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남명집언해 제2

  • 역주 남명집언해
  • 남명집언해 하
  • 제209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209


菩提達磨ㅣ 爲初祖ㅣ시니 謾道西來야 欲付衣다 却羨梁王 眞慷慨노라 寒江 趂過야 不容歸니라
Ⓒ 구결 | 학조 / 1482년 월 일

菩提達磨ㅣ 初祖 주001)
초조(初祖):
한 종파를 창설한 조사(祖師).
외시니 주002)
외시니:
- 〉 외-.
西로셔 주003)
-로셔:
‘-로셔’는 [출발점]을 나타내는 부사격조사. ‘로(부사격조사)+이시/시-[有]+어’가 하나의 조사로 굳어짐.
와 옷 브티고져 주004)
브티고져:
브티-[付. 囑]+고져. ‘-고져’는 ‘고+지(선어말어미)+어’.
쇽졀업시

남명집언해 하:24ㄴ

니다 도혀 주005)
도혀:
동사의 활용형이 파생부사로 굳어진 것. 원래의 구조는 ‘돌-[回]+(사동접미사)+(강세접미사)+어(어미)’. ‘-어’는 외현되지 않음. 각자병서의 폐지 이후에는 ‘’가 ‘혀’로 적힘.
梁王 주006)
양왕(梁王):
양나라 무제. 제(齊)나라의 장수로 반란을 통해 양(梁)을 건국하고 황제에 올랐지만, 역시 반란으로 죽음을 당했다. 그러나 문학·음악·서예에 능했고, 특히 세 차례나 동태사(同泰寺)에 몸을 의탁할 정도로 불교를 깊이 믿었다. 달마대사는 130세 때에 금릉에서 양무제를 만났다.
 眞實ㅅ 慷慨 브노라 주007)
브노라:
블-[羨]++오(화자 초점 표지)+라. /ㄴ/ 앞에서 /ㄹ/ 탈락.
  디내 차 주008)
디내차:
디내-[過]+-[逐]+아. 비통사적 합성어.
도라가 容納디 아니니라
【주】 둘짯 句 達磨ㅣ 西로셔 오샤 오직 주009)
옷:
스승이 제자에게 법을 전하는 것을 의발(衣鉢)을 전한다고 함.
傳시며 法 브티고졔시니 주010)
브티고졔시니:
브티-[委囑]+고져+ㅣ(서술격조사)+시+니. 동사의 연결형이 마치 체언처럼 조사와 결합한 것. ‘-고져’는 ‘고+지+어’가 문법화한 것. ‘-지-’는 [원망(願望)]을 나타내는 선어말어미. ‘-지-’ 앞에 놓이는 ‘-고-’의 성격을 규정하기가 어렵다. 이 ‘-고’를 어말어미로 보고 ‘-지-’를 보조동사로 보기도 한다. 그러나 ‘-지-’는 어간에 바로 붙기도 하므로 선어말어미로 기술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사마다 本來 제  주011)
:
-[具]+.
傳홀 分 주012)
분(分):
‘명분’으로 번역해 보았다.
업슬 시라 三四 句 梁王이 眞實ㅅ 丈夫 주013)
장부(丈夫):
불성의 이치를 깨달은 사람.
ㅣ라 達磨 차 梁 도라오 許티 아니니 梁王  주014)
:
‘따름. 뿐’을 뜻함. 관형사형에도 붙으므로 보조사가 아니라 의존명사이다.
아니라 사마다 本來 니 達磨ㅣ 西로셔 오샤 므슷 주015)
므슷:
의문 관형사.
이 주016)
:
꾀[謀].
료 주017)
료:
-[用]+리+고/오.
 시라
Ⓒ 언해 | 학조 / 1482년 월 일

보리달마께서 초조가 되시니 서쪽으로부터 와 옷을 부치고자 하여 부질없이 설하시는구나. 도리어 양왕의 진짜 강개를 부러워하노라. 찬 강을 지나 좇아 돌아감을 용납하지 아니하니라.
【주】 둘째 구는 달마께서 서쪽으로부터 오심은 오직 옷을 전하시며 법을 위촉하고자 하심이니, 그러나 사람마다 본래 스스로 갖추고 있으므로 옷을 전할 명분이 없는 것이다. 3, 4구는 양왕이 참된 장부라, 달마를 좇아 양나라에 돌아옴을 허락하지 아니하니, 양왕뿐 아니라 사람마다 본래 갖추고 있으니 달마께서 서쪽으로부터 오시어 무슨 일을 꾀하리오 하는 것이다.
Ⓒ 역자 | 이유기 / 2002년 9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초조(初祖):한 종파를 창설한 조사(祖師).
주002)
외시니:- 〉 외-.
주003)
-로셔:‘-로셔’는 [출발점]을 나타내는 부사격조사. ‘로(부사격조사)+이시/시-[有]+어’가 하나의 조사로 굳어짐.
주004)
브티고져:브티-[付. 囑]+고져. ‘-고져’는 ‘고+지(선어말어미)+어’.
주005)
도혀:동사의 활용형이 파생부사로 굳어진 것. 원래의 구조는 ‘돌-[回]+(사동접미사)+(강세접미사)+어(어미)’. ‘-어’는 외현되지 않음. 각자병서의 폐지 이후에는 ‘’가 ‘혀’로 적힘.
주006)
양왕(梁王):양나라 무제. 제(齊)나라의 장수로 반란을 통해 양(梁)을 건국하고 황제에 올랐지만, 역시 반란으로 죽음을 당했다. 그러나 문학·음악·서예에 능했고, 특히 세 차례나 동태사(同泰寺)에 몸을 의탁할 정도로 불교를 깊이 믿었다. 달마대사는 130세 때에 금릉에서 양무제를 만났다.
주007)
브노라:블-[羨]++오(화자 초점 표지)+라. /ㄴ/ 앞에서 /ㄹ/ 탈락.
주008)
디내차:디내-[過]+-[逐]+아. 비통사적 합성어.
주009)
옷:스승이 제자에게 법을 전하는 것을 의발(衣鉢)을 전한다고 함.
주010)
브티고졔시니:브티-[委囑]+고져+ㅣ(서술격조사)+시+니. 동사의 연결형이 마치 체언처럼 조사와 결합한 것. ‘-고져’는 ‘고+지+어’가 문법화한 것. ‘-지-’는 [원망(願望)]을 나타내는 선어말어미. ‘-지-’ 앞에 놓이는 ‘-고-’의 성격을 규정하기가 어렵다. 이 ‘-고’를 어말어미로 보고 ‘-지-’를 보조동사로 보기도 한다. 그러나 ‘-지-’는 어간에 바로 붙기도 하므로 선어말어미로 기술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주011)
:-[具]+.
주012)
분(分):‘명분’으로 번역해 보았다.
주013)
장부(丈夫):불성의 이치를 깨달은 사람.
주014)
:‘따름. 뿐’을 뜻함. 관형사형에도 붙으므로 보조사가 아니라 의존명사이다.
주015)
므슷:의문 관형사.
주016)
:꾀[謀].
주017)
료:-[用]+리+고/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