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남명집언해 제2

  • 역주 남명집언해
  • 남명집언해 하
  • 제193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193


남명집언해 하:17ㄴ

不可得中에 只麽得니 無葉無根호 到處生니라 昨日開簾호니 隨雨過더니 今朝애 當路야 礙人行다
Ⓒ 구결 | 학조 / 1482년 월 일

어루 得디 몯 中에 오직 그리 주001)
그리:
그러(불규칙적 어근)+-+이(부사파생접미사).
得니 주002)
닙:
닢→닙. 8종성표기법.
업스며 불휘 주003)
불휘:
불휘[根]+∅(주격조사).
업소 주004)
업소:
없-+오+.
간 마다 나니라 어젯 나랜 주005)
어젯나랜:
어제+ㅅ+날+애+ㄴ(보조사).
바 주006)
바:
발[簾]+(목적격조사).
여르니 주007)
여르니:
열-[開]+으니.
비 조차 디나더니 오 아맨 주008)
아맨:
아+애+ㄴ(보조사).
길헤 當야 사 녀 리다 주009)
리다:
리-[遮. 礙]++다.
【주】 닙 업스며 불휘 업다 호 자최 업서 잡드디 주010)
잡드디:
잡-[執]+들/드-[擧]+디. 비통사적 합성동사.
몯 시오 간 마다 나다 호 다 주011)
다:
닿-[觸]+.
마다 나타 주012)
나타:
낱-[現]+아.
잇디 아니  업슬 시라 三四 句 神變 주013)
신변(神變):
신력(神力)에 의한 변화.
야 주014)
야:
(부사)+-+아/야. ‘-’를 접사로 보면 파생형용사. ‘-야’는 ‘-아/어’의 형태론적 이형태로서, ‘-’ 뒤에만 쓰임.
잇논 고 一定티 주015)
일정(一定)티:
일정(一定)+-+디. ‘-’의 모음 //는 유성자음과 무성자음 사이에서 탈락.
몯 시라
Ⓒ 언해 | 학조 / 1482년 월 일

가히 얻지 못할 가운데에 오직 그렇게 얻나니 잎 없으며 뿌리 없으되 가는 곳마다 나느니라. 어젯날에는 발(簾)을 여니 비를 좇아 지나더니 오늘 아침에는 길에 당하여 사람의 걸어감을 가리는구나.
【주】 잎 없으며 뿌리 없다 함은 자취 없어 붙들지 못하는 것이고 가는 곳마다 생겨나다 함은 닿은 곳마다 나타나 있지 아니한 곳이 없는 것이다. 3, 4구는 신변 같아서 있는 곳을 하나로 규정하지 못하는 것이다.
Ⓒ 역자 | 이유기 / 2002년 9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그리:그러(불규칙적 어근)+-+이(부사파생접미사).
주002)
닙:닢→닙. 8종성표기법.
주003)
불휘:불휘[根]+∅(주격조사).
주004)
업소:없-+오+.
주005)
어젯나랜:어제+ㅅ+날+애+ㄴ(보조사).
주006)
바:발[簾]+(목적격조사).
주007)
여르니:열-[開]+으니.
주008)
아맨:아+애+ㄴ(보조사).
주009)
리다:리-[遮. 礙]++다.
주010)
잡드디:잡-[執]+들/드-[擧]+디. 비통사적 합성동사.
주011)
다:닿-[觸]+.
주012)
나타:낱-[現]+아.
주013)
신변(神變):신력(神力)에 의한 변화.
주014)
야:(부사)+-+아/야. ‘-’를 접사로 보면 파생형용사. ‘-야’는 ‘-아/어’의 형태론적 이형태로서, ‘-’ 뒤에만 쓰임.
주015)
일정(一定)티:일정(一定)+-+디. ‘-’의 모음 //는 유성자음과 무성자음 사이에서 탈락.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