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1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1집(효자도 권1,2,3,4)
  • 동국신속삼강행실 효자도 제1권 주해
  • 효자도 제1권
  • 손순득종(孫順得鍾)
메뉴닫기 메뉴열기

손순득종(孫順得鍾)


1:1ㄱ

孫順得鍾

1:1ㄴ

孫順新羅興德王時人 居慶州 養母至孝 有小兒 每奪母食 順謂其妻曰 兒奪母食 兒可得 母難再求 負兒歸掘地 欲埋 忽得石鐘 甚奇 妻曰 得物殆兒之福也 不可埋也 乃負兒與鍾而還家 懸鍾於樑 撞之 聲聞王宮 王使人審之 具奏 王賜米五十石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손슌은 신나 흥덕왕 시 사이라 경  주001)
경 :
경주 땅에. ‘’는 ㅎ종성체언 에 부사격조사 ‘-’가 통합된 형태. 15세기에 쓰이던 중세국어 가운데 체언(명사, 수사, 대명사)과 조사가 통합될 때, 언어적인 조건 없이 ㅎ이나 ㄱ이 덧붙는 낱말들을 말한다. 대표적으로 ㅎ의 경우, ‘하늘, 바다, 나라, 안’ 따위가 있다. 예를 들어 ‘바다’란 명사에 조사 ‘-이’가 붙는 경우, ‘바다이’가 되어야 마땅하다. ‘바다’는 ㅎ종성체언이므로 ‘바다+ㅎ+이’가 되어 ‘바다히’라고 썼다. 이런 영향이 현재 쓰이는 말에도 나타나고 있는데, ‘안, 암/수, 머리, 살’이 바로 그런 낱말들이다. 예를 들어 안팎(안ㅎ+밖), 암탉(암ㅎ+닭), 수평아리(수ㅎ+병아리), 머리카락(머리ㅎ+가락), 살코기(살ㅎ+고기), 집우(ㅎ)〉집웅〉지붕 등이 있다. 마찬가지로 ㄱ의 경우, ‘나모, 구무, 녀느’ 등이 그렇다. 주격조사 ‘-이’가 통합될 때, ‘나모 +-이’가 되어야 하나 ‘남기’로 실현된다. 그러면 모든 격조사와의 통합에 그러한가. ‘나모와’는 그렇지 않다. 이런 경우를 비자동 교체라 한다. 형태소의 자동 교체에 대응되는 용어다.
사라 어미 치기 지러니 주002)
어미 치기 지러니:
어미 모시기에 지극한 효성이더니. ‘지러니’는 ‘지효(至孝)’에 서술격 조사 ‘-이러니’가 통합되어 쓰인 형태다. 어근인 한자어 ‘지효’는 지극한 효성을 이른다. ‘-이러니’는 서술격조사로서 체언을 용언으로 만드는 접사로 볼 수 있다. 서술격 조사 ‘이다’는 활용이라는 형태적 특성보다 동사나 형용사가 서술어의 기능을 담당하는 반면 서술격조사는 조사의 기능을 담당한다는 기능적 특성을 더 중요시하기 때문이다. 보기로서, ‘선생이다, 선생이므로, 선생이니까, 선생이라, 선생이니, 선생이로소이다’에서처럼 ‘-이다’는 용언처럼 활용을 한다. 이는 다른 조사와는 다른 형태적 특성이다. 이런 이유로 최근에 ‘-이다’를 다른 문법범주로 재해석하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그것은 ‘-이다’를 ‘잡음씨(지정사)’로 지정해 별개의 문법범주로 보자는 것이다. 조사의 특수한 형태로 보는 현행 ‘서술격조사’이론도 타당한 면이 있지만 여기서는 새로운 대안으로서 지정사론을 제시하고 그 과정에서 이제까지 논의되어 온 ‘-이다’논쟁에 대한 합리적인 체계 설정이 절실하다.
죠고만 아 이셔 양 어 밥 앋거 주003)
밥 앋거:
