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남명집언해 제2

  • 역주 남명집언해
  • 남명집언해 하
  • 제262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262


種性이 邪커늘 更遇邪師니 病轉加도다 開明

남명집언해 하:46ㄴ

若遇眞知識면 縱令枯木이라도 亦生花리라
Ⓒ 구결 | 학조 / 1482년 월 일

種性 주001)
종성(種性):
타고난 본성.
이 邪커늘 주002)
-커늘:
-ㄴ 데다가. ‘-’는 강조의 보조사. 체언, 조사, 어말어미, 선어말어미 뒤에 두루 붙음.
 邪 스을 맛나니 주003)
맛나니:
‘맛나-’는 ‘맞-[迎. 逢]+나-[出]’로 구성. 8종성표기법.
病이 더욱 더으도다 여러 길 주004)
길:
-[明]+이(사동접미사)+ㄹ.
眞實ㅅ 知識 다가 맛나면 비록 이운 주005)
이운:
이울-[彫]+ㄴ.
남기라도 주006)
남기라도:
나모/+이라도(보조사). 기저문에 주어가 있는 것으로 보아 서술격조사의 활용형으로 기술할 수도 있다.
주007)
곳:
곶→곳. 8종성표기법.
프게 주008)
프게:
프-[開花]+게. ‘프-’와 ‘픠-’가 다 쓰였음.
리라
【주】 곰 여다 호 어득 주009)
어득:
어근 ‘어득’은 원래 부사였을 것으로 보인다.
 여러낼 시라 비록 이운 남기라도  곳 프게 다 호 너를 여러 게 호미 이운 남긔 주010)
남긔:
나모/+의. 이른바 ㄱ곡용명사. ‘-의’는 관형격조사와 모습이 같은 특수처소부사격조사.
주011)
품:
프-[開花]+우+ㅁ.
티  시라 주012)
성(性):
나면서부터 가진 본연의 성품.
에 邪 주013)
습(習):
습관. 버릇.
주014)
훈(熏):
熏習(훈습). 향이 옷에 배듯이 진여(眞如)를 몸에 익혀감.
야 正 道ㅅ 주015)
도(道)ㅅ:
무정 체언이나 높임의 대상인 체언 뒤에서는 관형격조사로 ‘-ㅅ’이 놓임.
주016)
엄:
움. 싹[芽].
업슬 주017)
업슬:
각자병서를 폐지한 「원각경언해」부터 ‘-ㄹ’를 ‘-ㄹ’로 적음.
이운 남기라 니시니라
Ⓒ 언해 | 학조 / 1482년 월 일

종성(種性)이 나쁜 데다가 또 나쁜 스승을 만나니, 병이 더욱 심해지도다. 열어서 밝힐 진실한 지식을 만약 만나면 비록 시든 나무라도 또 꽃 피게 할 것이다.
【주】 밝음을 열다 함은 어둑한 곳을 열어 내는 것이다. 비록 시든 나무라도 또 꽃이 피게 한다 함은 너를 열어 밝게 함이 시든 나무에 꽃이 핌같이 한다는 것이다. 성(性)에 나쁜 습(習)을 훈하여 정(正)한 도(道)의 움(싹)이 없으므로 시든 나무라 이르시니라.
Ⓒ 역자 | 이유기 / 2002년 9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종성(種性):타고난 본성.
주002)
-커늘:-ㄴ 데다가. ‘-’는 강조의 보조사. 체언, 조사, 어말어미, 선어말어미 뒤에 두루 붙음.
주003)
맛나니:‘맛나-’는 ‘맞-[迎. 逢]+나-[出]’로 구성. 8종성표기법.
주004)
길:-[明]+이(사동접미사)+ㄹ.
주005)
이운:이울-[彫]+ㄴ.
주006)
남기라도:나모/+이라도(보조사). 기저문에 주어가 있는 것으로 보아 서술격조사의 활용형으로 기술할 수도 있다.
주007)
곳:곶→곳. 8종성표기법.
주008)
프게:프-[開花]+게. ‘프-’와 ‘픠-’가 다 쓰였음.
주009)
어득:어근 ‘어득’은 원래 부사였을 것으로 보인다.
주010)
남긔:나모/+의. 이른바 ㄱ곡용명사. ‘-의’는 관형격조사와 모습이 같은 특수처소부사격조사.
주011)
품:프-[開花]+우+ㅁ.
주012)
성(性):나면서부터 가진 본연의 성품.
주013)
습(習):습관. 버릇.
주014)
훈(熏):熏習(훈습). 향이 옷에 배듯이 진여(眞如)를 몸에 익혀감.
주015)
도(道)ㅅ:무정 체언이나 높임의 대상인 체언 뒤에서는 관형격조사로 ‘-ㅅ’이 놓임.
주016)
엄:움. 싹[芽].
주017)
업슬:각자병서를 폐지한 「원각경언해」부터 ‘-ㄹ’를 ‘-ㄹ’로 적음.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