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남명집언해 제2

  • 역주 남명집언해
  • 남명집언해 하
  • 제180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180


一地예 具足一切地니 行位ㅣ 差別이나 只此身이니라 歷盡僧祗三大劫니 今年이 還似去年貧도다
Ⓒ 구결 | 학조 / 1482년 월 일

남명집언해 하:11ㄴ

一地 주001)
일지(一地):
동일한 경지. 중생의 불성을 땅에 비유한 것.
一切地 주002)
일체지(一切地):
모든 불성.
니 주003)
니:
품사는 자동사. -[具]+니.
行位 주004)
행위(行位):
수행의 위치‧단계.
다나 오직 이 모미니라 僧祇 주005)
승기(僧祇):
아승기. 인도의 큰 수(數). 수로 표시할 수 없는 큰 수.
大劫 주006)
대겁(大劫):
우주가 성(成), 주(住), 괴(壞), 공(空)을 한 번 지내는 기간.
 디내야 다니 올히 주007)
올히:
올ㅎ[今年]+이.
니건 주008)
니건:
니-[去]+거(과거시제 표지)+ㄴ.
가난 주009)
가난:
간난(艱難)〉가난(동음생략).
도혀 주010)
도혀:
동사의 활용형이 파생부사로 굳어진 것. 원래의 구조는 ‘돌-[回]+(사동접미사)+(강세접미사)+어(어미)’. ‘-어’는 외현되지 않음. 각자병서의 폐지 이후에는 ‘’가 ‘혀’로 적힘.
도다【僧祇 초 주011)
초:
-[具]+호(부사파생접미사).
닐올뎬 주012)
닐올뎬:
니/닐ㅇ-[說]+올뎬. ‘-올뎬’은 [가정]을 나타냄.
阿僧祇니 예셔 주013)
예셔:
이[此方]+에셔. ‘이’는 여기서는 송(宋)나라를 가리킴.
닐오맨 주014)
닐오맨:
니/닐ㅇ-[謂]+오+ㅁ+애+ㄴ(보조사).
그지 주015)
그지:
그지[限度]+∅(주격조사).
업슨 數ㅣ니 그지 업슨 數 세히 이 세 大劫이니라】
【주】 첫 句 圓敎 주016)
원교(圓敎):
원만한 교법.
앳 行位라 二三四 句 닷고 주017)
닷고되:
-[修]+오+.
닷곰 주018)
닷곰:
-[修]+오+ㅁ.
업스며 아로 아론 바 업슬 시라
Ⓒ 언해 | 학조 / 1482년 월 일

일지에 일체지가 갖추어지니 행위가 다르나 오직 이 몸이니라. 승기 세 대겁을 지내어 다하니, 올해가 지난 해의 가난과 도리어 같도다.【승기는 갖추어 말한다면 아승기니, 여기(송나라)에서 말하기로는 끝없는 수이니, 끝없는 수 셋이 세 대겁이니라.】
【주】 첫 구는 원교의 행위이다. 2, 3, 4구는 닦되 닦음 없으며 알되 아는 바 없는 것이다.
Ⓒ 역자 | 이유기 / 2002년 9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일지(一地):동일한 경지. 중생의 불성을 땅에 비유한 것.
주002)
일체지(一切地):모든 불성.
주003)
니:품사는 자동사. -[具]+니.
주004)
행위(行位):수행의 위치‧단계.
주005)
승기(僧祇):아승기. 인도의 큰 수(數). 수로 표시할 수 없는 큰 수.
주006)
대겁(大劫):우주가 성(成), 주(住), 괴(壞), 공(空)을 한 번 지내는 기간.
주007)
올히:올ㅎ[今年]+이.
주008)
니건:니-[去]+거(과거시제 표지)+ㄴ.
주009)
가난:간난(艱難)〉가난(동음생략).
주010)
도혀:동사의 활용형이 파생부사로 굳어진 것. 원래의 구조는 ‘돌-[回]+(사동접미사)+(강세접미사)+어(어미)’. ‘-어’는 외현되지 않음. 각자병서의 폐지 이후에는 ‘’가 ‘혀’로 적힘.
주011)
초:-[具]+호(부사파생접미사).
주012)
닐올뎬:니/닐ㅇ-[說]+올뎬. ‘-올뎬’은 [가정]을 나타냄.
주013)
예셔:이[此方]+에셔. ‘이’는 여기서는 송(宋)나라를 가리킴.
주014)
닐오맨:니/닐ㅇ-[謂]+오+ㅁ+애+ㄴ(보조사).
주015)
그지:그지[限度]+∅(주격조사).
주016)
원교(圓敎):원만한 교법.
주017)
닷고되:-[修]+오+.
주018)
닷곰:-[修]+오+ㅁ.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