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남명집언해 제2

  • 역주 남명집언해
  • 남명집언해 하
  • 제184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184


一切數句와 非數句ㅣ 性相이 紛拏야 萬種名이니라 閉戶只言天未曉고 不知門外예 日頭生도다
Ⓒ 구결 | 학조 / 1482년 월 일

一切 數句와 數句 아니왜 주001)
아니왜:
아니(명사)+와(접속조사)+ㅣ(주격조사). 중세국어의 ‘아니’는 명사로도 쓰이고 부사로도 쓰였음.
性과 相괘 어즈러워 주002)
어즈러워:
어즈러〉어즈러워. 공시적으로는 ‘어즈럽/어즈러우-[紛]+어’.
萬 가짓 일후미니라 門 닫고셔 주003)
닫고셔:
‘-셔’는 기원적으로 [有]를 뜻하는 동사 어간 ‘시-’에 어미 ‘-어’가 붙은 것. ‘시-’는 ‘잇/이시-’의 이형태. ‘이시-’의 이형태는 세 가지이다. 모음 앞에서는 ‘이시-’, 자음 앞에서는 ‘잇-’이 쓰이며, 모음 앞이되 연결어미 ‘-어/아, -고’나 부사 ‘마니’의 뒤일 경우에는 ‘시-’가 쓰인다.
오직 닐오 하히 새디 아니타 고 門 밧긔 주004)
밧긔:
+의. 이 ‘-의’는 관형격조사와 형태가 같으나, 부사격조사임. 이를 특수처소부사격조사라 함.
도닷 주005)
도닷:
돋+아+잇++ㄴ. ‘-아#잇-’이 ‘-앗-’으로 변화함. 현대국어 형용사에 ‘-았-’이 쓰이면 ‘-느-’가 쓰일 수 있는데, 그것은 역사적으로 동사 ‘잇-’이 ‘-앗-’의 구성 요소이기 때문임.
주006)
:
(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중세국어에서 목적격조사 ‘-ㄹ’과 ‘-/를’의 교체는 수의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에는 항상 ‘-ㄹ’만이 쓰인다.
아디 몯도다
【주】 數句 곧 差別이니 닐온 주007)
닐온:
니/닐ㅇ-[說]+오/우+ㄴ.
주008)
밧:
바(의존명사)+ㅅ(관형격조사).
相이라 數句 아니라 호 곧 差別 업소미니 주009)
업소미니:
없-+오+ㅁ+이+니. ‘업수미니’가 더 일반적이다.
닐온 밧 性이라 門 닫다 호 주010)
혹(惑):
깨달음을 장애하는 번뇌.
어드워 주011)
어드워:
어듭/어드우-[暗]+어. 중세국어 자료에서는 ‘어(어둡)-’과 ‘어(어듭)-’이 다 나타남.
數와 數 아뇨매 디여 이쇼 니시

남명집언해 하:13ㄴ

고  돋다 호 주012)
지(智):
지(智)+∅(주격조사). 이 책에서는 /ㅣ/로 끝나는 한자어 체언 뒤에서 주격조사가 나타나기도 하고 나타나지 않기도 함. 25ㄱ, 28ㄱ을 참조.
가 數와 數 아뇨매 디디 주013)
디디:
디-[落]+디.
아니 고 주014)
고:
것을. 곧+.
니시니라
Ⓒ 언해 | 학조 / 1482년 월 일

일체 수구와 수구 아닌 것이 성과 상이 어지러워 만 가지의 이름이니라. 문 닫고서 오직 이르되, 하늘이 새지 아니한다 하고 문 밖에 해 돋아 있는 줄을 알지 못하도다.
【주】 수구는 곧 차별이니, 이른 바의 상이다. 수구 아니라 함은 곧 차별 없음이니, 이른 바의 성이다. 문 닫다 함은 번뇌가 어두워 수와 수 아님에 떨어져 있음을 이르신 것이고 해 돋다 함은 지가 밝아 수와 수 아님에 떨어지지(전락하지) 아니한 것을 이르신 것이다.
Ⓒ 역자 | 이유기 / 2002년 9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아니왜:아니(명사)+와(접속조사)+ㅣ(주격조사). 중세국어의 ‘아니’는 명사로도 쓰이고 부사로도 쓰였음.
주002)
어즈러워:어즈러〉어즈러워. 공시적으로는 ‘어즈럽/어즈러우-[紛]+어’.
주003)
닫고셔:‘-셔’는 기원적으로 [有]를 뜻하는 동사 어간 ‘시-’에 어미 ‘-어’가 붙은 것. ‘시-’는 ‘잇/이시-’의 이형태. ‘이시-’의 이형태는 세 가지이다. 모음 앞에서는 ‘이시-’, 자음 앞에서는 ‘잇-’이 쓰이며, 모음 앞이되 연결어미 ‘-어/아, -고’나 부사 ‘마니’의 뒤일 경우에는 ‘시-’가 쓰인다.
주004)
밧긔:+의. 이 ‘-의’는 관형격조사와 형태가 같으나, 부사격조사임. 이를 특수처소부사격조사라 함.
주005)
도닷:돋+아+잇++ㄴ. ‘-아#잇-’이 ‘-앗-’으로 변화함. 현대국어 형용사에 ‘-았-’이 쓰이면 ‘-느-’가 쓰일 수 있는데, 그것은 역사적으로 동사 ‘잇-’이 ‘-앗-’의 구성 요소이기 때문임.
주006)
:(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중세국어에서 목적격조사 ‘-ㄹ’과 ‘-/를’의 교체는 수의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에는 항상 ‘-ㄹ’만이 쓰인다.
주007)
닐온:니/닐ㅇ-[說]+오/우+ㄴ.
주008)
밧:바(의존명사)+ㅅ(관형격조사).
주009)
업소미니:없-+오+ㅁ+이+니. ‘업수미니’가 더 일반적이다.
주010)
혹(惑):깨달음을 장애하는 번뇌.
주011)
어드워:어듭/어드우-[暗]+어. 중세국어 자료에서는 ‘어(어둡)-’과 ‘어(어듭)-’이 다 나타남.
주012)
지(智):지(智)+∅(주격조사). 이 책에서는 /ㅣ/로 끝나는 한자어 체언 뒤에서 주격조사가 나타나기도 하고 나타나지 않기도 함. 25ㄱ, 28ㄱ을 참조.
주013)
디디:디-[落]+디.
주014)
고:것을. 곧+.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