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1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1집(효자도 권1,2,3,4)
  • 동국신속삼강행실 효자도 제1권 주해
  • 효자도 제1권
  • 서릉감천(徐稜感天)
메뉴닫기 메뉴열기

서릉감천(徐稜感天)


1:12ㄱ

徐稜感天

1:12ㄴ

徐稜長城縣人 高麗高宗時 不仕養母 母發丁瘇于頸稜請醫來視之曰 若不得生蛙不可救稜時値臘月不得蛙號慟良久醫曰 雖無生蛙合藥試之乃熬藥于樹下忽有物從樹上墮鐺中視之乃生蛙也 醫驚曰 子之孝誠感于天 天乃賜之 母疾必瘳合藥附之立愈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셔릉은 댱셩현 사이라 고려 고종 적 벼슬 아니코 어미 치더라 어미 뎡죵을 모긔 발엳거 주001)
뎡죵을 모긔 발엳거:
악성 헌데가 목에 났거늘. 정종(丁瘇)은 헌데의 하나로서 작고 딴딴하고 뿌리가 깊이 박혀 있는 것이 쇠못과 비슷하다고 하여 일컫는 종기다. 열독이 몰려서 생기며, 처음에 좁쌀만 하게 생겼다가 벌겋게 부으며 화끈 달아오르고 심한 아픔이 생긴다. 곪아터지고 뿌리가 빠진 다음에라야 부기가 가라앉고 아픈 증세가 사라진다.
이 의원을 쳥야 와 보라 니 닐오 만일 개골이 얻디 몯면 가히 구티 몯리라 능이 시절을 섣을 만난디라 개골이 얻디 몯야 브지져 울기 오래 니 의워니 닐오 비록 개골이 업나 약을 합야 시험 거시라 이예 약글 나모 아래 달히더니 믄득 즘승이 이셔 주002)
믄득 즘승이 이셔:
문득 짐승이 있어. 원순모음화를 거쳐 ‘믄득〉문득’이 되었다. 일종의 발음의 노력경제현상으로 볼 수 있다. 원순모음화 현상은 일반적으로 순음성 자음 앞뒤에서 중설모음 ㅡ 가 올 때 ㅜ로 소리가 나는 현상이다. 원순모음화의 갈래는 흔히 두 가지로 갈린다. 먼저 양순 자음에 의한 원순모음화 ‘·〉ㅗ’현상은 양순 자음[ㅁ, ㅂ, ㅃ, ㅍ]이 동화주(同化主)가 되어 뒤에 오는 피동화 모음인 []를 원순모음인 [오]로 변화시키는 현상이다. 양순 자음에 의한 원순모음화 ‘·〉ㅗ’현상은 대체로 동화주가 되는 양순음이 피동화주 []에 앞서는 인접과 양순음과 [] 사이에 다른 음소가 존재하지 않는 순행이 동시에 나타난다. 양순 자음 뒤에서의 ‘ㅡ〉ㅜ’와 ‘·〉ㅗ’의 원순모음화 현상은 그 변화 양상을 달리한다. 양순 자음 뒤에서 ‘ㅡ’가 ‘ㅜ’로 변화하는 현상은 모든 방언에서 나타나는 공통된 현상이지만, 양순 자음 뒤에서 ‘ㆍ’가 ‘ㅗ’로 변화하는 현상은 함경북도 육진 지역의 종성, 온성, 회령 그리고 함경남도의 혜산 등과 서남방언권의 남부 지역, 경남 일부 지역에서 보이는 현상으로 중부지역에서 멀리 떨어진 변경지역에서만 발생한다. 또한 양순 자음에 의한 원순모음화 ‘·〉ㅗ’ 현상은 그 변화 시기에서도 ‘ㅡ〉ㅜ’와 차이를 보인다. 양순 자음 뒤에서의 ‘ㆍ〉ㅗ’ 원순모음화 현상을 보여주는데, 이들의 출전을 조사하면 양순 자음 뒤에서의 ‘ㆍ〉ㅗ’ 원순모음화 현상은 17세기 후기에 발생하여 18세기 중엽까지 존재해 ‘ㅡ〉ㅜ’보다 시기적으로 이른 시기에 어두에서 실현됨을 알 수 있다. ‘즘승〉짐승’은 전설모음화를 거치면서 오늘에 쓰이고 있다. 전설모음화란 현재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역사적으로 ㅈ이나 ㅊ 또는 ㅅ 아래의 ‘으’가 전설모음인 ‘이’로 바뀌는 발음경제화 현상이다. 예를 들면 ‘아츰〉아침, 거즛〉거짓’ 등에서 전설모음화 현상을 엿볼 수 있다.
나모 우 조차 탕권 가온대 러디거 주003)
탕권 가온대 러디거:
탕관(약 달이는 솥) 가운데 떨어지거늘. ‘러디거’의 기본형은 ‘러디다’인데, 여기에 구속의 연결형 어미가 통합된 형이다. 구개음화를 거치면서 ‘러디거〉떨어지거늘’로 소리내기 쉬운 말로 바뀌었다. 근대국어로 들어오면서 ㅂ계 합용병서가 ㅅ계 합용병서로 통합되었다가 다시 각자병서로 통합되면서 단일한 음가로 변동하였다.
보니 이 개고리러라 의원이 놀라 닐오 그 효셩이 하 감동니 주004)
그 효셩이 하 감동니:
그대의 효성이 하늘을 감동시키니. ‘하’의 ‘-〉-끠〉-께’로 됨은 존칭의 대격조사로 합용병서에서 자음역행동화가 일어나고 다시 단모음화를 거치면서 ‘-께’로 굳어졌다. 형태분석을 하면 소유를 드러내는 소유격의 사이시옷이 대격조사인 ‘-긔’에 유착되어 굳어진 형태로 보면 된다.
