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1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1집(효자도 권1,2,3,4)
  • 동국신속삼강행실 효자도 제4권 주해
  • 효자도 제4권
  • 이교성효(李郊誠孝)
메뉴닫기 메뉴열기

이교성효(李郊誠孝)


4 : 43ㄱ

李郊誠孝

4 : 43ㄴ

李郊咸安郡人性孝友父歿喪葬盡禮後服祖母喪亦廬墓墓距母家十五里許每朝夕奠輟卽往省母 恭僖大王朝 命敍用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니교 함안군 사이니 셩이 효우더니 아비 주그매 상장을 녜 다고 후의 조모 거상 닙어  시묘더니 분 어 지븨 샹게 십오리라 양 됴셕의 졔 설고 주001)
됴셕의 졔 설고:
조석의 제사를 마치고. 단모음화와 구개음화를 거치면서 ‘됴셕〉죠셕〉조석’이 되고. ‘설고’의 기본형은 ‘설다’인데, 여기에 부사형 어미 ‘-고’가 통합되었다. ¶우리 잘  서러 보아지라[我整理睡處]〈노걸대언해 상 : 25〉.
즉시 가 어미 보더라 공희대왕됴애 명야 셔용라 시니라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이교성효 - 이교가 정성으로 효도하다
이교는 함안군 사람이다. 성품이 효도롭고 우애가 있었다. 아비 돌아가매 상례와 장례의 예를 다하고, 뒤에 조모상에도 상을 당하여 또 시묘를 하였다. 무덤이 어미 집과 거리가 시오리 쯤 되었다. 매일 아침과 저녁으로 제를 마치면 즉시 가서 어미를 모시더라. 공희대왕 중종 때 명하여 서용(敍用)하라 하였다.
Ⓒ 역자 | 정호완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됴셕의 졔 설고:조석의 제사를 마치고. 단모음화와 구개음화를 거치면서 ‘됴셕〉죠셕〉조석’이 되고. ‘설고’의 기본형은 ‘설다’인데, 여기에 부사형 어미 ‘-고’가 통합되었다. ¶우리 잘  서러 보아지라[我整理睡處]〈노걸대언해 상 : 25〉.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