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남명집언해 제2

  • 역주 남명집언해
  • 남명집언해 하
  • 제219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219


兩種이 猶如鏡上痕니 障覆靈明논디 類心垢도다 山河大地ㅣ 勿絲毫커니 誰掛高臺코 辨姸醜리오
Ⓒ 구결 | 학조 / 1482년 월 일

가지 주001)
가지:
가지+∅(주격조사). ‘가지’는 성조에 따라 구별됨. 정음 초기 문헌에서 ‘가지(성조: 평거)’는 [種類]를, ‘가지(성조: 거평)’는 [枝]를 가리킴.
거우루 주002)
거우루:
거울. ‘거우로’형도 쓰임. 근대국어 시기 이후 어말 모음이 탈락하여 ‘거올, 거울’이 등장.
우흿 허믈 주003)
허믈:
흠.
니 靈明 주004)
영명(靈明):
총명.
리와 주005)
리와:
리오-[隔. 遮]+아. 리다〉리오다. ‘-오-(〈--)’는 강세접미사. 현대국어 ‘가리우다’의 ‘-우-’를 일반적으로 사동접미사로 기술하고 있으나, 역사적인 사실을 고려하여 강세접미사로 보아야 할 것이다. ‘재우다, 세우다, 업히우다’ 등에서 보이는 대부분의 ‘-이우-’도 이러한 역사적 배경을 갖는 것으로 보인다.
덥논 주006)
덥논:
덮-[覆]++오/우+ㄴ.
디 맷 주007)
:
‘[垢]’의 음절부음 [j] 때문에 비교부사격조사 ‘-이’가 외현되지 않음.
도다 주008)
도다:
‘(부사)’에 ‘-’가 붙어 형용사 ‘-’가 파생되고, ‘니(+-+니)’와 같은 활용형에 대한 오분석의 결과 새로운 어간 ‘-’이 만들어졌다. 한편 이 ‘-’은 음절말에서는 8종성표기법에 의해 ‘-’으로 적힌다.
山河大地 주009)
산하대지(山河大地):
주격조사가 외현되지 않음. 한문 원문에는 ‘ㅣ’가 쓰였음.
실 터럭도 업거니 주010)
뉘:
누(의문대명사)+ㅣ(주격조사).
노 臺 주011)
-예:
‘臺예’의 ‘-예’는 /ㅣ/ 순행동화 또는 반자음 개입에 의한 모음충돌회피.
걸오 주012)
걸오:
걸-[掛]+고. /ㄱ/ 약화.
이며 주013)
이며:
고우며. 읻-[姸. 好. 善]+며.
골업소 주014)
골업소:
골[貌]+없-[無]+오+ㅁ+. ‘골없-’은 합성어.
리오
【주】 靈明 거우루의 고미라 三四 句 山河大地  주015)
:
‘’은 ‘마음’을 뜻하기도 하고 ‘심장을 뜻하기도 함.
거우루에 나면 오 주016)
오:
형용사 ‘오-’은 [穩全]을 의미하는데, 이 어휘의 관형사형에서 관형사로 굳어진 ‘오’은 ‘온, 모든’을 뜻함.
주017)
체(體):
체언말음 [j] 뒤에서 주격조사가 외현되지 않음.
이 거우뤼라  다 거시 업스니 뉘 그 가온 이 이며 이 골업소 리오 주018)
리오:
‘-고/오’는 설명의문의 종결어미로서, 판정의문의 종결어미 ‘-어’와 대립한다.
Ⓒ 언해 | 학조 / 1482년 월 일

두 가지가 거울 위의 흠 같으니, 영명(靈明)을 가리어 덮는 것이 마음의 때 같도다. 산하대지가 실과 터럭도 없으니, 누가 높은 대에 걸고 고우며 꼴사나움을 분별하리오?
【주】 영명(靈明)은 거울의 밝음이다. 3, 4구는 산하대지가 마음 거울에 나타나면 온 몸이 거울이라, 또 다른 것이 없으니, 누가 그 가운데에서 이것은 고우며 이것은 꼴사나움을 분별하리오?
Ⓒ 역자 | 이유기 / 2002년 9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가지:가지+∅(주격조사). ‘가지’는 성조에 따라 구별됨. 정음 초기 문헌에서 ‘가지(성조: 평거)’는 [種類]를, ‘가지(성조: 거평)’는 [枝]를 가리킴.
주002)
거우루:거울. ‘거우로’형도 쓰임. 근대국어 시기 이후 어말 모음이 탈락하여 ‘거올, 거울’이 등장.
주003)
허믈:흠.
주004)
영명(靈明):총명.
주005)
리와:리오-[隔. 遮]+아. 리다〉리오다. ‘-오-(〈--)’는 강세접미사. 현대국어 ‘가리우다’의 ‘-우-’를 일반적으로 사동접미사로 기술하고 있으나, 역사적인 사실을 고려하여 강세접미사로 보아야 할 것이다. ‘재우다, 세우다, 업히우다’ 등에서 보이는 대부분의 ‘-이우-’도 이러한 역사적 배경을 갖는 것으로 보인다.
주006)
덥논:덮-[覆]++오/우+ㄴ.
주007)
:‘[垢]’의 음절부음 [j] 때문에 비교부사격조사 ‘-이’가 외현되지 않음.
주008)
도다:‘(부사)’에 ‘-’가 붙어 형용사 ‘-’가 파생되고, ‘니(+-+니)’와 같은 활용형에 대한 오분석의 결과 새로운 어간 ‘-’이 만들어졌다. 한편 이 ‘-’은 음절말에서는 8종성표기법에 의해 ‘-’으로 적힌다.
주009)
산하대지(山河大地):주격조사가 외현되지 않음. 한문 원문에는 ‘ㅣ’가 쓰였음.
주010)
뉘:누(의문대명사)+ㅣ(주격조사).
주011)
-예:‘臺예’의 ‘-예’는 /ㅣ/ 순행동화 또는 반자음 개입에 의한 모음충돌회피.
주012)
걸오:걸-[掛]+고. /ㄱ/ 약화.
주013)
이며:고우며. 읻-[姸. 好. 善]+며.
주014)
골업소:골[貌]+없-[無]+오+ㅁ+. ‘골없-’은 합성어.
주015)
:‘’은 ‘마음’을 뜻하기도 하고 ‘심장을 뜻하기도 함.
주016)
오:형용사 ‘오-’은 [穩全]을 의미하는데, 이 어휘의 관형사형에서 관형사로 굳어진 ‘오’은 ‘온, 모든’을 뜻함.
주017)
체(體):체언말음 [j] 뒤에서 주격조사가 외현되지 않음.
주018)
리오:‘-고/오’는 설명의문의 종결어미로서, 판정의문의 종결어미 ‘-어’와 대립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