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1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1집(효자도 권1,2,3,4)
  • 동국신속삼강행실 효자도 제1권 주해
  • 효자도 제1권
  • 종문집상(宗文執喪)
메뉴닫기 메뉴열기

종문집상(宗文執喪)


1:17ㄱ

宗文執喪

1:17ㄴ

鄭宗文彦陽縣人 連遭父母喪哀毁過禮 居廬三年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뎡종문은 언양현 사이니 년여 부모상을 만나 주001)
년여 부모상을 만나:
잇달아 부모상을 입어. 구개음화된 소리를 음절 머리에서 피하려는 두음법칙을 따라서 ‘년여〉연하여’로 소리가 변동하였다.
훼호믈 녜예 넘게 고 주002)
녜예 넘게 고:
예에 넘치게 하고. 두음회피현상에 따라서 ‘녜〉예’가 되었다. 두음법칙은 낱말 첫머리에서 발음하기 까다로운 자음을 발음하기 쉽게 고치는 음운규칙이다. 국어의 낱말 첫머리에는 두 개 이상의 자음군이 올 수 없고 반모음 ‘이’로 시작되는 이중모음 앞에 ‘ㄴ’도 올 수 없다. 그래서 이러한 자음이나 자음군이 낱말 첫머리에 놓이면 이들을 발음하기 쉽게 바꾸게 된다. 말하자면 이러한 자음들이나 어두 자음군이 낱말 첫머리에 놓이면 이들을 발음하기 쉬운 소리로 바꾸게 된다. 그 전제는 이러하다. (1)그 자음을 떨어뜨린다. (2)그 자음을 다른 자음으로 바꾼다. (3)그 자음의 앞이나 뒤에 모음을 끼워 넣는다.
시묘 삼년을 다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종문집상 - 정종문이 부모상을 만나다
정종문은 언양현 사람이다. 잇달아 부모상을 만나 슬퍼함을 예도에 넘치게 하고 시묘 삼 년을 하였다.
Ⓒ 역자 | 정호완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년여 부모상을 만나:잇달아 부모상을 입어. 구개음화된 소리를 음절 머리에서 피하려는 두음법칙을 따라서 ‘년여〉연하여’로 소리가 변동하였다.
주002)
녜예 넘게 고:예에 넘치게 하고. 두음회피현상에 따라서 ‘녜〉예’가 되었다. 두음법칙은 낱말 첫머리에서 발음하기 까다로운 자음을 발음하기 쉽게 고치는 음운규칙이다. 국어의 낱말 첫머리에는 두 개 이상의 자음군이 올 수 없고 반모음 ‘이’로 시작되는 이중모음 앞에 ‘ㄴ’도 올 수 없다. 그래서 이러한 자음이나 자음군이 낱말 첫머리에 놓이면 이들을 발음하기 쉽게 바꾸게 된다. 말하자면 이러한 자음들이나 어두 자음군이 낱말 첫머리에 놓이면 이들을 발음하기 쉬운 소리로 바꾸게 된다. 그 전제는 이러하다. (1)그 자음을 떨어뜨린다. (2)그 자음을 다른 자음으로 바꾼다. (3)그 자음의 앞이나 뒤에 모음을 끼워 넣는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