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1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1집(효자도 권1,2,3,4)
  • 동국신속삼강행실 효자도 제2권 주해
  • 효자도 제2권
  • 이요여묘(李瑤廬墓)
메뉴닫기 메뉴열기

이요여묘(李瑤廬墓)


2 : 35ㄱ

李瑤廬墓

2 : 35ㄴ

正憲大夫李瑤陜川郡人丁母憂廬墓三年 㫌閭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졍헌태우 니요 합쳔군 사이라 주001)
졍헌태우 니요 합천군 사이라:
정헌대부 이요는 합천군 사람이라. 비읍의 약화 탈락을 따라서 ‘대부〉대〉대우’가 되었다. 일종의 음운탈락이 일어난 것이다. 이를 음운 중심으로 정리하면 ‘ㅂ〉ㅸ〉ㅇ’으로 변천하였다. 이러한 중간자음 ㅂ은 아직도 경상방언에 따라서는 변하지 않고 그대로 쓰이는 지역이 있다. 말하자면, ‘누이-누부, 누에-니비, 추워-추버, 매워-매버’와 같이 옛말이 그대로 쓰이는 경우도 있다. 표준어 지역에서는 이미 ㅂ 순경음으로 쓰이다 소리값이 없이 실현되었다. 일종의 음운탈락이다.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태조 1년(1392) 7월 문산계(文散階)의 품계인 정헌대부·자헌대부가 제정되어 『경국대전』에 그대로 수록되었다. 정2품에 해당되는 관직으로는 우참찬·지사·판서·판윤·대제학·세자좌빈객·세자우빈객·도총관·제조 등이 해당한다. 말하자면, 이순신 장군이 임진왜란이 끝난 뒤 정헌대부의 품계를 받았다. 문산계는 고려 시대 문관의 위계제도를 이른다. 관원들의 지위와 신분을 나타내는 공적 질서체계였다. 이러한 제도를 중국으로부터 들여와 정식으로 제도화한 것은 성종 14년(995)의 일이다. 그러나 이전에도 이러한 기능을 하는 계층이 있어 왔다.
어믜 거상 니버 주002)
어믜 거상 니버:
어머니의 상을 당해. 어믜는 명사 어미에 소유격 조사 ‘-의’가 통합된 형이다.
삼년 녀묘니라 졍녀시니라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이요여묘 - 이요가 여묘를 지키다
정헌대부 이요는 합천군 사람이다. 어미의 상을 당하여 시묘 삼 년을 하였다. 정려를 받았다.
Ⓒ 역자 | 정호완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졍헌태우 니요 합천군 사이라:정헌대부 이요는 합천군 사람이라. 비읍의 약화 탈락을 따라서 ‘대부〉대〉대우’가 되었다. 일종의 음운탈락이 일어난 것이다. 이를 음운 중심으로 정리하면 ‘ㅂ〉ㅸ〉ㅇ’으로 변천하였다. 이러한 중간자음 ㅂ은 아직도 경상방언에 따라서는 변하지 않고 그대로 쓰이는 지역이 있다. 말하자면, ‘누이-누부, 누에-니비, 추워-추버, 매워-매버’와 같이 옛말이 그대로 쓰이는 경우도 있다. 표준어 지역에서는 이미 ㅂ 순경음으로 쓰이다 소리값이 없이 실현되었다. 일종의 음운탈락이다.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태조 1년(1392) 7월 문산계(文散階)의 품계인 정헌대부·자헌대부가 제정되어 『경국대전』에 그대로 수록되었다. 정2품에 해당되는 관직으로는 우참찬·지사·판서·판윤·대제학·세자좌빈객·세자우빈객·도총관·제조 등이 해당한다. 말하자면, 이순신 장군이 임진왜란이 끝난 뒤 정헌대부의 품계를 받았다. 문산계는 고려 시대 문관의 위계제도를 이른다. 관원들의 지위와 신분을 나타내는 공적 질서체계였다. 이러한 제도를 중국으로부터 들여와 정식으로 제도화한 것은 성종 14년(995)의 일이다. 그러나 이전에도 이러한 기능을 하는 계층이 있어 왔다.
주002)
어믜 거상 니버:어머니의 상을 당해. 어믜는 명사 어미에 소유격 조사 ‘-의’가 통합된 형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