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남명집언해 제2

  • 역주 남명집언해
  • 남명집언해 하
  • 제170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170


龍象 蹴踏애 潤無邊니 自在縱橫야 勿羇絆도다 衆生이 未盡證菩提ㄴ댄 終不輕離煩惱岸니라
Ⓒ 구결 | 학조 / 1482년 월 일

龍象 주001)
용상(龍象):
뛰어난 큰 스님을 물의 왕인 용과 뭍의 왕인 코끼리에 비유한 것.
오매 주002)
오매:
매〉오매. 공시적으로는 ‘/오-[踏]+오+ㅁ+애’. 이 시기에는 ‘’이 쓰이지 않는다.
불우미 주003)
불우미:
부르/불-[潤]+우+ㅁ+이. ‘르’ 불규칙동사 중 이른바 ‘ㄹㅇ’형.
주004)
:
끝[際. 限]. →(8종성표기법).
업스니 縱橫애 自在 주005)
자재(自在):
마음대로 무엇이나 자유로우며, 장애될 것이 없음.
야 얽이디 아니도다 衆生이 다 菩提 주006)
보리(菩提):
최상의 지혜.
 證티 몯린댄 내내 주007)
내내:
명사 ‘내(乃終)’에 부사파생 접미사 ‘-내’가 결합한 부사. ‘내’는 어떤 시기에 다다라서야 비로소 사건이 발생하게 되었을 때에 사용하는 부사이고, ‘내내’는 끝까지 어떤 상태를 유지할 때에 사용하는 부사이다.
가야이 주008)
가야이:
가야〉가야이. 공시적으로는 ‘가얍/가야-[輕]+이’.
煩惱ㅅ  주009)
:
[岸. 際]+애. ‘-애’는 [처소], [이동의 방향] 외에 여기서처럼 [출발점]을 의미하기도 한다.
여희디 아니니

남명집언해 하:6ㄴ

【縱 아라우히오 주010)
아라우히오:
아라+우ㅎ+이+고/오. 명사 ‘아래’가 합성어의 어근이 될 때에는 그 형태가 ‘아라’로 변화함.
橫 四方이라】
【주】 둘짯 句 世間 주011)
세간(世間):
세속 일.
出世間 주012)
출세간(出世間):
불법의 일.
애 自在 行李라 三四 句 衆生 다 濟度코 주013)
제도코:
제도+-+고+(보조사).
주014)
내:
나+ㅣ(주격)→‧내(거성). 나+ㅣ(관형격)→내(평성).
부텨 외요려 주015)
외요려:
외-[爲]+오려.
 시니 大乘 주016)
대승(大乘):
이상경에 이르는 교법 가운데에서 교리, 교설, 이상, 목적이 크고 깊은 것. 이것을 받는 근기도 당연히 커야 하므로 대승이라 함.
菩薩 주017)
보살(菩薩):
성불하기 위해 수행하는 이의 총칭.
고 주018)
고:
순수한. 고-[純]+ㄴ. ‘ 利케 실 ’까지를 한정하는 것으로 보인다. 의역하면 ‘순수하게’가 자연스럽다.
 利케 실 시라
Ⓒ 언해 | 학조 / 1482년 월 일

용상은 밟음에 불어남이 끝없으니, 종횡에 자재하여 얽매이지 아니하도다. 중생이 다 보리를 깨닫지 못한다면 끝까지 가벼이 번뇌의 가장자리에서 벗어나지 아니하느니라.【‘종’은 아래 위이고 ‘횡’은 사방이다.】
【주】 둘째 구는 세간과 출세간에 자재한 행리(行李)이다. 3, 4구는 중생을 다 제도하고서야 내가 부처 되려 하는 것이니, 대승보살이 순수하게 남을 이롭게 하시는 것이다.
Ⓒ 역자 | 이유기 / 2002년 9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용상(龍象):뛰어난 큰 스님을 물의 왕인 용과 뭍의 왕인 코끼리에 비유한 것.
주002)
오매:매〉오매. 공시적으로는 ‘/오-[踏]+오+ㅁ+애’. 이 시기에는 ‘’이 쓰이지 않는다.
주003)
불우미:부르/불-[潤]+우+ㅁ+이. ‘르’ 불규칙동사 중 이른바 ‘ㄹㅇ’형.
주004)
:끝[際. 限]. →(8종성표기법).
주005)
자재(自在):마음대로 무엇이나 자유로우며, 장애될 것이 없음.
주006)
보리(菩提):최상의 지혜.
주007)
내내:명사 ‘내(乃終)’에 부사파생 접미사 ‘-내’가 결합한 부사. ‘내’는 어떤 시기에 다다라서야 비로소 사건이 발생하게 되었을 때에 사용하는 부사이고, ‘내내’는 끝까지 어떤 상태를 유지할 때에 사용하는 부사이다.
주008)
가야이:가야〉가야이. 공시적으로는 ‘가얍/가야-[輕]+이’.
주009)
:[岸. 際]+애. ‘-애’는 [처소], [이동의 방향] 외에 여기서처럼 [출발점]을 의미하기도 한다.
주010)
아라우히오:아라+우ㅎ+이+고/오. 명사 ‘아래’가 합성어의 어근이 될 때에는 그 형태가 ‘아라’로 변화함.
주011)
세간(世間):세속 일.
주012)
출세간(出世間):불법의 일.
주013)
제도코:제도+-+고+(보조사).
주014)
내:나+ㅣ(주격)→‧내(거성). 나+ㅣ(관형격)→내(평성).
주015)
외요려:외-[爲]+오려.
주016)
대승(大乘):이상경에 이르는 교법 가운데에서 교리, 교설, 이상, 목적이 크고 깊은 것. 이것을 받는 근기도 당연히 커야 하므로 대승이라 함.
주017)
보살(菩薩):성불하기 위해 수행하는 이의 총칭.
주018)
고:순수한. 고-[純]+ㄴ. ‘ 利케 실 ’까지를 한정하는 것으로 보인다. 의역하면 ‘순수하게’가 자연스럽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