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남명집언해 제2

  • 역주 남명집언해
  • 남명집언해 하
  • 제277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277


病遇醫王 爭得瘥ㅣ리오 頓除藥病야도 未忘筌이니라 何如塗毒一聲鼓애 臥聽行聞이 盡悄然이리

남명집언해 하:54ㄱ

Ⓒ 구결 | 학조 / 1482년 월 일

病니 주001)
병(病)니:
병을 하는(앓는) 사람이. -+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주격조사). ‘-’의 분포가 현대국어에 비하여 넓다.
醫王 주002)
의왕(醫王):
뛰어난 명의(名醫). 불·보살을 의미한다. 불·보살이 중생의 번뇌를 치료하여 깨달음에 이르게 하는 것이 병을 치료하는 것과 같다고 본 것.
맛난 주003)
맛난:
맞나-[逢]+ㄴ. 8종성표기법.
엇뎨 됴호 주004)
됴호:
(병이) 나음을. 치유됨을. 둏-[癒]+오/우+ㅁ+. ‘둏-’은 형용사로서 [好]를 뜻하기도 하고 자동사로서 [治癒]를 뜻하기도 한다.
得리오 주005)
됴호 득(得)리오:
번역문의 문체임.
藥과 病과 모로기 주006)
모로기:
문득. 갑자기. ‘-이’가 접미사인 것은 거의 분명하나, ‘모록’이 확인되지 않는다.
더러도 주007)
더러도:
덜-[除]+어도.
주008)
전(筌):
통발. 물고기를 잡는 기구. 의미가 일반화되어 ‘수단. 방편’이란 의미로 쓰인 것이다. 물고기를 잡고 나면 통발을 버려야 한다는 불가의 비유가 있다.
닛디 주009)
닛디:
닞-[忘]+디. 8종성표기법.
몯니라 毒  주010)
:
-[塗]+ㄴ.
 소릿 뷔페 주011)
 소릿 부페:
한 소리나는 북에. ‘부페’는 ‘붚[鼓]+에(부사격조사)’.
주012)
독(毒)  ~붚:
독을 바른 북. 이 북의 소리를 들은 사람은 다 죽는다고 함. 천태종에서는 이 독고(毒鼓)로써 사악(邪惡)을 깨뜨리는 것을 비유함.
누워셔 주013)
누워셔:
눕/누우-[臥]+어셔. ‘-어셔’는 ‘어(연결어미)+이시/시-[有]+어(연결어미)’가 문법화한 것.
드르며 니며 드르니 다 호미 주014)
호미:
(정신이) 또랑또랑함이. ‘-’는 한문 원문의 [醒. 悟. 惺]에 대응됨.
엇뎨 리오
【주】 藥과 病과 모로기 더다 주015)
더다:
덜-[除]+다. 어미의 /ㄷ/ 앞에서 /ㄹ/ 탈락.
호 藥로 病 더론 주016)
더론:
덜-[除]+오/우+ㄴ.
고디 주017)
고디:
것이. ‘곧’은 장소를 의미하는 의존명사로도 쓰이고, 사물이나 개념을 지시하는 의존명사로도 쓰인다.
덜오 주018)
덜오:
‘덜고’에서 /ㄱ/이 약화한 것.
藥 니 시니 藥과 病괘 다 업슬 모로기 더다 시니라 筌 닛디 몯다 호 藥과 病과 서르 다리 주019)
약(藥)과 병(病)과 서르 다리:
‘병(病)과’ 다음에 주격조사가 빠진 것으로 생각된다.
門이 그추믈 주020)
그추믈:
끊어짐을. 긏-[斷]+오/우+ㅁ+을.
得디 주021)
득(得)디:
득(得)+-+디. ‘’ 탈락.
몯 시니 藥과 病과 모로기 더로 大地 주022)
대지(大地):
견도(見道) 이상의 보살이 수행하는 지위를 10지(地)로 나누고, 그 중에서 높은 지위를 대지라 함. /ㅣ/로 끝난 체언 뒤에서 주격조사가 외현되지 않음.
다 이 藥 혼 주023)
혼:
(부사)+-+오/우+ㄴ.
디라 어늬 주024)
어늬:
어느(의문대명사)+ㅣ(주격조사). ‘어느’는 대명사, 부사, 관형사로 두루 쓰임.
주025)
이:
이+∅(주격조사).
病이리오 病 밧긔 주026)
밧긔:
[外]+의(특수처소부사격조사).
藥 업스며 藥 밧긔 病 업스니 이 야도 주027)
야도:
+-+어/아/야(연결어미)+도(보조사). ‘-야’는 ‘-’ 뒤에서 쓰이는 형태론적 이형태.
오히려 筌 닛디 몯 시라 毒   소릿 부피 주028)
부피:
붚[鼓]+이(비교부사격조사). 이 ‘-이’를 주격조사로 보고, 이중주어문으로 기술할 수도 있다.
라 호 내 敎ㅅ 디 毒  부피 야  소리 툐매 주029)
툐매:
티-[打]+오/우+ㅁ+애(원인부사격조사).
먼  갓가온 주030)
갓가온:
갓갑/갓가오-[近]+ㄴ. 통시적으로는 ‘갓가〉갓가온’.
주031)
:
데에서. 음절부음 [j]로 끝나는 체언 중 시간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말 뒤에는 부사격조사 ‘-예’가 나타나지 않는다.
드르니 주032)
드르니:
듣/들-[廳]+은+이(의존명사)+∅(주격조사).
다 죽니 塗毒 주033)
도독(塗毒):
독을 바름.
 이 理毒 주034)
이독(理毒):
독을 다스림.
이니 凡情 주035)
범정(凡情):
보통 사람의 심정.

