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남명집언해 제2

  • 역주 남명집언해
  • 남명집언해 하
  • 제181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181


非色非心非行業이니 戱論言辭ㅣ 摠不如니라 唯有華山潘處士옷 途中에 吟望倒騎驢니라
Ⓒ 구결 | 학조 / 1482년 월 일

주001)
색(色):
눈에 보이는 현상 세계. 곧 물질 세계.
아니며  아니며 行業 주002)
행업(行業):
고락의 과보를 얻을 행위.
아니니 戱論 주003)
희론(戱論):
부질없이 희롱하는 무의미한 담론.
과 말미 다 디 아니니라 오직 華山潘處士 주004)
-옷:
‘-옷’은 보조사. 자음 뒤에서는 ‘-곳’이, 모음과 /ㄹ/ 뒤에서는 ‘-옷’이 쓰임.
가온 주005)
가온:
가운데에. 가〉가온. 기원적으로는 ‘갑-[中央]+(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 음절부음 [j]로 끝나는 체언 중 시간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말 뒤에는 부사격조사 ‘-예’가 나타나지 않는다.
이퍼 주006)
이퍼:
읊어. 잎-[吟]+어.
라 주007)
라:
라-[望]+아.
라귀 주008)
라귀:
‘라귀’는 ‘나귀’로도 나타남.
갓로 주009)
갓로:
갓-[倒]+오(부사파생접미사).
니라【潘處士 일후미 潘閬이니

남명집언해 하:12ㄱ

華山 가 노니다가 도라올 제 뫼  주010)
:
-[愛]+아.
길헤 라귀 갓로 타 뫼 라며 오니라】
【주】 色 마 色이라  아 미라 行業 善과 惡괏 行과 善과 惡괏 業이니 주011)
이:
이(지시대명사)+∅.
닐온 주012)
닐온:
이른바. 소위. 주어가 없으므로 명사로 기술한다.
戱論言辭ㅣ라 라귀 갓로 다 호 녜 途中에 이셔 家舍 주013)
가사(家舍):
자기가 사는 집.
 여희디 아니 시라
Ⓒ 언해 | 학조 / 1482년 월 일

색 아니며 마음 아니며 행업 아니니, 희론과 말이 다 같지 아니하니라. 오직 화산반처사가 길 가운데에서 읊으면서 바라보아 나귀를 거꾸로 타니라.【반처사는 이름이 반량이니, 화산에 가 노니다가 돌아올 때에 산을 사랑하여 길에 나귀를 거꾸로 타고 산을 바라보며 왔느니라.】
【주】 색은 막은 색이다. 마음은 아는 마음이다. 행업은 선과 악의 행과, 선과 악의 업이니, 이것이 이른바 희론언사이다. 나귀를 거꾸로 탄다 함은 늘 길 위에 있어 집을 여의지 아니한다는 뜻이다.
Ⓒ 역자 | 이유기 / 2002년 9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색(色):눈에 보이는 현상 세계. 곧 물질 세계.
주002)
행업(行業):고락의 과보를 얻을 행위.
주003)
희론(戱論):부질없이 희롱하는 무의미한 담론.
주004)
-옷:‘-옷’은 보조사. 자음 뒤에서는 ‘-곳’이, 모음과 /ㄹ/ 뒤에서는 ‘-옷’이 쓰임.
주005)
가온:가운데에. 가〉가온. 기원적으로는 ‘갑-[中央]+(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 음절부음 [j]로 끝나는 체언 중 시간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말 뒤에는 부사격조사 ‘-예’가 나타나지 않는다.
주006)
이퍼:읊어. 잎-[吟]+어.
주007)
라:라-[望]+아.
주008)
라귀:‘라귀’는 ‘나귀’로도 나타남.
주009)
갓로:갓-[倒]+오(부사파생접미사).
주010)
:-[愛]+아.
주011)
이:이(지시대명사)+∅.
주012)
닐온:이른바. 소위. 주어가 없으므로 명사로 기술한다.
주013)
가사(家舍):자기가 사는 집.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