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1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1집(효자도 권1,2,3,4)
  • 동국신속삼강행실 효자도 제4권 주해
  • 효자도 제4권
  • 형제박호(兄弟搏虎)
메뉴닫기 메뉴열기

형제박호(兄弟搏虎)


4 : 69ㄱ

兄弟搏虎

4 : 69ㄴ

仇叱非仇叱德兄弟安邊府人 父爲虎所攬 倂力搏虎父得免 恭僖大王朝 㫌閭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굿비 굿덕 형뎨 주001)
굿비 굿덕 형뎨:
굿비와 굿덕 형제는. ‘굿비’와 ‘굿덕’은 한자의 붙여 적기를 보여준 보기라고 할 수 있다. 글자만 한자이지 우리말 ‘구ㅅ비’와 ‘구ㅅ덕’을 적은 것이다. 이와 같이 사이시옷 ‘-질(叱)-’은 시옷을 표기하는 문자로 위아래 글자에 덧붙어 소유나 경음을 드러내는 기능을 하는 형태로 볼 수 있다. ‘-질-’의 ‘ㅈ-’은 구결 당시 음운체계로서 변별력을 갖추지 않았기에 ‘-ㅅ-’으로 보아야 한다.
안변부 사이니 아비 범의게 자핀 배 되거 가지로 힘 범을 티니 아비 면호믈 어드니라 공희대왕됴애 졍녀시니라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형제박호 - 형제가 범을 때려잡다
굿비굿덕 형제는 안변부의 사람이다. 아비 범에게 잡혀갔거늘 함께 힘을 써서 범을 치니, 아비가 잡혀감을 면하였더라. 공희대왕 중종 때 정려를 내렸다.
Ⓒ 역자 | 정호완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굿비 굿덕 형뎨:굿비와 굿덕 형제는. ‘굿비’와 ‘굿덕’은 한자의 붙여 적기를 보여준 보기라고 할 수 있다. 글자만 한자이지 우리말 ‘구ㅅ비’와 ‘구ㅅ덕’을 적은 것이다. 이와 같이 사이시옷 ‘-질(叱)-’은 시옷을 표기하는 문자로 위아래 글자에 덧붙어 소유나 경음을 드러내는 기능을 하는 형태로 볼 수 있다. ‘-질-’의 ‘ㅈ-’은 구결 당시 음운체계로서 변별력을 갖추지 않았기에 ‘-ㅅ-’으로 보아야 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