밥을 빼앗거늘. ‘밥’은 ‘밥’에 목적격조사 ‘-’이 붙어, 여기에 선행하는 명사의 음절의 종성이 아래 말에 연철되어 이루어진 소리의 변동이다. 밥쪽으로 보면 소리가 원형 그대로 나는 경우이고. ‘-’로 보면 위의 소리가 아랫 소리와 만나 소리가 나니 이렇게 연철과 분철이 함께 공존하는 것을 혼철(混綴)이라 한다. 흔히 연철(連綴) 표기는 소리 나는 대로 적는 표기법을 말한다. 훈민정음 창제 당시에는 소리 나는 대로 적는 표기법인 연철 표기를 기본으로 적었다. 중세어에서는 대체로 연철 표기를 지켰다. 이후 근대국어로 넘어오면서 서서히 혼철 표기가 많이 쓰였다. 혼철 표기는 거듭적기라고도 한다. 연철 표기에서 분철(分綴) 표기로 가는 과도기적 표기 형태를 말한다. 일종의 잘못적기라고 보면 된다. 17세기 들어서면 혼철 표기가 많이 사용되었다. 분철 표기는 형태를 밝혀 적는 표기법으로 현대국어의 표기법은 여기에 기초하고 있다. 말하자면 음절 단위로 형태를 갈라 적는 그런 표기법이다. 19세기에 들어와서 분철 표기가 상대적으로 많아졌으며 현대국어에서는 분철 표기를 기본으로 삼고 있다.
이 그 안해려 닐러 로 아 어 바 아니 아 가히 어려니와 어미 두 번 구기 어려온디라 고 아 업고 도라가 을 고 묻고져 더니 믄득 돌붑을 어니 주004)
돌붑을 어니:
돌종을 얻으니. 원문의 ‘석종(石鐘)’을 언해한 말이다. ‘붑’은 ‘북’의 본디말 ‘붚’의 변한 표기다. ‘붚(붑)’은 ‘북[鼓]’과 ‘종(鐘)’ 두 가지 뜻으로 쓰였는데, 여기선 ‘돌붑’이라 언해하고 그림에는 돌로 된 ‘종(鐘)’을 그려 넣은 것을 볼 수 있다.
심히 긔특더라 안해 닐오 득믈호미  아 복이라 가히 묻디 몯호리라 이예 아와 붑을 지고 지븨 도라와 붑을 보희 고 티니 소 왕궁의 들린대 왕이 사브려 피시니 다 엳오니 왕이  쉰 셤을 주시다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손순득종 - 손순이 돌종을 얻다
손순은 신라 흥덕왕 때 사람이다. 경주에 살았는데 어머니를 모심에 지극한 효성을 다하였으니, 어린 아이가 늘 어머니 밥을 빼앗아 먹거늘 손순이 그 아이에게 말하기를, “아이가 어머니 밥을 앗으니, 아이란 가히 다시 얻을 수 있으려니와 어머니는 두 번 얻을 수가 없는 것이다.”라고 하며, 드디어 아이를 업고 〈보아 둔 곳에〉 가서 땅을 파고 묻고자 하였다. 문득 돌종[石鐘]을 얻으니 매우 특이하였다. 아내가 말하였다. ‘이제 돌종을 얻으매 이는 아이의 복이라 가히 아이를 묻어선 안 됩니다.’ 이에 아이와 돌종을 지고 집으로 돌아와 돌종을 대들보에 달고 쳤더니 그 소리가 왕궁에까지 들렸다. 임금이 사람을 시켜 살펴보니, 그런 정황을 다 아뢰었다. 임금이 쌀 쉰 섬[石]을 상으로 주었다.
Ⓒ 역자 | 정호완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경 :경주 땅에. ‘’는 ㅎ종성체언 에 부사격조사 ‘-’가 통합된 형태. 15세기에 쓰이던 중세국어 가운데 체언(명사, 수사, 대명사)과 조사가 통합될 때, 언어적인 조건 없이 ㅎ이나 ㄱ이 덧붙는 낱말들을 말한다. 대표적으로 ㅎ의 경우, ‘하늘, 바다, 나라, 안’ 따위가 있다. 예를 들어 ‘바다’란 명사에 조사 ‘-이’가 붙는 경우, ‘바다이’가 되어야 마땅하다. ‘바다’는 ㅎ종성체언이므로 ‘바다+ㅎ+이’가 되어 ‘바다히’라고 썼다. 