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남명집언해 제2

  • 역주 남명집언해
  • 남명집언해 하
  • 제210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210


六代傳衣 天下聞니 表法야 聊將記宗旨시니라 當時放下ㅣ 勿肴訛커늘 何事로 人來야 提不起오
Ⓒ 구결 | 학조 / 1482년 월 일

六代 주001)
육대(六代):
중국 선종의 법통. 초조(初祖) 달마(達摩), 2조 혜가(慧可), 3조 승찬(僧璨), 4조 도신(道信), 5조 홍인(弘忍), 6조 혜능(慧能).
주002)
옷:
스승이 제자에게 법을 전하는 것을 의발(衣鉢)을 전한다고 표현한다.
샤 주003)
샤:
-+샤+오+ㅁ+.
天下ㅣ 듣니 法 주004)
표(表):
표명함.
야 가져 宗旨 주005)
종지(宗旨):
한 경전에서 나타내는 뜻.
주006)
기(記):
주석(註釋)함.
시

남명집언해 하:25ㄱ

니라 그 주007)
:
[時]+의(특수처소부사격조사). ‘’([時])는 늘 조사와 결합한 형태 ‘, , , 로’ 등으로 나타남.
노하 리샤미 어긔디 주008)
어긔디:
어기지[違]. 자동사와 타동사로 두루 쓰이는데 여기서는 자동사.
아니커늘 므슷 일로 사미 와 자바 니왇디 주009)
니왇디:
닐-[起]+(사동접미사)+왇(강세접미사)+디.
몯뇨
【주】 둘짯 句 안로 주010)
안로:
안ㅎ[內]+로.
心印 주011)
심인(心印):
언어나 문자로는 전할 수 없는 부처님의 깨달음.
 傳야 本心 주012)
본심(本心):
근본 마음.
맛게 주013)
맛게:
맞게→맛게. 8종성표기법.
시고 밧그로 주014)
밧그로:
+으로.
袈裟 주015)
가사(袈裟):
스님들의 법의.
브텨 주016)
브텨:
브티-[囑]+어.
宗旨 表시니라 노하 리샤 그려긔 주017)
그려긔:
그려기+의→그려긔. 체언 말음 /ㅣ/는 관형격조사 ‘-/의’ 앞에서 탈락. 아비+→아. 어미+의→어믜.
지체셔 주018)
지체셔:
짗[羽]+에셔(비교부사격조사).
가얍고 니왇디 몯호 泰山셔 주019)
-셔:
‘-에셔’의 교체형. ‘-에’는 원래 특수처소부사격조사이나, ‘-셔’와 결합하여 하나의 조사로 융합. ‘-셔’는 ‘이시/시-[有]+어’에서 문법화한 것.
므거우니 이 得失 업슨 주020)
업슨:
없-[無]+은. ‘없-’은 형용사이므로 ‘--’가 통합하지 못함.
디라 주021)
디라:
[義]+이+라.
 노하 료 傳授 잇 디오 니왇디 몯호 傳授 업슨 디라
Ⓒ 언해 | 학조 / 1482년 월 일

6대 옷 전하심을 천하가 듣나니, 법을 표하여 가져 종지를 기하시니라. 그 때에 놓아 버리심이 어긋나지 아니하거늘 무슨 일로 사람이 와서 잡아 일으키지 못하느냐?
【주】 둘째 구는 안으로 심인(心印)을 전하여 본심에 맞게 하시고 밖으로 가사(袈裟)를 맡겨 종지를 표하시니라. 놓아 버리심은 기러기의 깇보다 가볍고, 일으키지 못함은 태산보다 무거우니, 이는 득실이 없다는 뜻이다. 또 놓아 버림은 전수 있다는 뜻이고, 일으키지 못함은 전수가 없다는 뜻이다.
Ⓒ 역자 | 이유기 / 2002년 9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육대(六代):중국 선종의 법통. 초조(初祖) 달마(達摩), 2조 혜가(慧可), 3조 승찬(僧璨), 4조 도신(道信), 5조 홍인(弘忍), 6조 혜능(慧能).
주002)
옷:스승이 제자에게 법을 전하는 것을 의발(衣鉢)을 전한다고 표현한다.
주003)
샤:-+샤+오+ㅁ+.
주004)
표(表):표명함.
주005)
종지(宗旨):한 경전에서 나타내는 뜻.
주006)
기(記):주석(註釋)함.
주007)
:[時]+의(특수처소부사격조사). ‘’([時])는 늘 조사와 결합한 형태 ‘, , , 로’ 등으로 나타남.
주008)
어긔디:어기지[違]. 자동사와 타동사로 두루 쓰이는데 여기서는 자동사.
주009)
니왇디:닐-[起]+(사동접미사)+왇(강세접미사)+디.
주010)
안로:안ㅎ[內]+로.
주011)
심인(心印):언어나 문자로는 전할 수 없는 부처님의 깨달음.
주012)
본심(本心):근본 마음.
주013)
맛게:맞게→맛게. 8종성표기법.
주014)
밧그로:+으로.
주015)
가사(袈裟):스님들의 법의.
주016)
브텨:브티-[囑]+어.
주017)
그려긔:그려기+의→그려긔. 체언 말음 /ㅣ/는 관형격조사 ‘-/의’ 앞에서 탈락. 아비+→아. 어미+의→어믜.
주018)
지체셔:짗[羽]+에셔(비교부사격조사).
주019)
-셔:‘-에셔’의 교체형. ‘-에’는 원래 특수처소부사격조사이나, ‘-셔’와 결합하여 하나의 조사로 융합. ‘-셔’는 ‘이시/시-[有]+어’에서 문법화한 것.
주020)
업슨:없-[無]+은. ‘없-’은 형용사이므로 ‘--’가 통합하지 못함.
주021)
디라:[義]+이+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