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1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1집(효자도 권1,2,3,4)
  • 동국신속삼강행실 효자도 제1권 주해
  • 효자도 제1권
  • 함부성효(咸富誠孝)
메뉴닫기 메뉴열기

함부성효(咸富誠孝)


1:7ㄱ

咸富誠孝

1:7ㄴ

咸富南海縣人 狼山島民能宣之女也 父死殯于寢室 五月供膳 無異平生 高麗成宗朝 㫌門免役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함부 남현 사이니 낭산셤 셩 능션의 이라 아비 죽거 침실의 빈소고 다 을 졔기 평과 달리 아니니라 고려 셩종됴애 주001)
셩종됴애:
성종 조에. 단모음화와 구개음화를 거치면서 ‘셩죵됴〉성종조’로 소리가 단순화되었다. 부사격 조사 ‘-애’는 모음조화를 따라서 쓰인 부사격 조사다. 모음조화 현상은 우리 국어의 음운론적으로 두드러진 특징이다.
졍문 면역시니라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함부성효 - 함부가 정성으로 효도하다
함부는 남해현 사람으로 낭산섬 백성 능선의 딸이다. 아버지가 돌아가매 침실에 빈소를 정하고 다섯 달을 제사하기를 평소와 같이 하였다. 고려 성종조에 정문을 세우고 부역을 면해 주었다.
Ⓒ 역자 | 정호완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셩종됴애:성종 조에. 단모음화와 구개음화를 거치면서 ‘셩죵됴〉성종조’로 소리가 단순화되었다. 부사격 조사 ‘-애’는 모음조화를 따라서 쓰인 부사격 조사다. 모음조화 현상은 우리 국어의 음운론적으로 두드러진 특징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