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법화경언해 권2

  • 역주 법화경언해
  • 역주 법화경언해 권2
  • 신해품 제4
  • 4. 게송으로 다시 설하다 [2] 비유를 들다 ⑥ 비유에서 법을 밝히다 6
메뉴닫기 메뉴열기

4. 게송으로 다시 설하다 [2] 비유를 들다 ⑥ 비유에서 법을 밝히다 6


三結
我等이 雖爲諸佛子等야 說菩薩法야 以求佛道케 호 而於是法에 永無願樂 ○結釋自無希取意也 三佛見捨我合無希取 導師ㅣ 見捨샤 觀我心故로 初不勸進샤 說有實利시더니 ○二頌付家業二

법화경언해 권2:252ㄱ

初頌合正付業二 初牒譬帖合
如富長者ㅣ 知子志劣야 以方便力으로 柔伏其心然後에 乃付一切財物야 佛亦如是샤 現希有事샤 知樂小者샤 以方便力으로 調伏其心시고 乃敎大智시니

〔본문〕 우리 비록 諸佛子 爲야 菩薩法을 닐어 주001)
닐어:
일러.
佛道 求케 호 이 法에 기리 願야 즐규미 주002)
즐규미:
즐김이.
업슬 주003)
업슬:
없으므로.
導師ㅣ 리샤 주004)
리샤:
버리시어.
내  보시논 주005)
보시논:
보시는.
젼로 처믜 주006)
처믜:
처음에. 처[初]+의.
勸야 나샤 주007)
나샤:
나아가게 하시어.
實 利 잇다 니디 아니시더니 가면 주008)
가면:
부유한. 가멸-[富].
長者ㅣ 아 주009)
아:
아들의.
디 사오나오 주010)
사오나오:
사나움을. 못남을.
아라 方便力으로 그  부드럽게 굿블인 주011)
굿블인:
엎드리게 한.
에 주012)
-에:
-에야.
一切 財物을 맛디 야 부텨도 이 샤 希有

법화경언해 권2:252ㄴ

 이 나토샤 주013)
나토샤:
나타내시어.
져근 法 즐길 싸 아샤 方便力으로 그  질드려 주014)
질드려:
길들여.
굿블이시고 주015)
굿블이시고:
엎드리게 하시고서야.
큰 智 치시니 주016)
치시니:
가르치시니.

〔본문〕 저희가 비록 모든 불자들을 위하여 보살의 법을 설하여 불도를 구하게 하였으나, 이 법에 길이 원하여 즐김이 없으므로 도사께서 버리시고 내 마음을 보시는 까닭으로 처음에 권하여 나아가게 하시어 진실한 이익이 있다 이르지 아니하시더니, 부유한 장자가 아들의 뜻이 못남을 알고 방편력으로 그 마음을 부드럽게 굽힌 후에야 일체 재물을 맡기듯이 하여, 부처님도 이와 같으시어 희유한 일을 나타내시어 작은 법 즐기는 사람을 아시고 방편력으로 그 마음을 길들여 굽히게 하시고서야 큰 지혜를 가르치셨습니다.

此 牒轉敎菩薩호 自無志願 而佛이 亦繼捨之意야 明佛之繼捨 盖欲調伏샤 竢其迴心샤 乃敎大智신 니라 如富長者云云은 乃雙牒法喩야 總結滯權也니 所以重重翻牒者 二乘이 曠劫을 爲樂小之心의 誤甚얫다가 今旣造大야 乃知深悔故로 歷陳昔失야 而反覆言之야

