 지혜.
주002)
히오:ㅎ[刃]+이+고. ‘-오’는 ‘-고’의 /ㄱ/이 약화하여 유성성문마찰음 [ɦ]으로 변화한 것.
주003)
금강(金剛):굳고 단단한 것을 비유함.
주004)
븘나오리니:블+ㅅ+나올+이+니. ‘나올’은 그 형상으로 보아 ‘가치노을(白頭波)’의 ‘노을’과 상통하는 것으로 보인다.
주005)
와:〉와. 공시적으로는 ‘오+아’. ‘오-’는 ‘-’의 이형태.
주006)
난상(亂相):번뇌.
주007)
수프를:수플+을.
주008)
놋다:-[燒]++옷(감탄 선어말어미)+다. /ㄴ/ 앞에서 /ㄹ/ 탈락. ‘-놋다’는 비화자 주어문에 쓰인다. 그러므로 ‘-오-’를 분석하기가 어렵다.
주009)
적:때. 번.
주010)
로매:-[掃]+오+ㅁ+애.
주011)
외야:다시. 동사 ‘외다(=[반복되다])’의 활용형에서 영파생된 것.
주012)
할:할미+→할. /ㅣ/로 끝나는 체언에 관형격조사 ‘-/의’가 통합하면 체언 말음 /ㅣ/는 탈락. 아비+→아. 어미+의→어믜.
주013)
임제(臨濟):임제종. 선종 5가(家)의 하나.
주014)
할(喝):선승이 수행자를 지도할 때에 큰 소리로 꾸짖는 소리.
주015)
덕산(德山):중국 스님. 율장을 깊이 연구함.
주016)
봉(棒):선승이 수행자를 지도할 때에 막대기로 때리는 것.
주017)
:+(부사격조사).
주018)
그며:그-[引]+며. ‘그-’는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어’ 앞에서 ‘-’으로 교체되는데, 이 때에는 분철되어 ‘어’로 적힌다.
주019)
다:두르다[帶]. 명사 ‘’에서 영파생에 의해 형성된 동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