하히 이 주시도다 어믜 병이 반시 됴리로다 약의 합야 브티니 즉시 됴니라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서릉감천 - 서릉이 하늘을 감동시키다
서릉은 장성현 사람이다. 고려 고종 때 벼슬을 않고 어머니를 모셨다. 어미의 목에 종기가 났다. 이 의원을 불러서 와 보게 하니 의원이 말하였다. 만일 생개구리를 구하지 못하면 가히 낫게 하기 어렵다. 능이 시절을 섣달
(12월)
을 만났는지라 개구리를 얻지 못하여 부르짖어 울기를 오랫동안 하니, 의원이 말하기를, 비록 생개구리가 없으나 약을 합하여 시험 삼아 할 것이라 하였다. 이에 약을 나무 아래서 달이더니 문득 짐승이 있어 나무 위에서 약탕관 가운데로 떨어지거늘 보니 이 생개구리였다. 의원이 놀라 말하기를, 그대의 효성이 하늘께 감동시켜 하늘이 이것을 주셨도다. 어미 병이 반드시 좋아질 것이다. 약을 합하여 붙이니 즉시 좋아졌다.
Ⓒ 역자 | 정호완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뎡죵을 모긔 발엳거:악성 헌데가 목에 났거늘. 정종(丁瘇)은 헌데의 하나로서 작고 딴딴하고 뿌리가 깊이 박혀 있는 것이 쇠못과 비슷하다고 하여 일컫는 종기다. 열독이 몰려서 생기며, 처음에 좁쌀만 하게 생겼다가 벌겋게 부으며 화끈 달아오르고 심한 아픔이 생긴다. 곪아터지고 뿌리가 빠진 다음에라야 부기가 가라앉고 아픈 증세가 사라진다.
주002)
믄득 즘승이 이셔:문득 짐승이 있어. 원순모음화를 거쳐 ‘믄득〉문득’이 되었다. 일종의 발음의 노력경제현상으로 볼 수 있다. 원순모음화 현상은 일반적으로 순음성 자음 앞뒤에서 중설모음 ㅡ 가 올 때 ㅜ로 소리가 나는 현상이다. 원순모음화의 갈래는 흔히 두 가지로 갈린다. 먼저 양순 자음에 의한 원순모음화 ‘·〉ㅗ’현상은 양순 자음[ㅁ, ㅂ, ㅃ, ㅍ]이 동화주(同化主)가 되어 뒤에 오는 피동화 모음인 []를 원순모음인 [오]로 변화시키는 현상이다. 양순 자음에 의한 원순모음화 ‘·〉ㅗ’현상은 대체로 동화주가 되는 양순음이 피동화주 []에 앞서는 인접과 양순음과 [] 사이에 다른 음소가 존재하지 않는 순행이 동시에 나타난다. 양순 자음 뒤에서의 ‘ㅡ〉ㅜ’와 ‘·〉ㅗ’의 원순모음화 현상은 그 변화 양상을 달리한다. 양순 자음 뒤에서 ‘ㅡ’가 ‘ㅜ’로 변화하는 현상은 모든 방언에서 나타나는 공통된 현상이지만, 양순 자음 뒤에서 ‘ㆍ’가 ‘ㅗ’로 변화하는 현상은 함경북도 육진 지역의 종성, 온성, 회령 그리고 함경남도의 혜산 등과 서남방언권의 남부 지역, 경남 일부 지역에서 보이는 현상으로 중부지역에서 멀리 떨어진 변경지역에서만 발생한다. 또한 양순 자음에 의한 원순모음화 ‘·〉ㅗ’ 현상은 그 변화 시기에서도 ‘ㅡ〉ㅜ’와 차이를 보인다. 양순 자음 뒤에서의 ‘ㆍ〉ㅗ’ 원순모음화 현상을 보여주는데, 이들의 출전을 조사하면 양순 자음 뒤에서의 ‘ㆍ〉ㅗ’ 원순모음화 현상은 17세기 후기에 발생하여 18세기 중엽까지 존재해 ‘ㅡ〉ㅜ’보다 시기적으로 이른 시기에 어두에서 실현됨을 알 수 있다. ‘즘승〉짐승’은 전설모음화를 거치면서 오늘에 쓰이고 있다. 전설모음화란 현재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역사적으로 ㅈ이나 ㅊ 또는 ㅅ 아래의 ‘으’가 전설모음인 ‘이’로 바뀌는 발음경제화 현상이다. 예를 들면 ‘아츰〉아침, 거즛〉거짓’ 등에서 전설모음화 현상을 엿볼 수 있다.
주003)
탕권 가온대 러디거:탕관(약 달이는 솥) 가운데 떨어지거늘. ‘러디거’의 기본형은 ‘러디다’인데, 여기에 구속의 연결형 어미가 통합된 형이다. 구개음화를 거치면서 ‘러디거〉떨어지거늘’로 소리내기 쉬운 말로 바뀌었다. 근대국어로 들어오면서 ㅂ계 합용병서가 ㅅ계 합용병서로 통합되었다가 다시 각자병서로 통합되면서 단일한 음가로 변동하였다.
주004)
그 효셩이 하 감동니:그대의 효성이 하늘을 감동시키니. ‘하’의 ‘-〉-끠〉-께’로 됨은 존칭의 대격조사로 합용병서에서 자음역행동화가 일어나고 다시 단모음화를 거치면서 ‘-께’로 굳어졌다. 형태분석을 하면 소유를 드러내는 소유격의 사이시옷이 대격조사인 ‘-긔’에 유착되어 굳어진 형태로 보면 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