남명집언해 하:54ㄴ

聖解 주036)
성해(聖解):
성스러운 깨달음.
븓디 주037)
븓디:
븥-+디. 의거하지. 가까이하지.
몯 시라 누워셔 드르닌 주038)
드르닌:
듣/들-[聽]+은+이(의존명사)+ㄴ(보조사).
몰라 情에 잇니오 주039)
잇니오:
있는 사람이고. 잇-[有]++ㄴ+이(의존명사)+∅(서술격조사)+고/오. /ㄱ/ 약화.
니며 듣닌 오날 修行야 나가 주040)
나가:
-[進]+아+가-[行]++ㄴ. 통사적 합성어.
사미라
Ⓒ 언해 | 학조 / 1482년 월 일

병을 하는(앓는) 사람이 의왕(醫王)을 만난들 어찌 (병이) 나음을 얻으리오? 약과 병을 문득 없애어도 통발을 잊지 못하느니라. 독을 바른 한 소리나는 북에, 누워서 듣고 다니면서 들으니, 다 또랑또랑함이 어찌 같으리오?
【주】 약과 병을 문득 덜다 함은 약으로 병을 던 것이 병 덜고 약을 잊는 것이니, 약과 병이 다 없으므로 문득 덜었다 하시니라. 통발(筌)을 잊지 못하다 함은 약과 병과(병이) 서로 다스리는 문(門)이 끊어짐을 얻지 못한 것이니, 약과 병을 문득 덞은 대지(大地)가 다 이것이 약 같은지라, 어느 것이 이것이 병이리오? 병 밖에 약이 없고 약 밖에 병이 없으니, 이 같아도 오히려 통발을 잊지 못할 것이다. 독을 바른 한 소리나는 북이라 함은 나의 교(敎)의 뜻이 독을 바른 북과 같아서 한 소리를 침에 먼 데 가까운 데에서 들은 사람이 다 죽나니, 도독(塗毒)은 이것이 이독(理毒)이니, 범정(凡情)과 성해(聖解)가 붙지 못하는 것이다. 누워서 들은 사람은 몰라서 정(情)에 있는 사람이고 다니며 듣는 사람은 오늘날 수행하여 나아가는 사람이다.
Ⓒ 역자 | 이유기 / 2002년 9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병(病)니:병을 하는(앓는) 사람이. -+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주격조사). ‘-’의 분포가 현대국어에 비하여 넓다.
주002)
의왕(醫王):뛰어난 명의(名醫). 불·보살을 의미한다. 불·보살이 중생의 번뇌를 치료하여 깨달음에 이르게 하는 것이 병을 치료하는 것과 같다고 본 것.
주003)
맛난:맞나-[逢]+ㄴ. 8종성표기법.
주004)
됴호:(병이) 나음을. 치유됨을. 둏-[癒]+오/우+ㅁ+. ‘둏-’은 형용사로서 [好]를 뜻하기도 하고 자동사로서 [治癒]를 뜻하기도 한다.
주005)
됴호 득(得)리오:번역문의 문체임.
주006)
모로기:문득. 갑자기. ‘-이’가 접미사인 것은 거의 분명하나, ‘모록’이 확인되지 않는다.
주007)
더러도:덜-[除]+어도.
주008)
전(筌):통발. 물고기를 잡는 기구. 의미가 일반화되어 ‘수단. 방편’이란 의미로 쓰인 것이다. 물고기를 잡고 나면 통발을 버려야 한다는 불가의 비유가 있다.
주009)
닛디:닞-[忘]+디. 8종성표기법.
