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법화경언해 권2

  • 역주 법화경언해
  • 역주 법화경언해 권2
  • 비유품 제3
  • 비유품 서문
메뉴닫기 메뉴열기

비유품 서문



법화경언해 권2:1ㄴ

譬者 引淺况深이오 喻者 托言訓曉ㅣ니 由前法說엣 示多方便샤미 皆爲一乗야 上智 已悟고 中根은 未解故로 引三車一門之淺샤 以況三乘一道之深샤 而訓曉焉시니 故로 名譬喻品이라 經에 有九喻시니 謂火宅과 窮子와 藥草와 化城과 繫珠와 鑿井과 王髻와 父少와 醫師ㅣ니 舊엔 唯言七喻고 遺却鑿井父少二喻야 謂是旁出이라 니 實非旁也ㅣ니라 喻說文이 二니

법화경언해 권2:2ㄱ

初 法說緒餘ㅣ오 二 喻說正文이라 然이나 法說緒餘 合聯前品之末코 喻說名題 合標緒餘之後ㅣ어 而分品이 似濫者 身子ㅣ 旣自領悟法說야 欲以悟人故로 陳悟喜之意야 而爲機起疑야 發茲喻說니 然則悟喜等意ㅣ 乃爲喻說之由 宜屬此品니 文不爲濫니라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법화경언해 권2:2ㄱ

譬 녇가오닐 주001)
녇가오닐:
얕은 것을. 녇-[淺]+은+이+ㄹ.
주002)
:
끌어. -[引].
기프닐 가빌씨오 주003)
가빌씨오:
비유하는 것이고. 가비-+ ++ㅣ+고. 서술격 ‘이’ 뒤에서 ㄱ 탈락 혹은 ㄱ 약화 표기.
喩는 마 브터 쳐 알욀씨니 주004)
알욀씨니:
알리는 것이니. 알외-.
알 法說엣 한 方便 뵈샤미 주005)
뵈샤미:
보이심이. 뵈-+시+옴/움+이.
一乘 주006)
1승:
1불승. 부처님의 교법.
샤 주007)
샤:
하심을. -[爲]+시+옴/움+.
브터 上智 마 알오 주008)
알오:
알고. ㄹ 아래 ㄱ 탈락 또는 ㄱ 약화 표기.
中根은 아디 주009)
아디:
알지.

법화경언해 권2:2ㄴ


주010)
몯:
못하므로. 몯-+ㄹ.
술위 주011)
술위:
수레.
 門 녇가오 샤 三乘一道 기프믈 가비샤 쳐 알외시니 그럴 일후미 譬喩品이라 經에 아흡 喩ㅣ 겨시니 火宅과 窮子와 藥草와 化城과 繫珠와 鑿井과 王髻와 父少와 醫師 니니 주012)
니니:
이르니. 니-[謂].
녜 주013)
녜:
옛날은. 녜[昔].
오직 닐굽 喩를 니고 鑿井과 父少와 두 喩를 려 주014)
려:
버리고. 리-[捨].
겨트로 주015)
겨트로:
곁으로.
나니라 주016)
나니라:
나니라. 난 것이다.
니니 實엔 겨티 아니라 喩說文이 二니 初 法說 주017)
법설:
법설주. 법화경의 방편품과 비유품의 설법.
귿 주018)
귿:
끝.
나니오 주019)
나니오:
남은 것이고. 남-++이+Ø+고.
二 喩說 주020)
유설:
비유설주. 법화경의 비유품, 신해품, 약초유품, 수기품 등을 이름.
엣 正 그리라 주021)
그리라:
글이다.
그러나 法說엣 귿 나닌 주022)
나닌:
남은 것은.
前品ㅅ 그테 니미 주023)
니미:
이음이. -[續]+옴/움+이.
올코 喩說이라 일훔 지호 주024)
일훔 지호:
이름 붙임은. 이름 지음은. 짛-.
緖餘ㅅ 後에 나토미 주025)
나토미:
나타냄이. 낱-+옴/움+이.
올커늘 品 호미 주026)
호미:
나눔이. 호-[分].
주027)
왼:
그른. 외-[誤].
호 주028)
호:
듯함은. -.
身子ㅣ 마 주029)
제:
스스로가. :제(상성). 저+ㅣ(주격). 스스로의. 제(평성). 저+ㅣ(관형격).
法說을 領悟 주030)
영오:
깨달아 알게 됨.
야  알외오져  아라 깃븐 주031)
깃븐:
기쁜. 깃브-[喜].
들 주032)
들:
뜻을. [意].
펴 機

