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남명집언해 제2

  • 역주 남명집언해
  • 남명집언해 하
  • 제188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188


體若虛空야 勿涯岸니 秘藏微言로 莫可詮이로다 十聖三賢 不知處ㅣ여 有時예 閑掛寺門前얏다
Ⓒ 구결 | 학조 / 1482년 월 일

體ㅣ 虛空 야  업스니 秘藏앳 주001)
비장(秘藏)앳:
‘-앳’은 ‘애(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微妙 말로 어루 니디 몯리로다 十聖三賢 주002)
십성삼현(十聖三賢):
십지는 보살이 수행하여 성불하기까지 총 52단계의 수행 중에서 제41부터 제50 단계까지를 말함. 이에 이르러야 보살은 비로소 불성(佛性)을 보며 중생을 구제하고 지혜를 갖추기 때문에 10성(聖)이라 하며 성인의 칭호를 받음. 3현은 성위(聖位)에 들어가기 위한 전 단계.
주003)
-:
‘十聖三賢’에 주격조사 대신 관형격조사 ‘-’를 쓴 것은 ‘(아디 몯) 곧’을 한정하기 때문.
아디 몯 고디여 주004)
고디여:
곧[處]+이여(호격조사).
잇다감 주005)
뎘:
뎔[寺]+ㅅ.
알 주006)
알:
앒[前]+. 부사격조사 ‘-’는 관형격조사와 형태가 같은 특수처소부사격조사. 이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음.
겨르이 주007)
겨르이:
겨를/겨르[暇]+(형용사파생접미사)+이(부사파생접미사). /ㄹ/ 탈락의 원인을 설명하기 어려우나, ‘겨를+-’으로 기술하기 어렵다. ‘겨르외-’도 ‘겨를/겨르[暇]+외(형용사파생접미사)’로 구성되었다.
거러 주008)
거러:
걸-掛]+어. 능격동사. 여기서는 자동사.
잇다【十聖 十

남명집언해 하:15ㄴ

地聖人이오 三賢 十住 주009)
십주(十住):
보살이 수행하는 계위인 52위 중 제11~20위.
十行 주010)
십행(十行):
보살이 수행하는 계위인 52위 중 10주에서 나아가 묘각에 이르는 계위.
十回向 주011)
십회향(十回向):
보살이 수행하는 계위인 52위 중 제31~40위.
괘라】
【주】 네짯 句 對야 나토미 주012)
나토미:
낱-[現]+오+ㅁ+이.
分明 시라
Ⓒ 언해 | 학조 / 1482년 월 일

체가 허공 같아서 끝이 없으니, 깊이 감추어진 미묘한 말로 가히 설하지 못하리로다. 십성삼현이 알지 못한 곳이여. 이따금 절의 문 앞에 한가로이 걸려 있다.【십성은 십지성인이고 삼현은 십주와 십행과 십회향이다.】
【주】 넷째 구는 대하여 나타냄이 분명한 것이다.
Ⓒ 역자 | 이유기 / 2002년 9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비장(秘藏)앳:‘-앳’은 ‘애(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주002)
십성삼현(十聖三賢):십지는 보살이 수행하여 성불하기까지 총 52단계의 수행 중에서 제41부터 제50 단계까지를 말함. 이에 이르러야 보살은 비로소 불성(佛性)을 보며 중생을 구제하고 지혜를 갖추기 때문에 10성(聖)이라 하며 성인의 칭호를 받음. 3현은 성위(聖位)에 들어가기 위한 전 단계.
주003)
-:‘十聖三賢’에 주격조사 대신 관형격조사 ‘-’를 쓴 것은 ‘(아디 몯) 곧’을 한정하기 때문.
주004)
고디여:곧[處]+이여(호격조사).
주005)
뎘:뎔[寺]+ㅅ.
주006)
알:앒[前]+. 부사격조사 ‘-’는 관형격조사와 형태가 같은 특수처소부사격조사. 이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음.
주007)
겨르이:겨를/겨르[暇]+(형용사파생접미사)+이(부사파생접미사). /ㄹ/ 탈락의 원인을 설명하기 어려우나, ‘겨를+-’으로 기술하기 어렵다. ‘겨르외-’도 ‘겨를/겨르[暇]+외(형용사파생접미사)’로 구성되었다.
주008)
거러:걸-掛]+어. 능격동사. 여기서는 자동사.
주009)
십주(十住):보살이 수행하는 계위인 52위 중 제11~20위.
주010)
십행(十行):보살이 수행하는 계위인 52위 중 10주에서 나아가 묘각에 이르는 계위.
주011)
십회향(十回向):보살이 수행하는 계위인 52위 중 제31~40위.
주012)
나토미:낱-[現]+오+ㅁ+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