이런 영향이 현재 쓰이는 말에도 나타나고 있는데, ‘안, 암/수, 머리, 살’이 바로 그런 낱말들이다. 예를 들어 안팎(안ㅎ+밖), 암탉(암ㅎ+닭), 수평아리(수ㅎ+병아리), 머리카락(머리ㅎ+가락), 살코기(살ㅎ+고기), 집우(ㅎ)〉집웅〉지붕 등이 있다. 마찬가지로 ㄱ의 경우, ‘나모, 구무, 녀느’ 등이 그렇다. 주격조사 ‘-이’가 통합될 때, ‘나모 +-이’가 되어야 하나 ‘남기’로 실현된다. 그러면 모든 격조사와의 통합에 그러한가. ‘나모와’는 그렇지 않다. 이런 경우를 비자동 교체라 한다. 형태소의 자동 교체에 대응되는 용어다.
주002)
어미 치기 지러니:어미 모시기에 지극한 효성이더니. ‘지러니’는 ‘지효(至孝)’에 서술격 조사 ‘-이러니’가 통합되어 쓰인 형태다. 어근인 한자어 ‘지효’는 지극한 효성을 이른다. ‘-이러니’는 서술격조사로서 체언을 용언으로 만드는 접사로 볼 수 있다. 서술격 조사 ‘이다’는 활용이라는 형태적 특성보다 동사나 형용사가 서술어의 기능을 담당하는 반면 서술격조사는 조사의 기능을 담당한다는 기능적 특성을 더 중요시하기 때문이다. 보기로서, ‘선생이다, 선생이므로, 선생이니까, 선생이라, 선생이니, 선생이로소이다’에서처럼 ‘-이다’는 용언처럼 활용을 한다. 이는 다른 조사와는 다른 형태적 특성이다. 이런 이유로 최근에 ‘-이다’를 다른 문법범주로 재해석하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그것은 ‘-이다’를 ‘잡음씨(지정사)’로 지정해 별개의 문법범주로 보자는 것이다. 조사의 특수한 형태로 보는 현행 ‘서술격조사’이론도 타당한 면이 있지만 여기서는 새로운 대안으로서 지정사론을 제시하고 그 과정에서 이제까지 논의되어 온 ‘-이다’논쟁에 대한 합리적인 체계 설정이 절실하다.
주003)
밥 앋거:밥을 빼앗거늘. ‘밥’은 ‘밥’에 목적격조사 ‘-’이 붙어, 여기에 선행하는 명사의 음절의 종성이 아래 말에 연철되어 이루어진 소리의 변동이다. 밥쪽으로 보면 소리가 원형 그대로 나는 경우이고. ‘-’로 보면 위의 소리가 아랫 소리와 만나 소리가 나니 이렇게 연철과 분철이 함께 공존하는 것을 혼철(混綴)이라 한다. 흔히 연철(連綴) 표기는 소리 나는 대로 적는 표기법을 말한다. 훈민정음 창제 당시에는 소리 나는 대로 적는 표기법인 연철 표기를 기본으로 적었다. 중세어에서는 대체로 연철 표기를 지켰다. 이후 근대국어로 넘어오면서 서서히 혼철 표기가 많이 쓰였다. 혼철 표기는 거듭적기라고도 한다. 연철 표기에서 분철(分綴) 표기로 가는 과도기적 표기 형태를 말한다. 일종의 잘못적기라고 보면 된다. 17세기 들어서면 혼철 표기가 많이 사용되었다. 분철 표기는 형태를 밝혀 적는 표기법으로 현대국어의 표기법은 여기에 기초하고 있다. 말하자면 음절 단위로 형태를 갈라 적는 그런 표기법이다. 19세기에 들어와서 분철 표기가 상대적으로 많아졌으며 현대국어에서는 분철 표기를 기본으로 삼고 있다.
주004)
돌붑을 어니:돌종을 얻으니. 원문의 ‘석종(石鐘)’을 언해한 말이다. ‘붑’은 ‘북’의 본디말 ‘붚’의 변한 표기다. ‘붚(붑)’은 ‘북[鼓]’과 ‘종(鐘)’ 두 가지 뜻으로 쓰였는데, 여기선 ‘돌붑’이라 언해하고 그림에는 돌로 된 ‘종(鐘)’을 그려 넣은 것을 볼 수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