법화경언해 권2:3ㄱ

爲야 疑心을 니와다 주033)
니와다:
일으켜. 니왇-.
이 喩說을 니르와니 그러면 아라 깃논 주034)
깃논:
기뻐하는. -[喜]++온/운.
히 주035)
히:
뜻들이. ‘-’은 복수 접미사.
喩說의 젼 주036)
젼:
까닭이. 젼[詮次].
욀 이 주037)
품:
불경의 내용을 편(篇)이나 장(章)으로 나눈 것.
에 屬호미 올니 文이 외디 주038)
외디:
그르지.
아니니라 주039)
아니니라:
아니하니라. 아니한 것이다.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비’는 얕은 것을 끌어서 깊은 것을 비유하는 것이고, ‘유’는 말을 의지해서 가르쳐 알리는 것이니, 앞의 법설에서 많은 방편을 보이신 것이 다 일승 위하심을 말미암아, 상지는 이미 알고, 중근은 알지 못하므로 세 수레 한 문의 얕은 것을 끌어서 3승 1도의 깊음을 비유하시어 가르쳐 알리시니, 그러므로 이름이 비유품이다. 이 법화경에 아홉 가지 비유가 있으니, 화택유와 궁자유와 약초유와 화성유와 계주유와 착정유와 왕계유와 부소유와 의사유를 이르니, 옛날에는 오직 일곱 유만을 이르고, 착정유와 부소유의 두 유를 버리고 이것은 곁으로 난 것이라 하니, 사실에는 곁이 아니다. 유설문이 2이니, 처음은 법설문의 끝 남은 것이고, 둘은 유설문의 바른 글이다. 그러나 법설문 끝의 남은 것은 앞 품의 이음이 옳고 유설문이라고 이름 지은 것은 끝에 나타냄이 옳거늘, 품 나눔이 그른 듯한 것은 사리불이 이미 스스로가 법설을 깨달아 남에게 알리고자 하므로 〈자기가〉 알아서 기쁜 뜻을 펴 근기를 위하여 의심을 일으켜 이 유설문을 일으키니, 그런 즉 알고 기뻐하는 뜻이 유설문의 까닭이 되므로 이 품에 속하는 것이 옳으니, 글이 그르지 아니한 것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1년 10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녇가오닐:얕은 것을. 녇-[淺]+은+이+ㄹ.
주002)
:끌어. -[引].
주003)
가빌씨오:비유하는 것이고. 가비-+ ++ㅣ+고. 서술격 ‘이’ 뒤에서 ㄱ 탈락 혹은 ㄱ 약화 표기.
주004)
알욀씨니:알리는 것이니. 알외-.
주005)
뵈샤미:보이심이. 뵈-+시+옴/움+이.
주006)
1승:1불승. 부처님의 교법.
주007)
샤:하심을. -[爲]+시+옴/움+.
주008)
알오:알고. ㄹ 아래 ㄱ 탈락 또는 ㄱ 약화 표기.
주009)
아디:알지.
주010)
몯:못하므로. 몯-+ㄹ.
주011)
술위:수레.
주012)
니니:이르니. 니-[謂].
주013)
녜:옛날은. 녜[昔].
주014)
려:버리고. 리-[捨].
주015)
겨트로:곁으로.
주016)
나니라:나니라. 난 것이다.
주017)
법설:법설주. 법화경의 방편품과 비유품의 설법.
주018)
귿:끝.
주019)
나니오:남은 것이고. 남-++이+Ø+고.
주020)
유설:비유설주. 법화경의 비유품, 신해품, 약초유품, 수기품 등을 이름.
주021)
그리라:글이다.
주022)
나닌:남은 것은.
주023)
니미:이음이. -[續]+옴/움+이.
주024)
일훔 지호:이름 붙임은. 이름 지음은. 짛-.
주025)
나토미:나타냄이. 낱-+옴/움+이.
주026)
호미:나눔이. 호-[分].
주027)
왼:그른. 외-[誤].
주028)
호:듯함은. -.
주029)
제:스스로가. :제(상성). 저+ㅣ(주격). 스스로의. 제(평성). 저+ㅣ(관형격).
주030)
영오:깨달아 알게 됨.
주031)
깃븐:기쁜. 깃브-[喜].
주032)
들:뜻을. [意].
주033)
니와다:일으켜. 니왇-.
주034)
깃논:기뻐하는. -[喜]++온/운.
주035)
히:뜻들이. ‘-’은 복수 접미사.
주036)
젼:까닭이. 젼[詮次].
주037)
품:불경의 내용을 편(篇)이나 장(章)으로 나눈 것.
주038)
외디:그르지.
주039)
아니니라:아니하니라. 아니한 것이다.
책목차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