주010)
:-[塗]+ㄴ.
주011)
 소릿 부페:한 소리나는 북에. ‘부페’는 ‘붚[鼓]+에(부사격조사)’.
주012)
독(毒)  ~붚:독을 바른 북. 이 북의 소리를 들은 사람은 다 죽는다고 함. 천태종에서는 이 독고(毒鼓)로써 사악(邪惡)을 깨뜨리는 것을 비유함.
주013)
누워셔:눕/누우-[臥]+어셔. ‘-어셔’는 ‘어(연결어미)+이시/시-[有]+어(연결어미)’가 문법화한 것.
주014)
호미:(정신이) 또랑또랑함이. ‘-’는 한문 원문의 [醒. 悟. 惺]에 대응됨.
주015)
더다:덜-[除]+다. 어미의 /ㄷ/ 앞에서 /ㄹ/ 탈락.
주016)
더론:덜-[除]+오/우+ㄴ.
주017)
고디:것이. ‘곧’은 장소를 의미하는 의존명사로도 쓰이고, 사물이나 개념을 지시하는 의존명사로도 쓰인다.
주018)
덜오:‘덜고’에서 /ㄱ/이 약화한 것.
주019)
약(藥)과 병(病)과 서르 다리:‘병(病)과’ 다음에 주격조사가 빠진 것으로 생각된다.
주020)
그추믈:끊어짐을. 긏-[斷]+오/우+ㅁ+을.
주021)
득(得)디:득(得)+-+디. ‘’ 탈락.
주022)
대지(大地):견도(見道) 이상의 보살이 수행하는 지위를 10지(地)로 나누고, 그 중에서 높은 지위를 대지라 함. /ㅣ/로 끝난 체언 뒤에서 주격조사가 외현되지 않음.
주023)
혼:(부사)+-+오/우+ㄴ.
주024)
어늬:어느(의문대명사)+ㅣ(주격조사). ‘어느’는 대명사, 부사, 관형사로 두루 쓰임.
주025)
이:이+∅(주격조사).
주026)
밧긔:[外]+의(특수처소부사격조사).
주027)
야도:+-+어/아/야(연결어미)+도(보조사). ‘-야’는 ‘-’ 뒤에서 쓰이는 형태론적 이형태.
주028)
부피:붚[鼓]+이(비교부사격조사). 이 ‘-이’를 주격조사로 보고, 이중주어문으로 기술할 수도 있다.
주029)
툐매:티-[打]+오/우+ㅁ+애(원인부사격조사).
주030)
갓가온:갓갑/갓가오-[近]+ㄴ. 통시적으로는 ‘갓가〉갓가온’.
주031)
:데에서. 음절부음 [j]로 끝나는 체언 중 시간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말 뒤에는 부사격조사 ‘-예’가 나타나지 않는다.
주032)
드르니:듣/들-[廳]+은+이(의존명사)+∅(주격조사).
주033)
도독(塗毒):독을 바름.
주034)
이독(理毒):독을 다스림.
주035)
범정(凡情):보통 사람의 심정.
주036)
성해(聖解):성스러운 깨달음.
주037)
븓디:븥-+디. 의거하지. 가까이하지.
주038)
드르닌:듣/들-[聽]+은+이(의존명사)+ㄴ(보조사).
주039)
잇니오:있는 사람이고. 잇-[有]++ㄴ+이(의존명사)+∅(서술격조사)+고/오. /ㄱ/ 약화.
주040)
나가:-[進]+아+가-[行]++ㄴ. 통사적 합성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