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법화경언해 권2

  • 역주 법화경언해
  • 역주 법화경언해 권2
  • 신해품 제4
  • 2. 궁자의 비유 [1] 부자가 서로 떨어지다 5
메뉴닫기 메뉴열기

2. 궁자의 비유 [1] 부자가 서로 떨어지다 5


時貧窮子ㅣ 遊諸聚落야 經歷國邑야逐到其父의 所止之城니

〔본문〕

법화경언해 권2:188ㄱ

그제 貧窮 아리 해 주001)
해:
마을들에.
노녀 國邑 주002)
국읍:
나라 안의 여러 고을.
을 디나 주003)
제:
스스로의. ‘저’의 매김꼴로 평성임.
아 주004)
아:
아비의. 아비+. ‘잇논’의 의미상 임자말.
잇논 주005)
잇논:
있는. 잇-++온/운.
城에 다니 주006)
다니:
다달으니. 다-[到].

〔본문〕 그때에 가난한 아들이 마을들에 돌아다니다가 국읍을 지나 저의 아비가 있는 성에 다달았습니다.

窮子 譬困於五道야 乏功德財니라聚落은 荒淺니 譬小乘權敎고國邑은 盛麗니 譬中乘漸敎고其父所止 譬大乘正敎니 意謂在昔迷淪얫다가 因敎漸引야 遂入正道也ㅣ로다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법화경언해 권2:188ㄱ

窮子 五道 주007)
5도:
다섯 가지 생존 방식인 지옥, 아귀, 축생, 인간, 천상.
애 困야 功德財

법화경언해 권2:188ㄴ

업수믈 가비니라  거츨오 주008)
거츨오:
거칠고. 거츨-[荒].
녀트니 주009)
녀트니:
얕으니. 녙-[淺].
小乘 權敎 주010)
권교:
대승의 가르침에 들어가기 위한 방편으로 부처님이 설하신 임시 가르침.
 가비고 國邑은 盛코 빗나니 中乘 주011)
중승:
3승인 성문승, 연각승, 보살승의 중간인 연각승을 이름.
漸敎 주012)
점교:
장기간의 수행에 의해 점점 깨달음을 얻는 교법.
 가비고 그 아 잇논 주013)
:
곳은.
大乘 正敎 가비니 든 녜 몰라 디옛다가 주014)
디옛다가:
빠졌다가. 디-+어+잇+다가.
치샤 주015)
치샤:
가르치시어. 가리키시어.
漸漸 샤 주016)
샤:
끄심을. -[引].
因야 正道애 드로 주017)
드로:
듦을. 들었음을.
너기도다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궁자는 5도에 곤궁하여 공덕의 재물 없음을 비유한 것이다. 마을은 거칠고 얕으니 소승의 권교를 비유한 것이고, 국읍은 성하고 빛나니 중승의 점교를 비유한 것이고 그 아비가 있는 곳은 대승의 정교를 비유한 것이니, 뜻은 엣적에 몰라서 미혹함에 빠졌다가 가르치시어 점점 끄심을 인하여 대승의 바른 가르침에 듦을 뜻하도다.
Ⓒ 역자 | 김영배 / 2001년 10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해:마을들에.
주002)
국읍:나라 안의 여러 고을.
주003)
제:스스로의. ‘저’의 매김꼴로 평성임.
주004)
아:아비의. 아비+. ‘잇논’의 의미상 임자말.
주005)
잇논:있는. 잇-++온/운.
주006)
다니:다달으니. 다-[到].
주007)
5도:다섯 가지 생존 방식인 지옥, 아귀, 축생, 인간, 천상.
주008)
거츨오:거칠고. 거츨-[荒].
주009)
녀트니:얕으니. 녙-[淺].
주010)
권교:대승의 가르침에 들어가기 위한 방편으로 부처님이 설하신 임시 가르침.
주011)
중승:3승인 성문승, 연각승, 보살승의 중간인 연각승을 이름.
주012)
점교:장기간의 수행에 의해 점점 깨달음을 얻는 교법.
주013)
:곳은.
주014)
디옛다가:빠졌다가. 디-+어+잇+다가.
주015)
치샤:가르치시어. 가리키시어.
주016)
샤:끄심을. -[引].
주017)
드로:듦을. 들었음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