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남명집언해 제2

  • 역주 남명집언해
  • 남명집언해 하
  • 제196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196


大施門開야 無擁塞니 不厭流泉며 不愛山놋다 面帶塵灰고 頭似雪니 步行騎馬야 過潼關도다
Ⓒ 구결 | 학조 / 1482년 월 일

주001)
키:
크-[大]+이(부사파생접사). 파생명사는 ‘크-[大]+의(명사파생접사)’로 이루어진 ‘킈’이다.
주 門 여러 마곰 업스니 흐르 주002)
흐르:
흐르-[流]++ㄴ.
므를 아쳗디 주003)
아쳗디:
아쳗-[厭]+디.
아니며 뫼 주004)
뫼:
뫼ㅎ+. ‘뫼ㅎ’은 ㅎ말음체언.
디 주005)
디:
-[愛]+디(보조적 연결어미). ‘-’과 ‘오-’가 의미 차이가 없이 쓰이는 듯한데, ‘·다’와 ‘:오·다’로 성조의 차이를 보인다. ‘-’은 8종성표기법에 따라 자음 어미 앞에서 ‘-’으로 적힌다.
아니놋다 주006)
아니놋다:
‘-놋다’는 ‘+옷(감탄 선어말어미)+다’. ‘-놋-’을 ‘+오(화자 초점 표지)+ㅅ(감탄 선어말어미)’로 기술하지 않는 것은 ‘-놋다’가 비화자 주어문에 쓰이기 때문이다.
 주007)
:
[面]+(특수처소부사격조사). ‘-/의’는 관형격조사와 형태가 같은 부사격조사. 이를 취하는 체언은 따로 정해져 있음.
듣글와 주008)
듣글와:
듣글[塵]+과. /ㄹ/ 뒤에서 /ㄱ/이 약화.
 오 주009)
오:
-帶]+고. 하향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뒤에서 /ㄱ/ 약화.
머리 눈 니 거러 니며  타 潼關 주010)
동관(潼關):
중국 협서(陜西)·산서(山西)·하남(河南) 삼성(三省)의 요충지에 세운 관문. 화주(華州) 화음현(華陰縣)에 있다.
 디나도다
【주】 흐르 므른 주011)
므른:
믈[水]+은. ‘믈’은 근대국어 시기에 원순모음화. 양순음 /ㅁ, ㅂ, ㅍ, /의 영향으로 평순모음 /ㅡ/가 원순모음 /ㅜ/로 변화함. 인접순행동화. 중세국어의 ‘물’은 [群]을 뜻함.
化門이오 주012)
화문(化門)이오:
화문(化門)+이+고. 서술격조사 어간 뒤에서 /ㄱ/ 약화.
뫼 證 주013)
증(證):
깨달음.
주014)
혼:
-+오/우+ㄴ.
고디라 주015)
고디라:
곧[處]+이(서술격조사)+라.
세짯 句 녜 途中에 이쇼미오 주016)
이쇼미오:
이시-[有]+오+ㅁ+이+고.

남명집언해 하:19ㄱ

짯 句 집 여희디 아니호미라 거러니다 주017)
거러니다:
합성동사. ‘니다’는 ‘-[走]+니-[行]+다’로 형성되었으나, ‘-’은 [走]의 의미를 벗어나게 되었고, ‘니-’는 접사적 성격으로 변화하여 동작의 [지속]을 의미하게 됨.
호 生死 긼 가온 발 드딀 주018)
드딀:
드듸-[踏]+ㄹ.
시라  다 호 발 드듼  업슬 시라 潼關 디나다 호 집 여희디 아니 시라
Ⓒ 언해 | 학조 / 1482년 월 일

크게 주는 문을 열어 막음이 없으니 흐르는 물을 싫어하지 아니하며 산을 사랑하지 아니하도다. 낯에 티끌과 재를 두르고 머리는 눈(雪) 같으니, 걸어다니며 말을 타 동관을 지나도다.
【주】 흐르는 물은 화문이고 산은 깨달은 곳이다. 셋째 구는 늘 길 위에 있음이고 넷째 구는 집 여의지 아니함이다. 걸어다니다 함은 생사의 길 가운데 발 디디는 것이다. 말을 탄다 함은 발 디딘 마음이 없는 것이다. 동관을 지난다 함은 집을 여의지 아니하는 것이다.
Ⓒ 역자 | 이유기 / 2002년 9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키:크-[大]+이(부사파생접사). 파생명사는 ‘크-[大]+의(명사파생접사)’로 이루어진 ‘킈’이다.
주002)
흐르:흐르-[流]++ㄴ.
주003)
아쳗디:아쳗-[厭]+디.
주004)
뫼:뫼ㅎ+. ‘뫼ㅎ’은 ㅎ말음체언.
주005)
디:-[愛]+디(보조적 연결어미). ‘-’과 ‘오-’가 의미 차이가 없이 쓰이는 듯한데, ‘·다’와 ‘:오·다’로 성조의 차이를 보인다. ‘-’은 8종성표기법에 따라 자음 어미 앞에서 ‘-’으로 적힌다.
주006)
아니놋다:‘-놋다’는 ‘+옷(감탄 선어말어미)+다’. ‘-놋-’을 ‘+오(화자 초점 표지)+ㅅ(감탄 선어말어미)’로 기술하지 않는 것은 ‘-놋다’가 비화자 주어문에 쓰이기 때문이다.
주007)
:[面]+(특수처소부사격조사). ‘-/의’는 관형격조사와 형태가 같은 부사격조사. 이를 취하는 체언은 따로 정해져 있음.
주008)
듣글와:듣글[塵]+과. /ㄹ/ 뒤에서 /ㄱ/이 약화.
주009)
오:-帶]+고. 하향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뒤에서 /ㄱ/ 약화.
주010)
동관(潼關):중국 협서(陜西)·산서(山西)·하남(河南) 삼성(三省)의 요충지에 세운 관문. 화주(華州) 화음현(華陰縣)에 있다.
주011)
므른:믈[水]+은. ‘믈’은 근대국어 시기에 원순모음화. 양순음 /ㅁ, ㅂ, ㅍ, /의 영향으로 평순모음 /ㅡ/가 원순모음 /ㅜ/로 변화함. 인접순행동화. 중세국어의 ‘물’은 [群]을 뜻함.
주012)
화문(化門)이오:화문(化門)+이+고. 서술격조사 어간 뒤에서 /ㄱ/ 약화.
주013)
증(證):깨달음.
주014)
혼:-+오/우+ㄴ.
주015)
고디라:곧[處]+이(서술격조사)+라.
주016)
이쇼미오:이시-[有]+오+ㅁ+이+고.
주017)
거러니다:합성동사. ‘니다’는 ‘-[走]+니-[行]+다’로 형성되었으나, ‘-’은 [走]의 의미를 벗어나게 되었고, ‘니-’는 접사적 성격으로 변화하여 동작의 [지속]을 의미하게 됨.
주018)
드딀:드듸-[踏]+ㄹ.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