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남명집언해 제2

  • 역주 남명집언해
  • 남명집언해 하
  • 제172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172


雪山肥膩更無雜니 時兩時風에 不露根니라 莫謂緜緜無一事라 曾傳消息야 到王孫니라
Ⓒ 구결 | 학조 / 1482년 월 일

雪山 주001)
설산(雪山):
히말라야 산. 산꼭대기에 언제나 눈이 덮여 있어 이렇게 부름.
肥膩 주002)
비이(肥膩):
히말라야 산에 나는 풀. 소가 이것을 먹으면 우유를 내는데, 이것으로써 중생이 불성을 깨닫는 것을 비유함.
 외야 섯근 주003)
섯근:
섞인. -[雜]+은. ‘-’은 자동사와 타동사로 통용되는 능격동사.
것 업스니 時節 주004)
시절(時節):
계절.
ㅅ 비와 時節ㅅ 매 불휘 낟디 주005)
낟디:
낱-[露. 現]+디. ‘낱→낟-’은 8종성표기법.
아니니라 니취여 주006)
니취여:
니취-[綿綿]+어.
 일도 업다 니디 말라 일즉 消息을 傳야 王孫게 니르니라 주007)
니르니라:
니르-[到]+니+라. 중세국어에서는 ‘니를-’과 ‘니르-’가 다 쓰였다. 그런데 ‘니를-’에 ‘-으니라’가 붙으면 ‘니르르니라’가 되므로 여기서는 ‘니르-’가 쓰인 것으로 보기로 한다.

남명집언해 하:7ㄴ

肥膩 픐 일후미니 雪山ㅅ 주008)
:
-[白]+ㄴ.
주009)
:
쇼[牛]+ㅣ.
肥膩草 머그면 醍醐 주010)
제호(醍醐):
우유를 정제하여 만든 음식. 매우 맛있다 함. 불성을 비유하여 제호라 함.
 내니라 醍醐 쇼 브터 주011)
쇼 브터:
쇼++븥-[附]+어. ‘- 브터’는 관용화하여 어떤 동작이나 사건의 출발점을 표시함. 현대국어 ‘-로부터’도 이와 같다.
졋 나고 져즐 브터 酪 주012)
락(酪):
일종의 야쿠르트.
나고 酪 브터 生酥 주013)
생수(生酥):
정제된 우유의 일종.
나고 生酥 브터 熟酥 주014)
숙수(熟酥):
정제된 우유의 일종.
나고 熟酥 브터 醍醐ㅣ 나니라】
【주】 肥膩 一乘法 주015)
일승법(一乘法):
부처의 교법.
가비시니 주016)
가비시니:
현대국어의 통사 구조로는 ‘가비신 거시니’로 쓰여야 할 것인데, 중세국어에는 이런 표현이 많다.
비와 매 불휘 주017)
불휘:
불휘[根]+∅(주격조사).
낟디 아니타 주018)
아니타:
아니+-+다. ‘’의 모음 //는 유성음과 무성자음 사이에서 탈락.
호 佛祖 주019)
불조(佛祖):
부처님과 역대의 조사.
쳐 주020)
쳐:
치-[指]+어. 중세국어의 ‘치-’는 [指]와 [敎] 두 가지 의미를 지녔음.
뵈시논 주021)
뵈시논:
보-+이(사동접미사)+시++오/우+ㄴ.
方便에 디디 주022)
디디:
디-[落]디(보조적연결어미). 이 ‘-디’는 현대국어 보조적 연결어미 ‘-지’로 변화하였다. 그러나 현대국어의 이른바 반말체 종결어미 ‘-지’ 또는 종속적 연결어미 ‘-지’는 ‘-디’에서 변화한 것이다. ‘-디’는 일부 방언에서는 ‘-지비’로 변화하였다.
아니 시라 王孫 王孫草ㅣ니 肥膩草ㅅ 불휘 낟디 아니다 니디 말라 王孫草ㅣ 곧고대 주023)
곧고대:
곧[處]+곧[處]+애.
옷곳니 주024)
옷곳니:
어간으로 ‘옷곳-’와 ‘옷곳-’이 다 쓰임.
이 大用 주025)
대용:
큰 작용. 위대한 역량.
 니시니라  王孫 釋尊과 達磨와 치니 둘히 다 王孫이시니라
Ⓒ 언해 | 학조 / 1482년 월 일

