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1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1집(효자도 권1,2,3,4)
  • 동국신속삼강행실 효자도 제4권 주해
  • 효자도 제4권
  • 석명추호(石明追虎)
메뉴닫기 메뉴열기

석명추호(石明追虎)


4 : 6ㄱ

石明追虎

4 : 6ㄴ

林石明三登縣人年十五隨父入山父爲所攬石明揮劍追虎得免 恭僖大王朝 㫌閭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님셕명은 삼등현 사이라 나히 열다신 제 아비 조차 뫼희 드러갓다가 주001)
뫼희 드러갓다가:
산에 들어갔다가. 지금은 ‘뫼’가 사어로 되었으나 일부 단어족으로는 ‘모시다’의 ‘모’와 같이 쓰인다. 히읗종성체언으로 부사격조사와 통합된 형이다.
아비 범의게 자핀 배 되거 주002)
자핀 배 되거:
잡힌 바가 되거늘. ‘배’는 의존명사 ‘바’와 주격조사가 통합된 형이다.
셕명이 칼흘 저어 범을 츠니 면호믈 어드니라 공희대왕됴애 졍녀시니라 주003)
졍문시니라:
정문(㫌門)을 내렸다. 단모음화를 거치면서 ‘졍문〉정문’이 되었다. 정문은 달리 홍문(紅門) 혹은 홍살문이라고도 한다. 효열의 행실을 널리 알리고 표창하는 것을 정표(㫌表), 그 일을 정려(㫌閭) 곧 상징적으로 세우는 문을 정문이라 했다.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석명추호 - 임석명이 범을 쫓다
임석명은 삼등현 사람이다. 나이 열다섯인 떼 아비를 따라서 산골에 들어갔다가 아비가 범에게 잡혔으매, 석명이 칼을 휘둘러 범을 쫓으니 아비 죽음을 면하였다. 공희대왕 때 정려를 내렸다.
Ⓒ 역자 | 정호완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뫼희 드러갓다가:산에 들어갔다가. 지금은 ‘뫼’가 사어로 되었으나 일부 단어족으로는 ‘모시다’의 ‘모’와 같이 쓰인다. 히읗종성체언으로 부사격조사와 통합된 형이다.
주002)
자핀 배 되거:잡힌 바가 되거늘. ‘배’는 의존명사 ‘바’와 주격조사가 통합된 형이다.
주003)
졍문시니라:정문(㫌門)을 내렸다. 단모음화를 거치면서 ‘졍문〉정문’이 되었다. 정문은 달리 홍문(紅門) 혹은 홍살문이라고도 한다. 효열의 행실을 널리 알리고 표창하는 것을 정표(㫌表), 그 일을 정려(㫌閭) 곧 상징적으로 세우는 문을 정문이라 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