법화경언해 권2:253ㄱ

以攄所懷니 如人이 憤劇면 必厲聲疾詬而後에 快然니 則文似繁重나 實有深意也ㅣ니라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이 菩薩 옮겨 쵸 주017)
쵸:
가르치되. 가르치는데.
제  願 업슬 부톄  리신 들 牒야 부텻 리샤 주018)
리샤:
버리심은.
질드려 굿블이샤 주019)
굿블이샤:
엎드리게 하시어.
 두르믈 주020)
두르믈:
돌이킴을. 두르-[廻].
기드리샤 주021)
기드리샤:
기다려서야. 기드리-+시+아+.
大智 치고져 시  주022)
시 :
하시는 것을.
기니라 如富長者ㅣ라 닐옴 주023)
닐옴:
이른 것들은.
法喩 와 주024)
와:
겨루어. 함께 나란히 하여. 오-[並].
牒야 權에 걸유 모도아 주025)
모도아:
모아. 모도-.
結니 겹겨비 드위 주026)
드위:
뒤집어. 드위-+어.
牒호 二乘이 먼 劫을 져근 法 즐기  외오 주027)
외오:
그릇되게. 외-[誤].
로미 주028)
로미:
만듦이.
甚호미 외옛다가 주029)
외옛다가:
되었다가.
이제 마 大예 나가 주030)
나가:
나아가야. 나가-+어/아+.
기피 뉘읏븐 주031)
뉘읏븐:
뉘우친. 뉘읏브-.
 알 녯 허므를 다 펴 드위힐훠 주032)
드위힐훠:
되풀이하여. 드위힐후-+아/어.
닐어 머군 주033)
머군:
먹은. 먹-+온/운.
 펴니 사미 怒호  면 반기 소리 이 주034)
이:
매섭게.
야 리

법화경언해 권2:253ㄴ

구지즌 주035)
구지즌:
꾸짖은.
後에 훤 니 주036)
훤 니:
환하듯 하니.
文이 어즈러이 주037)
어즈러이:
어지러이.
 주038)
:
겹친. -[疊].
나 實로 기픈 디 잇니라 주039)
잇니라:
있는 것이다.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이는 보살〈의 법〉을 옮겨 가르치되 스스로가 뜻과 바람이 없으므로 부처님이 또 버리신 뜻을 첩하여, 부처님이 버리신 것은 길들여서 구푸리게 하시어 마음 돌이킴을 기다리시고서 큰 지혜를 가르치고자 하시는 것을 밝힌 것이다. ‘부유한 장자’라고 이른 것들은 법의 비유를 나란히 하여 첩하고, ‘권’에 걸림을 모아 맺으니, 겹겹이 뒤집어서 첩한 것은 2승의 먼 겁을 작은 법 즐기는 마음이 그릇되게 만듦이 심한 것이 되었다가 지금 이미 큰 것에 나아가시었어야 깊이 뉘우친 것을 알므로 옛 허물을 다 펴 되풀이 하여 일러서 먹은 마음을 펴니, 사람이 노함을 매우 하면 반드시 소리 매섭게 하여 빨리 꾸짖은 후에야 훤하듯 하니, 글이 어지러이 겹친 듯하나 실로 깊은 뜻이 있는 것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1년 10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닐어:일러.
주002)
즐규미:즐김이.
주003)
업슬:없으므로.
주004)
리샤:버리시어.
주005)
보시논:보시는.
주006)
처믜:처음에. 처[初]+의.
주007)
나샤:나아가게 하시어.
주008)
가면:부유한. 가멸-[富].
주009)
아:아들의.
주010)
사오나오:사나움을. 못남을.
주011)
굿블인:엎드리게 한.
주012)
-에:-에야.
주013)
나토샤:나타내시어.
주014)
질드려:길들여.
주015)
굿블이시고:엎드리게 하시고서야.
주016)
치시니:가르치시니.
주017)
쵸:가르치되. 가르치는데.
주018)
리샤:버리심은.
주019)
굿블이샤:엎드리게 하시어.
주020)
두르믈:돌이킴을. 두르-[廻].
주021)
기드리샤:기다려서야. 기드리-+시+아+.
주022)
시 :하시는 것을.
주023)
닐옴:이른 것들은.
주024)
와:겨루어. 함께 나란히 하여. 오-[並].
주025)
모도아:모아. 모도-.
주026)
드위:뒤집어. 드위-+어.
주027)
외오:그릇되게. 외-[誤].
주028)
로미:만듦이.
주029)
외옛다가:되었다가.
주030)
나가:나아가야. 나가-+어/아+.
주031)
뉘읏븐:뉘우친. 뉘읏브-.
주032)
드위힐훠:되풀이하여. 드위힐후-+아/어.
주033)
머군:먹은. 먹-+온/운.
주034)
이:매섭게.
주035)
구지즌:꾸짖은.
주036)
훤 니:환하듯 하니.
주037)
어즈러이:어지러이.
주038)
:겹친. -[疊].
주039)
잇니라:있는 것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