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1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1집(효자도 권1,2,3,4)
  • 동국신속삼강행실 효자도 제4권 주해
  • 효자도 제4권
  • 주신불식(舟臣不食)
메뉴닫기 메뉴열기

주신불식(舟臣不食)


4 : 16ㄱ

舟臣不食

4 : 16ㄴ

鄭舟臣廣州人其父誠謹遭燕山甲子之禍號擗不食而死 恭僖大王朝㫌門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뎡쥬신은 광 사이라 그 아비 셩근이 연산 갑년 화 만나 울고 가 두드리고 주001)
가 두드리고:
가슴을 두드리고. 모음조화가 문란해지면서 ‘가〉가슴’으로 쓰이게 된다. 아래아는 이상적인 문자라는 주장을 하는 설도 있으나 훈민정음의 기록을 보고 범어를 보면, 모음의 중심에 아래아/ㆍ/ 가 있다. 이를 다시 살려 써야 옳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갖는다.
밥을 아니 머거 주그니라 공희대왕됴애 졍문시니라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주신불식 - 정주신이 밥을 아니 먹다
정주신은 광주 사람이다. 그 아비 성근이 연산군 갑자년에 사화를 당하거늘 울고 가슴을 치고 〈슬퍼하며〉 밥을 안 먹었더라. 공희대왕(중종) 때 정문을 내렸다.
Ⓒ 역자 | 정호완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가 두드리고:가슴을 두드리고. 모음조화가 문란해지면서 ‘가〉가슴’으로 쓰이게 된다. 아래아는 이상적인 문자라는 주장을 하는 설도 있으나 훈민정음의 기록을 보고 범어를 보면, 모음의 중심에 아래아/ㆍ/ 가 있다. 이를 다시 살려 써야 옳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갖는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