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남명집언해 제2

  • 역주 남명집언해
  • 남명집언해 하
  • 제206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206


第一迦葉이 首傳燈시니 糞掃爲衣야 自知足시다 只因起舞洩天機샤 直至而今에 遭齒錄시니라
Ⓒ 구결 | 학조 / 1482년 월 일

남명집언해 하:23ㄱ

第一 迦葉 주001)
가섭(迦葉):
불제자 중 가섭이란 이름을 쓰는 이는 마하가섭, 우루빈라가섭, 가야가섭, 나뎨가섭, 십력가섭 다섯 분. 제1가섭은 이 중 마하가섭을 가리킴.
이 처 브를 주002)
브를:
불을 전하는 것은 법맥(法脈)을 전하는 것을 가리킴. 등불은 교법.
傳시니 주003)
:
똥[糞].
론 주004)
론:
-[掃]+오/우+ㄴ.
거스로 오 샤 걔 주005)
걔:
갸+ㅣ(주격조사). ‘갸’는 높임의 3인칭대명사.
足 아시다 주006)
아시다:
알-[知]+시+다.
오직 니러 주007)
니러:
닐-[起]+어.
주008)
춤:
츠-[舞]+우+ㅁ(명사파생접미사).
주009)
처:
츠-[舞]+어.
天機 漏洩호 因샤 바 주010)
바:
바-[直]+∅(부사파생접미사).
이제 주011)
이제:
이(관형사)+제(의존명사). 음절부음 [j]로 끝나는 체언 중 시간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말 뒤에는 부사격조사 ‘-예’가 나타나지 않는다.
니르리 주012)
니르리:
니를-[至]+이(부사형 어미). 이 ‘-이’는 접미사로 볼 수 없다. ‘니르리’가 주어나 부사어와 호응하기 때문이다.
이베 닐오 맛나시니라 주013)
맛나시니라:
‘맛나-’는 ‘맞-[迎. 逢]+나-[出]’로 구성. 16세기에는 자음동화가 표기에 반영된 ‘만나-[逢]’도 나타남.
【주】 둘짯 句 文彩 주014)
문채(文彩):
아름다운 광채. 무늬.
업스며 머리 업서 傳며 受논 門에 디디 주015)
디디:
디-[落]+디.
아니 시라 三四 句 文彩 비르서 주016)
비르서:
비릇-[始]+어(연결어미). 동사의 활용형이 부사로 굳어짐. 파생접사 ‘-오’에 의해 형성된 ‘비르소’와 공존.
나며 주017)
나며:
낱-[現]+며.
머리리 마 나니 傳며 受 門에 디여 주018)
디여:
디-[落]+어. /ㅣ/ 순행동화 또는 반자음 개입에 의한 모음충돌회피.
잇  시라
Ⓒ 언해 | 학조 / 1482년 월 일

제1가섭이 처음 불을 전하시니, 똥을 쓴[掃] 것으로 옷을 만드시어 당신께서 족함을 아셨다. 오직 일어나 춤을 추어 천기 누설함을 인하시어 바로 지금에 이르도록 입에(입으로) 설함을 만나시니라.
【주】 둘째 구는 문채가 없으며 머리뿔이 없어 전하며 받는 문에 떨어지지 아니하는 것이다. 3, 4구는 문채가 비로소 나타나며 머리뿔이 이미 나타나니, 전하며 받는 문에 떨어져 있는 듯한 것이다.
Ⓒ 역자 | 이유기 / 2002년 9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가섭(迦葉):불제자 중 가섭이란 이름을 쓰는 이는 마하가섭, 우루빈라가섭, 가야가섭, 나뎨가섭, 십력가섭 다섯 분. 제1가섭은 이 중 마하가섭을 가리킴.
주002)
브를:불을 전하는 것은 법맥(法脈)을 전하는 것을 가리킴. 등불은 교법.
주003)
:똥[糞].
주004)
론:-[掃]+오/우+ㄴ.
주005)
걔:갸+ㅣ(주격조사). ‘갸’는 높임의 3인칭대명사.
주006)
아시다:알-[知]+시+다.
주007)
니러:닐-[起]+어.
주008)
춤:츠-[舞]+우+ㅁ(명사파생접미사).
주009)
처:츠-[舞]+어.
주010)
바:바-[直]+∅(부사파생접미사).
주011)
이제:이(관형사)+제(의존명사). 음절부음 [j]로 끝나는 체언 중 시간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말 뒤에는 부사격조사 ‘-예’가 나타나지 않는다.
주012)
니르리:니를-[至]+이(부사형 어미). 이 ‘-이’는 접미사로 볼 수 없다. ‘니르리’가 주어나 부사어와 호응하기 때문이다.
주013)
맛나시니라:‘맛나-’는 ‘맞-[迎. 逢]+나-[出]’로 구성. 16세기에는 자음동화가 표기에 반영된 ‘만나-[逢]’도 나타남.
주014)
문채(文彩):아름다운 광채. 무늬.
주015)
디디:디-[落]+디.
주016)
비르서:비릇-[始]+어(연결어미). 동사의 활용형이 부사로 굳어짐. 파생접사 ‘-오’에 의해 형성된 ‘비르소’와 공존.
주017)
나며:낱-[現]+며.
주018)
디여:디-[落]+어. /ㅣ/ 순행동화 또는 반자음 개입에 의한 모음충돌회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