설산에 있는 비이는 다시 섞인 것이 없으니, 계절의 비와 계절의 바람에 뿌리가 나타나지 아니하느니라. 잇따라서 한 가지 일도 없다고 말하지 말라. 일찍 소식을 전하여 왕손에게 도달하였다.【비이는 풀 이름이니, 설산의 흰 소가 비이초를 먹으면 제호를 내느니라. 제호는 소에게서 젖이 나고 젖으로부터 락이 나고 락으로부터 생수가 나고 생수로부터 숙수가 나고 숙수로부터 제호가 나느니라.】
【주】 비이는 일승법을 비유하시니, 비와 바람에 뿌리가 나타나지 아니하였다 함은 불조(佛祖)께서 가리켜 보이시는 방편에 떨어지지(전락하지) 아니하는 것이다. 왕손은 왕손초이니, 비이초의 뿌리가 나타나지 아니한다고 말하지 말라. 왕손초가 곳곳에 향기로우니, 이는 대용을 말씀하신 것이다. 또 왕손은 석가모니 부처와 달마대사를 가리키니, 두 분이 다 왕손이시니라.
Ⓒ 역자 | 이유기 / 2002년 9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설산(雪山):히말라야 산. 산꼭대기에 언제나 눈이 덮여 있어 이렇게 부름.
주002)
비이(肥膩):히말라야 산에 나는 풀. 소가 이것을 먹으면 우유를 내는데, 이것으로써 중생이 불성을 깨닫는 것을 비유함.
주003)
섯근:섞인. -[雜]+은. ‘-’은 자동사와 타동사로 통용되는 능격동사.
주004)
시절(時節):계절.
주005)
낟디:낱-[露. 現]+디. ‘낱→낟-’은 8종성표기법.
주006)
니취여:니취-[綿綿]+어.
주007)
니르니라:니르-[到]+니+라. 중세국어에서는 ‘니를-’과 ‘니르-’가 다 쓰였다. 그런데 ‘니를-’에 ‘-으니라’가 붙으면 ‘니르르니라’가 되므로 여기서는 ‘니르-’가 쓰인 것으로 보기로 한다.
주008)
:-[白]+ㄴ.
주009)
:쇼[牛]+ㅣ.
주010)
제호(醍醐):우유를 정제하여 만든 음식. 매우 맛있다 함. 불성을 비유하여 제호라 함.
주011)
쇼 브터:쇼++븥-[附]+어. ‘- 브터’는 관용화하여 어떤 동작이나 사건의 출발점을 표시함. 현대국어 ‘-로부터’도 이와 같다.
주012)
락(酪):일종의 야쿠르트.
주013)
생수(生酥):정제된 우유의 일종.
주014)
숙수(熟酥):정제된 우유의 일종.
주015)
일승법(一乘法):부처의 교법.
주016)
가비시니:현대국어의 통사 구조로는 ‘가비신 거시니’로 쓰여야 할 것인데, 중세국어에는 이런 표현이 많다.
주017)
불휘:불휘[根]+∅(주격조사).
주018)
아니타:아니+-+다. ‘’의 모음 //는 유성음과 무성자음 사이에서 탈락.
주019)
불조(佛祖):부처님과 역대의 조사.
주020)
쳐:치-[指]+어. 중세국어의 ‘치-’는 [指]와 [敎] 두 가지 의미를 지녔음.
주021)
뵈시논:보-+이(사동접미사)+시++오/우+ㄴ.
주022)
디디:디-[落]디(보조적연결어미). 이 ‘-디’는 현대국어 보조적 연결어미 ‘-지’로 변화하였다. 그러나 현대국어의 이른바 반말체 종결어미 ‘-지’ 또는 종속적 연결어미 ‘-지’는 ‘-디’에서 변화한 것이다. ‘-디’는 일부 방언에서는 ‘-지비’로 변화하였다.
주023)
곧고대:곧[處]+곧[處]+애.
주024)
옷곳니:어간으로 ‘옷곳-’와 ‘옷곳-’이 다 쓰임.
주025)
대용:큰 작용. 위대한 역량.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