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남명집언해 제2

  • 역주 남명집언해
  • 남명집언해 하
  • 제316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316


大象 不遊於免徑니 彈偏折小ㅣ 豈徒然이리오 無中有路애 如能入면 金鎖玄關 盡棄捐리라
Ⓒ 구결 | 학조 / 1482년 월 일

큰 象 톳긔 주001)
톳긔:
토끼의. 톳기+의→톳긔. /ㅣ/로 끝나는 체언에 관형격조사 ‘-/의’가 통합하면 체언 말음 /ㅣ/는 탈락. 아비+→아. 어미+의→어믜.
길헤 노디 주002)
노디:
놀지. 놀-+-디. 어미의 /ㄷ/ 앞에서 어간의 /ㄹ/이 탈락.
아니니 주003)
편(偏):
점교(漸敎).
외다 주004)
외다:
그르다[非].
며 小 주005)
소(小):
작음. ‘소승’을 가리킴.
것구미 주006)
것구미:
꺾음이[折]. -+우+ㅁ+이.
엇뎨 쇽졀업스리오 주007)
쇽졀업스리오:
헛되리오. ‘별도리가 없다’는 뜻의 현대어 ‘속절없다’와는 뜻이 다름.
업슨 中에 잇 길헤 다가 能히 들면 쇠 건 玄關 주008)
현관(玄關):
불교에서, 현묘(玄妙)한 도(道)로 들어가는 어귀라는 뜻으로, ‘선학(禪學)의 관문(關門)’을 이르는 말.
 다 리리라
【주】 偏 이 漸敎 주009)
점교(漸敎):
오랫동안 수행을 쌓은 다음에 불과(佛果)를 얻게 되는 교법(敎法). ⇔돈교.
ㅣ오 小 이 小乘이니 偏 외다 며 小 것구 오직 大 주010)
대(大):
대승.

남명집언해 하:74ㄱ

기리며 圓 주011)
원(圓):
돈교(頓敎). 단박에 깨닫는 교법.
 기료 爲 니샤 엇뎨 쇽졀업스리오 시니라 업슨 中에 잇 길 大乘 正 길히오 쇠 거론 玄關 二乘 주012)
-:
주어적 관형격. 명사 ‘굳’과 호응.
寂滅 주013)
적멸(寂滅):
일체의 번뇌에서 해탈한 불생불멸(不生不滅)의 높은 경지. ‘해탈, 열반’ 등과 동의어.
구디라 주014)
구디라:
구덩이라. ‘굳’은 구덩이. 窖 굳 교(훈몽자회 중5ㄴ)
Ⓒ 언해 | 학조 / 1482년 월 일

큰 코끼리는 토끼가 다니는 길에서 놀지 아니하나니, 편(偏)을 그르다고 하며 소(小)를 꺾는 것이 어찌 헛되리오? 없는 중에 있는 길에 만약에 능히 들어오면 자물쇠를 건 현관을 모두 버리리라.
【주】 편(偏)은 이것이 점교(漸敎)이고 소(小)는 이것이 소승(小乘)이니, 편(偏)을 그르다고 하며 소승을 꺾는 것은 대승을 기리며 원(圓)을 기리는 것을 위한 것이므로, 어찌 그것이 헛되리오 하고 말씀하신 것이다. 없는 중에 있는 길은 대승(大乘)의 정(正)한 길이고, 자물쇠를 건 현관(玄關)은 이승(二乘)의 적멸(寂滅)한 구덩이이다.
Ⓒ 역자 | 이유기 / 2002년 9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톳긔:토끼의. 톳기+의→톳긔. /ㅣ/로 끝나는 체언에 관형격조사 ‘-/의’가 통합하면 체언 말음 /ㅣ/는 탈락. 아비+→아. 어미+의→어믜.
주002)
노디:놀지. 놀-+-디. 어미의 /ㄷ/ 앞에서 어간의 /ㄹ/이 탈락.
주003)
편(偏):점교(漸敎).
주004)
외다:그르다[非].
주005)
소(小):작음. ‘소승’을 가리킴.
주006)
것구미:꺾음이[折]. -+우+ㅁ+이.
주007)
쇽졀업스리오:헛되리오. ‘별도리가 없다’는 뜻의 현대어 ‘속절없다’와는 뜻이 다름.
주008)
현관(玄關):불교에서, 현묘(玄妙)한 도(道)로 들어가는 어귀라는 뜻으로, ‘선학(禪學)의 관문(關門)’을 이르는 말.
주009)
점교(漸敎):오랫동안 수행을 쌓은 다음에 불과(佛果)를 얻게 되는 교법(敎法). ⇔돈교.
주010)
대(大):대승.
주011)
원(圓):돈교(頓敎). 단박에 깨닫는 교법.
주012)
-:주어적 관형격. 명사 ‘굳’과 호응.
주013)
적멸(寂滅):일체의 번뇌에서 해탈한 불생불멸(不生不滅)의 높은 경지. ‘해탈, 열반’ 등과 동의어.
주014)
구디라:구덩이라. ‘굳’은 구덩이. 窖 굳 교(훈몽자회 중5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