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1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1집(효자도 권1,2,3,4)
  • 동국신속삼강행실 효자도 제3권 주해
  • 효자도 제3권
  • 백화여묘(伯和廬墓)
메뉴닫기 메뉴열기

백화여묘(伯和廬墓)


3 : 81ㄱ

伯和廬墓

3 : 81ㄴ

禦侮將軍閔伯和開城府人年七十二遭父母喪廬墓三年一不到家 康靖大王昇遐心喪三年 恭僖大王朝㫌門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어모쟝군 민화 셩부 사이라 주001)
어모쟝군 민화 셩부 사이라:
어모장군 민백화는 개성부 사람이다. 단모음화를 거치면서 ‘어모쟝군〉어모장군’으로 소리가 단순화되었다.
나히 닐흔둘헤 부모 상 만나 무덤의 집 지어 잇기 삼년을 고  적도 집의 니디 아니더라 강졍대왕 승하의 심상 삼년을 니라 공희대왕됴애 졍문시니라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백화여묘 - 민백화가 여묘를 지키다
어모장군 주002)
어모장군(禦侮將軍):
조선 시대에서 정3품 당하관의 무관 품계. 무산계의 수여대상은 향리·노병사·탐라 왕족·여진 추장·공장·악인 등 매우 다양한 계층이었다. 특히 탐라 왕족과 여진 추장의 경우에는 그들의 왕족이나 추장으로서의 지위를 고려 왕실이 보증하는 구실을 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그들로서는 영예로운 무산계를 받음으로써 그들 집단에 대해 권력을 과시하게 하는 작용도 하였을 것이다.
민백화는 개성부 사람이다. 나이 일흔둘에 부모상을 당하여 무덤에 집을 짓고 삼 년을 시묘하고 한 번도 집에 다닌 적이 없었다. 강정대왕 승하에 심상 삼 년을 하였다. 공희대왕 시절 정문을 세웠다.
Ⓒ 역자 | 정호완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어모쟝군 민화 셩부 사이라:어모장군 민백화는 개성부 사람이다. 단모음화를 거치면서 ‘어모쟝군〉어모장군’으로 소리가 단순화되었다.
주002)
어모장군(禦侮將軍):조선 시대에서 정3품 당하관의 무관 품계. 무산계의 수여대상은 향리·노병사·탐라 왕족·여진 추장·공장·악인 등 매우 다양한 계층이었다. 특히 탐라 왕족과 여진 추장의 경우에는 그들의 왕족이나 추장으로서의 지위를 고려 왕실이 보증하는 구실을 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그들로서는 영예로운 무산계를 받음으로써 그들 집단에 대해 권력을 과시하게 하는 작용도 하였을 것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